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Background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Unit-care System in Japan - Regarding with the New-Model of Welfare Facilities for Aged Japan -  

Lee, Hyun-Jung (아주대학교 건축학과)
Min, Byung-Ho (아주대학교 건축학과)
Kwon, Soon-Jung (아주대학교 건축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v.16, no.3, 2007 , pp. 93-10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our direction of long-tenn care facility for elderly. The long-tenn care insurance plays an important role for human well-being. The functional and architectural changes of Japanese elderly care facilities have been analysed in order to predict changes in Korean welfare facilities. In Japan, Unit-care and private rooms are essential elements after reforming welfare facilities for aged. This study proposes components of unit-care through the analysis of 20 facilities for the aged. A unit is basically consist of private rooms, rest room, public living area, kitchen, health care service station, and bath room. Besides, smoking room, tea room, public terrace, guest room, court yard, and so on can be added. A unit can be connected with other unit by semi-public spaces or can be independently organized. This relationship has been classified into 2 types; Open unit type and Separated unit type.
Keywords
Unitcare; Elderly Care Facility;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노지화, 일본노인보건시설의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개호보험 실시이후 입, 퇴소현상을 통해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3호, 2005.3
2 이특구.김석준, 일본 개호보험 도입에 따른 장기요양보호시설의 변화 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2권 1호, 2006.3
3 조영훈, 일본 공적개호보험 형성의 사회적 배경, 한국사회학 제39집 5 호, 2005
4 중앙일보, 한국의 고령화 속도 더 빠른데..., 2006.09.19
5 이민아, 노인전문요양시설의 프로그램 수행공간 계획지침,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3권 4호, 2005
6 문성현, 일본의 노인장기요양시설의 확대과정과 한국사회로의 시사점, 노인복지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논문집, vol24, 2004
7 장병원, 고령화 사회의 노인요양보장정책방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47권 6호, 2003.6
8 보건복지부, 건강관리공단, 노인수발 건강보험제도 정의 및 의의, http://www.longtermcare.or.kr
9 이진혁, 일본 도시형 유료노인홈의 건축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동경부 23구내 시설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2호, 2006.2
10 全国新型特養推進協議会推進協, http://suishinkyo.net
11 선우덕, 일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운영실적과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5
12 医療経済研究機構, 介護保険施設における個室化とユニットケアに関する 研究報告書, 2001
13 日本厚生労働省老健局, 介護制度改革關聯 法案の槪要, 2006
14 엄기욱.박인아, 일본개호보험제도 시행 4년간의 평가와 시사점, 사회복지정책, vol 21, 2005.4
15 医療経済研究機構, 普及期における介護保険施設の個室化とユニットケア に関する研究報告書, 2002
16 최영미.양내원, 일본 노인복지시설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동경 및 근교지역의 특양홈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8권 2호, 2003.12
17 문창호, 최근 일본 노인주거시설의 건축적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6호 통권188호, 2004.6
18 日本厚生労働省老健局, 全国介護保険.高齢者保健福祉担当課長会議,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