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재해영향평가제도의 발전을 위한 제언  

Seo, Cheol-Mo (행정안전부)
Publication Information
Water for future / v.52, no.8, 2019 , pp. 101-115 More about this Journal
Keywor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상준.조성한. 2012 경기도 '사전재해영향성검토 협의제도 운영 개성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 강상준. 2014. "자연재해에 대한 커뮤니티 회복탄력성의 개념과 향후 과제". 국토연구원
3 곽창재.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 재해저감 대책의 실효성 증진 방안". Crisisonomy 제13권 제6호. 2017.
4 곽창재.최우정.이명진.서경민. "전략적 재해영향평가 정책 및 기술개발 기획".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7.
5 교통영향평가자료 DB시스템. https://www.tia.molit.go.kr
6 교통영향평가협회, https://www.katia.or.kr
7 국가법령정보센타. 2019
8 권태정. 2013. "기후변화시대 자연재해를 고려한 지속가능 개발개념의 재정립". 대한한토목학회 논문집.33(12)
9 강상준, 정주철, 이달별. 2014. "한국의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제도운영 개선방안 연구". 한국방재학회. 14(5); 395-406
10 기후변화정보센터(http://climate.go.kr)
11 김영우 외. "외국의 환경영향평가법령 및 제도조사분석 연구". 환경부. 2008.
12 노혜진.남진. 2012.8. '사업유형별 재해저감요소의 특성에 관한 실증분석' -서울시 사전 재해성 검토위원회의 검토의견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3 방기성. 2006.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 제도". 도시문제 41(453); 16-31
14 이명진.서경민.최우정. "사전재해영향성 평가에 대한 정책적 제언: 환경영향평가 비교 분석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18권 제3호: 107-115. 2018.
15 이승원.김정권.서정국. "현행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환경과학학회지 제27권 제5호: 281-289. 2018.
16 조대식.이정수.이연형. "교통영향평가법의 문제점 고찰" 교통 기술과 정책 제15권 제4호: 19-37. 2018.
17 행정안전부 홈페이지(http://www.mois.go.kt)
18 행정안전부. "2017년 재해연보". 2018.
19 행정안전부. "재해영향평가 등의 협의 실무지침". 2019.
20 홍철. 2006.5. '사전재해영향성검토제도의 이해'. 대한토목학회지 54(5)
21 환경부. "외국의 환경영향평가법령 및 제도 조사 분석 연구". 2008
22 환경영향평가 정보지원시스템. https://www.eiass.go.kr
23 환경부. "전략환경영향평가 업무 매뉴얼".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