Browse > Article

Studies of Communicational Education Suitable for Security Environment  

Yu, Yong-tae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교양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s goal is to consider deeper about the Context-Communication Study on candidates of future petty officers in community colleagues, therefore the study uses theoretical approaches of the communication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The petty officer majors in community colleagues need to set a curriculum to achieve the goal of the Context-Communication Study. The class, which is a continuous class from freshman to sophomore year, needs to be designed as a combination class of command/discipline major classes and communication studies. This study shows the detail ways of the Context-Communication Study to bring student's interests by using simulation studies with writing papers, training interviews, and presentations which all will be checked by their instructors. Instructors will get students to the point that they have upscale communication abilities and language abilities. Finally, this study shows limitations of the Context-Communication Study and suggests the further direction of research.
Keywords
Communication; Context of the situation; Context-Communication; Situational meanings; Language function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엘렌 스윈지우드 저, 박형신 .김민규 역, 문화 사회학이론을 향하여, 한울. pp.136-139, 2004.
2 제정관.최재덕, "한국 해군의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원, p. 2, 2006.
3 정종태, NCS 이해와 취업 성공 전략, 시그마프레스, p. 28, 2015.
4 조희정, "가상 맥락을 도입한 글쓰기 교육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30집, p. 503, 2007.
5 Marfie Berns 저, 전한성 역, 의사소통능력과 맥락, 한국문화사, 2012.
6 남봉우.서인덕, "육군 부사관의 감성지능이 군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7권제4호, p.198, 2010.
7 김천규.김호용, "부사관학과 학생의 직업 가치관에 따른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고등직업교육 15권 3-4호, p. 155, 2014.
8 김태현, "부사관 리더십 특성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논문, pp. 44-45, 2006.
9 김수창, "전문대학 부사관과(副士官科) 리더십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위기관리 9권 3호, 2013.
10 "해군 군수사, 일류 해군문화 운동 앞장", 신아일보, 2010.09.29.
11 김영종, "군 전문인력 양성학과 교육과정 개발 방안", 융합보안 13권 2호, 2013.
12 김천환.진종순, "군 조직 내 의사소통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7권 2호, 2010.
13 송준화.천명희, "국가안보에 적합한 인력 양성을 위한 부사관 후보생의 의사표현 능력 향상 연구", 융합보안 14권 6호, 2014.
14 왕문용, 국어와 의사소통, 한국문화사, p. 74, 2008.
15 P. J. HILLS 저, 장상호 역, 교수, 학습, 그리고 의사소통, 교육과학사, pp. 64-65, 1987.
16 박원, "언어적 의사 소통 양상", 인하교육연구 6호, p. 6, 2000.
17 박재현, 국어 교육을 위한 의사소통 이론, 사회평론, pp, 145-163, 2013.
18 레이먼드 윌리엄스 저, 김성기.유리 역, 키워드, 민음사, pp. 106-107, 2010.
19 김재봉, "맥락적 의사소통적 기능(1)", 인문과학연구 제16집, pp. 4-5, 1994.
20 전숙경, "'교육적 의사소통'의 의미와 성격", 교육철학 제45집, p. 205, 2009.
21 Savignon S. communicative competence: heory an classroom practice, Reading,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