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디지로그(Digilog) 물관리  

Jeong, Han-Seok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Water for future / v.55, no.5, 2022 , pp. 46-49 More about this Journal
Keywor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준만, 2007. 선샤인 논술사전, 인물과사상사.
2 김생자, 박명희, 2011. 현대패션에 나타난 디지로그(Digilog)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제61권, 제3호, 129-152.
3 "디지로그." 매일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2022년 3월 19일 접속,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3798&cid=43659&categoryId=43659.
4 "디지로그."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2022년 3월 19일 접속,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724053&cid=43667&categoryId=43667.
5 박승우, 장태일, 2009. 안전한 하수재처리수의 농업용수 이용기술. 하천과 문화, 제5호, 제3권, 102-106.
6 배선아, 2019. 초등 기술교육에서의 디지로그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제19권, 제3호, 40-60.
7 안종호, 한대호, 양일주, 이문환, 전동진, 송창근, 2021. 통합물관리를 위한 디지털-그린 뉴딜정책의 추진방안 연구. 한국환경연구원, KEI 연구보고서 2021-06.
8 이어령, 2006. 디지로그, 생각의나무.
9 정용원, 주민경, 김용호, 2020. 증강현신(AR)을 활용한 디지로그 북 인터랙션디자인 연구(아동 서적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6호, 425-433.   DOI
10 조성일, 2018. 디지털 시대의 중심에서 아날로그를 다시 생각한다. POSRI 이슈리포트, https://www.posri.re.kr/ko/board/content/14984.
11 Global Water Partnership Technical Advisory Committee(GWP-TAC), 2000.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 (IWRM): Background Papers, No. 4.
12 환경부, 2019. 물관리일원화 1년 성과를 바탕으로 통합물관리 본격 추진. 환경부 보도자료.
13 임재훈, 2019.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융합적 관점에서 디지로그의 함축적 디자인 정보에 관한 연구.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제57호, 229-240.
14 Sivapalan, M., Savenije, H. H. G., Bloschl, G., 2012. Socio-hydrology: a new science of people and water. Hydrol. Process. 26 (8), 1270-127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