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Korean Elderly People's ADL  

Lee, Mee-Ae (Hansei University, Dept. Social Welfare)
Publication In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21, no.2, 2010 , pp. 201-21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in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 particular, rural areas are experiencing aging of communities more rapidly compared to urban areas. However, public policy for the elderly does not respond to the needs of rural elderly. To distribute health care resources equitably, it is necessary to gather reliable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Korean elderly people's ADL functional status. The data sources are from 2004 Elderly Living Condition Survey. The Analysis sample consists of 3,278 cases.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sidential variability in education, monthly stipend, living arrangement, subjective health status, regular food in-take, and regular exercis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lso show that 'cognitive ability'(exp(B)=6.603), 'subjective health status'(exp(B)=4.576), 'age'(exp(B)=2.610), and 'living arrangement'(exp(B)=.589) are factors affecting ADLs. Namely, when a respondent's cognitive ability is limited, subjective health status is poor, or if their age is over 75, the probability of having a limited ADL has been 6.6 times, 4.6 times, and 2.6 times higher than otherwise. Among these variables, cognitive ability was the best explanation. In contrast, respondents who live with a spouse or adult children have a lower probability of having limited ADL compared with those who live alone. Considering that the most critical criteria in determining eligibility for social welfare services is ADLs,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ADL assessment tools is in an urgent need. Without the accurate assessment on ADLs, particularly on rural as well as the urban elderly, it seems to be hard to achieve effectiveness in the health care policy for the elderly.
Keywords
ADL determinants; ADL assessment; residential variability; rural-urban differences; ADL impair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Cravens DD, Mehr DR, Campbell JD, Armer J, Kruse RL, Rubenstein LZ(2005). Home-based comprehensive assessment of rural elderly persons: The CARE project. Journal of Rural Health 21(4), 322-328.   DOI   ScienceOn
2 Kivett VR, Stevenson MI, Zwane C(2000) Very-old rural adults: functional status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19(1), 58-77.   DOI   ScienceOn
3 강주희.윤순덕(2008) 노인복지 수요와 자원의 지역별 비교분석. 농촌사회 18(1), 161-187.
4 강은정(2007) 한국 노인의 성별 일상생활활동 장애율. 한국노년학 27(2), 409-425.
5 고보선(2004) 제주노인의 사회적 지지 유형특성과 주관적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4(2), 145-162.
6 김석희(2008) 여성 고령자의 연령에 따른 자기기입식 일상생활평가와 신체수행력의 관련성.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6(2), 117-125.
7 박광희.한혜경(2002)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연구 11, 43-61.
8 배진희(2004)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자녀와 이웃지원의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0, 197-216.
9 선우덕.오지선(2009) 도농 간 일상생활기능장애 차이의 실태와 정책방안. 보건복지포럼 149, 64-76.
10 배진희(2009) 고령노인의 일상생활기능 저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사회활동참여와 노인학대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1), 353-368.
11 손신영(2006)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26(3), 601-615.
12 송민선.김남초.이동한(2008) 우울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과 우울 영향요인. 노인간호학회지 10(1), 20-26.
13 송재부(1995) 입원 노인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우울과의 관계 연구.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14 안경숙(2005) 노인부부가구.노인독신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1), 1-19.
15 안수연(2007) 독거노인의 일상생활능력과 인지정도. 노인간호학회지 9(1), 68-75.
16 양정수.황부근.고대규(2008) 농촌지역 노인의 농부증 및 건강관련 체력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9(6), 115-124.
17 오승환.윤동성(2006)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도시.농촌.어촌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119-147.
18 오영희.배화옥.김윤선(2006) 우리나라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상태의 관련성 연구. 한국노년학 26(3), 461-476.
19 윤종률(2000) 포괄적 노인 건강 평가의 유용성과 도구들. 가정의학회지 21(11), 776-88.
20 윤현숙.권인선.박승필.조영채(2008) 노인여성의 요실금과 우울,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2(2), 242-254.
21 이가영.박태진(2000) 농촌지역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의 관련성. 가정의학회지 21(5), 672-683.
22 이금재.박혜숙(2006) 재가 도시노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2(3), 221-230.   과학기술학회마을
23 이수애.이경미(2002)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증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1), 209-226.
24 이장영(2002) 도시 및 농촌 주민들의 생활 만족도 비교. 농촌사회 12(1), 90-110.
25 이호성(2005) 도시노인의 사회적 유대와 생활만족도 연구. 한국노년학 25(3), 123-138.
26 조근종(2000) 노인의 사회활동참여와 사회적지지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39(3), 198-207.
27 한경혜.깁주현(2005) 농촌마을의 환경특성과 노인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6(1), 73-88.   과학기술학회마을
28 김윤정(2007) 여성독거노인의 건강, 경제상태, 사회적 관계의 지역적 차이에 관한 연구-도시, 농촌, 어촌, 도서지역의 비교.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3), 417-431.   과학기술학회마을
29 조유향(1995)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능력 장애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8(1), 70-79.
30 통계청(2006) 한국의 사회지표.
31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4)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32 홍승표.이지전.이상옥(2007)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요인.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5(2), 79-89.
33 황미구(2008) 재가 여성노인의 우울, 체질량 및 인지기능이 주관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ADL 및 ADL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노인복지연구 42, 407-430.
34 2010년 5월 30일 연합뉴스 보도자료.
35 Bedard M, Koivuranta A, Stuckey A(2000). Health impact on caregivers of providing informal care to a cognitively impaired older adults: rural versus urban settings. Canadian Journal of Rural Medicine 9(1), 15-23.
36 Butler SS, Turner W, Kaye LW, Ruffin L, Downey R(2005) Depression and caregiver burden among rural elder caregivers.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46(1), 47-63.   DOI   ScienceOn
37 Crosato KE, Leipert B(2006) Rural women caregivers in Canada. Rural Remote Health 6(2), 520.
38 Kabir ZN, Tishelman C, Aguero-Torress H, Chowdhury AM, Winblad B, Hojer B(2003) Gender and ruralurban differences in reported health status by older people in Bangladesh.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17, 77-91.
39 Laditka JN, Laditka SB, Olatosi B, Elder KT(2007) The health trade-off of rural residence for impaired older adults: longer life, more impairment. The Journal of Rural Health 23(2), 124-132.   DOI   ScienceOn
40 임영규.유병욱.조용진.오정은.홍성호.조주연(2008) 노인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연관된 인자. 순천향의대논문집 14(1), 97-108.
41 이정화(2006) 농촌노인의 성과 연령에 따른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의 상호관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7(2), 15-30.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