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Re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Chuncheon District Battle In the Early Part of the Korean War  

LEE, SUNG CHOON (송원대학교 국방공무원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evaluate the success factors and significance of the battl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nly successful Chuncheon district battle during the defense combat in the early part of the Korean War on June 25, 1950. The research results are the matters that a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the armed forces of the Republic of Korea, focusing intensively on the successful aspect of the early defense combat against North Korean army's surprise invasion of the South and on the battle that thwarted the North Korean army's intensive surprise attack intention. This research attempts to reanalyze the Chuncheon District Battle in connection with the Kim Il-sung's strategic course of a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plan of North Korean invasion of the South. In other words, it is to reanalyze the enemy tactics in connection with North Korean army's plan of invasion of the South. The fact that the 6th Division of the armed forces of the Republic of Korea destroyed the North Korean army's operations plans that were in accordance with Kim Il-sung's strategic plans has more significance than a simple tactical success. The Chuncheon District Battle should be reevaluated as the "decisive battle" which went beyond a successful early defense combat in a Chuncheon region, and which fundamentally defeated North Korean army's war plan itself by thwarting the Kim Il-sung's strategic plan.
Keywords
Chuncheon District Battle; Kim Il-sung's strategic; decisive battl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2, 군사편찬연구소 북한의 전면남침과 초기방어전투, 2005. p. 3.
2 유성철, 나의 증언, 한국일보, 1990. 11.9.
3 외무부, 소련자료(2), pp. 23-24.
4 김광린 역, 소련의 자료로 본 한국전쟁의 전말, 도서출판 열림, 1997. p. 75.
5 김광린 역, 소련의 자료로 본 한국전쟁의 전말, 도서출판 열림, 1997. p. 107.
6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소련 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1 2001. pp. 135-137.
7 러시아 국방부저, 김종국 역 러시아가 본 한국전쟁, 오비기획, 2002, p. 31.
8 김재철, '한국전쟁 초기 춘천.홍천지구 전투의 평가', 조선대동북아연구소, Vol.24 No.1 2009. p. 2.
9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2, 군사편찬연구소 북한의 전면남침과 초기방어전투, 2005. p. 8.
10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한국전쟁 상, 1995, p. 78.
1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소련 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1 2001. pp. 135-137.
12 유성철 '나의증언', 한국일보, 1990. 11. 11.
13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앞의 책. pp. 73-78.
14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 상, 군인공제회1인쇄사업소, 1995, p. 80.
15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 상, 군인공제회1인쇄사업소, 1995, p. pp. 107-108.
16 유성철, 나의 증언(9), 한국일보, 1990. 11. 11, p. 80.
17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2, 군사편찬연구소 북한의 전면남침과 초기방어전투, 2005. pp 423-430
18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한국전쟁 상, 1995, p. 80.
19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소련 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1 2001. pp. 156-158
20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소련 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1 2001. p. 431.
21 육군본부, 한국사료총서 제62권, pp. 120-37-38.
22 육군본부, 한국사료총서 제62권, pp. 127-37-40.
23 임부택, 낙동강에서 초산까지, 그루터기, 1996. pp. 97-98.
24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앞의 책, p. 85.
25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소련 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1 2001. p. 160.
26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소련 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1 2001. p. 163.
27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소련 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1 2001. p. 165.
28 정병준, 한국전쟁-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 돌베게, 2006. p. 728.
29 김일성 저작집 6,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p. 187.
30 김일성 저작집 6,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pp. 90-91.
31 김일성 저작집 6,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pp. 307.
32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소련 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2001, p. 289.
33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소련 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2001, pp. 164-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