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JUNG, Dong-Bumb Righteous Army  

Jung, Jae Keak (수성대학교 군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One of the background reasons of the raise of the voluntary army under the name of justice in 1728, in late Chosun period, was the discontent against the regime at that time. After the King Young-Jo ascended a throne of Chosun dynasty, some people such as Lee In-Jwa and JUNG Hee-Ryang organized rebels and raised a rebellion. At this time of a national crisis, there were people organizing the army of the justice and joining in the battles against the rebels with the royal forces of Chosun dynasty. JUNG Dong-Beum, one of the leaders of voluntary armies of justice, is a good example. For these people playing roles in the army of justice, mor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tinued.
Keywords
Righteous Army; The royal forces; Rebels; Riot; Treas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고수연, "무신창의록을 통해 본 18.19세기 영남 남인의 정치동향", 역사와 담론 pp. 312-313. 2013.
2 이욱, "조선영조대 무신란과 안동지방의 의병" , 한국사학보, pp149-150, 2011,
3 戊申倡義錄, 권乾,軍門日記, 주로 평민을 대상으로 의병을 모집했으며, 신분에 따라 부대편제를 달리하였다.
4 신윤호, "임진왜란과 고성의병의 활동 양상" 군사, p422, 2015.
5 김강식, "임진왜란시기 경상우도의 의병조직의 변화와 의미", 지역과 역사, pp167-168, 2001.
6 이욱, "조선영조대 무신란과 안동지방의 의병", 한국사학보, p.150, 2011,
7 청주정씨대동보, 권2, pp991-993., 2002.
8 세헌록, 노변문중, pp193-194, 2002.
9 세헌록, 노변문중, pp194-195, 2002.
10 세헌록, 노변문중, p285, 2002.
11 세헌록, 노변문중, pp283-285, 2002.
12 최형국,"조선후기 기병 마상무예의 전술적 특징",군사, pp35-37, 2009.
13 세헌록, 노변문중, p282, 2002.
14 고수연, "무신창의록을 통해 본 18.19세기 영남 남인의 정치동향", 역사와 담론, p338, 2013.재인 용
15 하헌식, "북한의 대남 전략전술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60-61, 2015.
16 최완규, "마비이론의 현대적 고찰과 미래전 적용성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145-147,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