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856/kjcls.2011.22.1.021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 Communication with Parents on Self-Esteem of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Juveniles  

Park, In-Ok (Dep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Lee, Jeong-Hwa (Dep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22, no.1, 2011 , pp. 21-3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the self-esteem of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juvenile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17 non-delinquent juveniles living with their parents as high school students and 98 delinquent juveniles aged 15~18 who live in detention centers for adolescenc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cross-tab,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PC window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was found that non-delinquent juveniles show a more open communication style with their parents than delinquent juveniles. Furthermore, a high level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was associated with high self-esteem in adolescents. Second, although physical environment such as family type or economic status influences an adolescents' self-esteem, the degree of positive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has a much greater effect on an adolescents' self-esteem. Finally, in terms of th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on self-esteem,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has a stronger effect on delinquent juveniles than non-delinquent juveniles. These results shows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tyle between parent and child, especially for families with delinquent juveniles.
Keywords
delinquent juvenile;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steem; family environ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Erikson E(1959) Identity and the life cycle. Psychological Issues 1, 1-171.
2 Felson RB.Zielinski MA(1989) Children's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 727-735.   DOI   ScienceOn
3 Freud A(1958) Adolescence.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13, 255-278.
4 이영숙 . 김정옥(2002)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이 청소년자녀의 심리적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7(2), 133-159.
5 서정희(2009) 집단미술치료가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형성에 미치는 효과. 배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서현주(2007)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유형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양원경(1999) 청소년의 과시소비 성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서울지역 중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영애(1991) 모자녀간 커뮤니케이션 형태가 청소년의 사회성 및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강상희(2001) 초등학교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건강행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강영자(1999)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 5, 121-127.
11 김기정(2002)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가정요인 비교 연구 - 광주 . 전남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대불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선미(2003) 가정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비행성향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최언용(1991) 우리나라 청소년 범죄의 분석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정익중(2006) 자아존중감과 청소년비행 간의 상호적 영향. 사회복지연구 31(가을), 133-159.
15 조현준 . 조현재 . 문지혜 공역(2002) 성격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98.
16 최인경(200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홍순혜(2004)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양육부모의 경제수준 및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7(1), 151-178.
18 이현주(1990)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언어적 통제유형과 아동의 자존심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박영희(1987) 부모-자녀의 상호작용 유형이 청소년의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박영애(1995) 부모의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방영자(1997) 자아존중감과 청소년 비행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완정(2003) 청소년이 주변 연장자로부터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구조와 기능 및 자아존중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49-60.
23 김창곤(2006)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환경적 변인. 청소년복지연구 제8권. pp.91-107.
24 Ginott HG(1980) 교사와 학생, 부모와 교사들을 위한 책. 혜선문화사.
25 Kaplan HB(1978) Deviant behavior and selfenhancement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7, 253-277.   DOI   ScienceOn
26 Reasoner RW(1994) Self-Esteem as an antidote to crime and violence. ERIC Document No Ed 373-281.
27 Rosenberg M(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 image. New York;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이희자 . 김경원(2002)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지 9(3), 283-295.한
29 정선미(2007)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유형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보건복지가족부(2008) 아동청소년백서.
31 서미경(2004)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아존중감 비교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박시현(2004)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방식 및 가정체계 유형과 자녀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김충희(1995) 해외 귀국 청소년의 적응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남정홍(2001) 아버지-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문애순(2006) 구조적 결손가정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탐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Beinvenu MI.McClain S(1970)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Home Economic 62(5), 344-345.
37 Ruchikin V, Martin E, Bruno H(1999) Hopelessness, loneliness, self-esteem and personality in Russian male delinquent adolescents versus control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4, 466-477.   DOI   ScienceOn
38 Weiner IB(1982)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NY : John Wiley and Sons.
39 황진숙 . 고선주 . 이은희 . 나영주 . 박숙희(2005) 중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개인 . 가족 . 학교 . 인터넷 요인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13-26.
40 이지연(2003) 중학교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및 학습동기간의 관계. 전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진용(1990) 어머니-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기존중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오승환(2001)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가족기능과 자녀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연구 - 양친가조, 편부가족, 편모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2(1), 77-104.
43 김인욱(2006)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 자아존중감 및 참자기와 거짓자기와의 관계 연구.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김양숙(1995)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내외통제성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김연수(2000)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심리적 가정환경 요인과 개선방안.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김영란 . 안민주(2005)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및 자아존중감 비교연구.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제26권. pp.105-124.
47 김정희(1987) 어머니 자녀간의 커뮤니케이션 형태와 자녀의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8 김주연(2010) 비행청소년의 자기애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김희화(1998)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발달 - 환경변인 및 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