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Worship Space of Worship type in Korea Protestant Church Since 1990 - Focus on the Traditional Worship Space and the Contemporary Worship Space -  

Kim, Ki-Hyun (울산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Lee, Gyoo-Baek (울산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v.18, no.5, 2009 , pp. 175-18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Korea Protestant slower growth and social church's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traditional worship center for the sermon to a variety of changes was required, because of this period reflects the availability of a new type of worship was to appear. These changes in the type of worship in the form of the worship space, and space configuration is affecting many more. This study was the type of church korea today, the type is classified as a traditional worship and contemporary worship, and to characterize the category by a change in the type of church worship space in the configuration that affects cases throughout the analysis was to investigate, study follows. Traditional worship the center of the altar, the altar placed platform form, a vertical elevation of the platform sheet form, the installation of the cross, place the side of the choir seats, church chair type attribute appears tradition and in part compressed pulpit appears symbolism. Contemporary worship to the exclusion of the symbolic elements of the platform open, flat sheet form and the platform was the preferred form of minor elevations of the flat, multi-purpose space used for worship to sermon platform placed around the altar of the adjustable type, the choir seats placed in scheelite, preferred form of scheelite was an individual chair.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worship space features a mix of worship space, quite a lot of cases that have been found. Integrated and consistent element of the worship space, the worship of the discrepancy in the form of systematic theological depth analysis did not come true without lust about contemporary culture is changing rapidly to accommodate sprawl is judged.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worship and prayer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church building is a prerequisite to be a very important aspect.
Keywords
Worship type; Characteristics of Worship Space; Elements of Worship Spa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병삼, 열린예배 현대예배, 서울, 도서출판 프리셉트, 1999
2 이은석, 아름다운 교회건축, 서울, 두란노, 2008
3 월간 이상건축, 이상건축
4 월간 플러스, 월간플러스
5 성은석.한동욱, 2000년 이후 한국 교회건축 예배공간의 의장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디자인 경향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논문집 5(5), 2003
6 이규백, 현대 교회건축 인테리어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국내 개신교회 강단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연학회 19(2), 2006
7 월간 건축문화, 월간건축문화
8 남호, 초대 기독교 예배, 서울, 기독교 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2001
9 노봉린, 교회성장론의 성경적 검증 목회와 신학, 서울, 두란노, 1997. 11
10 월간 건축인, 이석미디어
11 이광노외 4인, 건축계획, 서울, 문운당, 2005
12 김원경.이경희, 현대 교회건축의 강단부 계획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1(1), 1991
13 정유성, 한국교회 전통예배와 현대예배의 긴장관계 연구, 감리교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4 한동욱, 한국교회 예배공간의 건축적유형과 공간체험에 대한실증적연구 연세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15 월간 건축사, 대한건축사협회
16 통계개발원, 한국의 인구주택, 인구주택총조사, 2008
17 월간 C3, 건축과 환경, C3 KOREA
18 한미준, 한국갤럽조사보고서, 한국개신교인의 교회활동 및 신앙의식 조사 보고서, 서울, 두란노, 1999
19 한국갤럽조사연구소,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의식, 제 2차 보고서, 한국인의 여론시리즈4, 1990
20 김세광, 열린예배의 올바른 자리매김을 향하여, 월간목회, 서울, 월간목회사, 2000. 05
21 서영진, 현대 한국교회 예배의 새로운 유형에 관한 연구, 감라교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2 이희준.김정일.융인석 한국 개신교 교회건축 예배공간의 평면유형 분류 및 변천 특성 연구, 평변형태, 교파, 좌석배치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5), 2009
23 성은석, 현대 한국 개신교회건축 예배공간의 의장적 특성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4 임광성, 한국 현대 개신교회건축의 예배공간 평면특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25 월간 공간, 공간사
26 전호진, 해방 후 한국교회의 성장과 해외선교,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4, 1995
27 격월간 CA, 현대건축, 현대건축사
28 월간 건축세계, 건축세계사
29 유보영, 한국 대형교회 예배공간의 특성, 충북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