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856/kjcls.2011.22.4.557

The Effect of Adult-Children Support Network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ingle and Couple Elderly Households in Rural Areas  

Oh, Young-Eun (Dep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Lee, Jeong-Hwa (Dep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22, no.4, 2011 , pp. 557-57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dult-children support network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ingle and couple elderly households in rural areas. Adult-children support networks include both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476 participants, who are older than 60 years old, living in rural areas,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rural elderly was high. Emotional support from adult children was higher than economic or instrumental support. In the case of the single elderly households, adult children's economic support was the strongest variable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case of the couple elderly households, adult children's emotional support had the greater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the single and couple elderly households in rural areas were discussed.
Keywords
rural elderly;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network; adult children's network; household typ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진미정.이순형.김창대(2009) 탈북인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 서울: 학지사.
2 최정아.서병숙(1992) 도시노인의 사회적 지원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12(1), 65-78.
3 통계청(2005)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인구 부문) http://www.nso.go.kr
4 통계청(2009) 2009년 사회조사 결과 보도자료. (2010. 10. 28). http://kostat.go.kr
5 통계청(2010)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인구 부문) http://www.nso.go.kr
6 한경혜.윤순덕(2001) 떠난 장남, 남은 장남. 한국사회학회 34, 649-669.
7 한경혜.홍진국(2000) 세대간 사회적 지원의 교환과 노인의 심리적 복지. 가족과 문화 12(2), 55-80.
8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5). 2004년도 전국노인생활 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223.
9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9) 경제위기에 따른 긴급제도 확대방안.
10 허선영(2003) 저소득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생활만족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Achley RC, Barusch AS(2004). Social forces and aging (9th ed.):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Thomson: Wadsworth.
12 Andrew FM, Withey S(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New York and London : Plenum Press.
13 Antonucci TC, Sherman AM, Akiyama H(1996) Social network, support, and integration. Encyclopedia of Gerontology 2, 505-515.
14 Bradburn NM(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caho: Aldine Press.
15 Dean A, Kolody B, Wood P, Ensel WM(1989) Measuring the communication of social support from adult children. Journal of Gerontology 44(2), 71-79.   DOI
16 Diener ED(1984) Subjective well- 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DOI
17 Fingerman KL, Birditt KS(2003) Do Age Differences in Close and Problematic Family Ties Reflect the Pool of Available Relativ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8(2), 80-87.   DOI
18 Glenn N, McLanahan(1981) The effects of offspring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Adul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3(2), 409-421.   DOI   ScienceOn
19 Groenou M, Tiberge T(1997) Changes in the Support Networks of Older Adults in the Netherlands. Journal of Cross Culture Gerontology 12, 23-44.   DOI   ScienceOn
20 Hobbs FB, Damon BC(1996) 65+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U.S. Bereau of the Census, Current Population Reports.
21 Kopp RG, Ruzicka MF(1993) Woman's multiple roles and psychologicl well-being. Psychological Report 72, 1351-1354.   DOI   ScienceOn
22 Litwin H(1995) The social Networks of Elderly Immigrants: A Analytic Typology. Journal of Aging Studies 9(2), 155-174.   DOI   ScienceOn
23 Morgan DL, Schuster TL, Butler EW(1991) Role reversals in the exchange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46, 278-287.   DOI
24 Morgan DL(1988) Age differences in social network participation. Journal of Gerontology 43(4), 129-137.   DOI
25 Rosenberg M(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26 Rosow I(1967) Social integration of the aged. New York : Free Press.
27 Rowe JW, RL Kahn(1997) Su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 433-440.   DOI   ScienceOn
28 Ryff CD, Keyes CL(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719-727.   DOI
29 Quinn WH(1983) Personal and family adjustment in later lif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16, 57-73.
30 Ward RA, Sherman SR, Lagory M(1985) Informal networks and knowledge of services for older persons. Journal of Gerontology 39, 216-223.
31 Wenger GC(1989) Support networks in old Age: Constructing a typology. In M. Jefferys(Ed.), Growing old in 20th century. London: Routledge.
32 김기태(2002) 노인복지실천론. 서울 : 양서원.
33 권명아(2000) 노인 가구 노인의 사회적 지지망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사상구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권중돈(2004)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35 권중돈.조주연(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지지 20(3), 61-76.
36 김영범.박준식(2004) 한국 노인의 가족 관계망과 생활 만족도-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지 24(1), 169-185.
37 김은희(2004)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 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김주희.정영미(2002) 독거노인의 건강실태와 삶의질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4(1), 16-26.
39 김태현.임선영(2004) 가족이념, 생활교류가 부모자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9(1), 85-109.
40 김혜신(2003) 맞벌이부부의 부모역할갈등과 심리적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41 노대명(2009) 보건복지포럼(2009년 2월). 24-32.
42 농림수산 식품부(2009) Press Release. 2009.3.16. 보도자료. http://www.mifaff.go.kr/main.jsp.
43 농촌자원개발연구소(2007) 통계로 본 지역별 노인복지현황. 27.
44 모선희(1999) 한국의 소외된 농촌노인. 노인복지정책연구 13('99.10), 149-184.
45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2005) 농촌.도시 노인의 삶의 질 비교분석. 66.
46 농촌진흥청(1996) 농촌노인의 생활향상을 위한 연구. 수원: 농촌진흥청. 216.
47 농촌진흥청(2007) 농촌생활지표조사보고서. 수원: 농촌진흥청. 133.
48 민기채(2008) 노인의 비공식적 지원제공과 관계망 특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박광희.한혜경(2002)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연구 11(3), 43-61.
50 박경민(1994)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노년기 우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1 박경숙(2000)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 사회와의 연계정도. 한국사회학회 34(4), 621-648.
52 소광섭(2007) 도농복합도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연구. 노인복지연구 38, 7-30.
53 손덕순.이홍직(2006)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0, 181-205.
54 손신영(2006)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 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6(3), 605-615.
55 손용진(2010) 사회자본이 도시와 농어촌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GRI연구논총 12(3), 311-339.
56 송지은(2006) 성인자녀와의 관계가 부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지 26(3), 581-599.
57 신기영.옥선화(1997) 중년기 주부의 가족 역할 수행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1), 111-128.
58 신기영(1998)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가족역할과 직업역할의 보상/비용에 따른 심리적복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9 안경숙(2005) 노인부부가구, 노인 독신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5(1), 1-19.
60 양재연(2007) 치매노인 수발자의 대처능력이 수발 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원영희(1995) 동.별거형태가 한국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15(2), 97-116.
62 원효종(1997) 도시핵가족 주부의 사회관계망 유형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63 유광욱.원유병(2010) 노인들의 신체활동 유무.부적정서.경제적 수준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1(4), 197-205.
64 오승환.윤동성(2006)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도시, 농촌, 어촌 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 연구 32, 119-147.
65 우원규.홍소영.이주연.문상관.소은진.이은정.임현정.조영태.이승욱 (2006)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1(2), 55-72.
66 오인근.오영삼.김명일(2009)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4(1), 113-136.
67 유성호(1997) 자녀수와 결혼한 성인자녀와의 동거가 노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별과 결혼상태에 따른 분석. 한국노년학회지 17(2), 38-49.
68 윤성은 (2002) 부양지원 경험의 보상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9 윤종희.이혜경(1997) 배우자가 없는 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건강상태, 가족관계, 사회활동참여도에 따른 생활 만족도. 한국노년학회지 17(1), 289-303.
70 이정화.한경혜.박공주.이한기(2003) 사회적 환경으로서의 지원망 특성이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농촌계획학회지 9(3), 1-7.
71 이은주 (2007)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2 이정숙.이인수(2005) 노년기 건강관리 행동과 사회 경제 요인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7, 231-253.
73 이정화.한경혜(2008) 농촌 조손가족의 세대관계와 손자녀 양육 조모의 심리적 복지. 한국노년학회지 28(1), 177-196.
74 이준상(2008) 치매노인 가족보호제공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0: 225-248.안의 모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 83-94.
75 이형실(1999) 농촌 부부가구 노인의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19(3), 109-120.
76 이혜자.박경애(2009) 농촌노인의 가족관계망 유형과 생활만족도. 한국노년학회지 29(1), 291-307.
77 이호성(2005) 도시 노인의 사회적 유대와 생활 만족도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5(3), 123-138.
78 이희정과 이숙현(1995) 취업모의 심리적 안녕. 대한가정학회지 33(6), 25-41.
79 장재정(1987) 性役割槪念에 관한 理論的 考察. 論文集. 19('87.6), 331-343.
80 정태연(2004) 노년기의 정서적지지, 외로움 그리고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004, 3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