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urvey of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Non-Cognitive Domain of Mathematics Learning  

Lee, Hwan Ch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Kim, Hyung Won (University of Texas Rio Grande Valley)
Ee, Ji-hy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Yi, Hyun Sook (Konkuk University)
Ko, Ho Kyoung (Ajou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School Mathematics / v.19, no.2, 2017 , pp. 267-28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Fostering students' positive affect related to mathematics such a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dispositions toward learning mathematical concepts is one of the major goals of school mathematics programs. In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from students at the 4-1 grade levels to develop an instrument that measures students' affect regarding mathematics learning. To develop the instrument, we first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hich w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We sorted the results according to seven components of the non-cognitive domain of mathematics learning, which drew from taxonomical constructs of previous research. We then conducted a pilot study in which we administered the instrument as a pretest and a posttest. We chose the final items based 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reliability test of the pre and posttest scores. The final instrument contains 24 items, which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even components: interest, attitudes, value, external motivation, internal motivation, learning conation, and efficacy. We anticipate this instrument will be useful for studies that need to measure students'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learning mathematics.
Keywords
Affective Domain; Affective Domain factor and it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호경 . 유미현 . 오우상 . 김정현(2014). 중학교 수학과 타 교과 융합형 교육내용, 방법, 평가 체제 개선 모델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별책부록 II RR 2013-32-2, 47-68.
2 고호경 . 양길석 . 이환철(2015). 수학학습 상담을 위한 진단 검사지 개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9(3), 723-743
3 공민숙 . 강윤수(2014). GeoGebra를 활용한 극한 지도가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697-716.
4 교육과학기술부(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III-수학, 과학, 기술 . 가정.
5 김명숙 . 임신일 . 김세영(2011). 고등학생 수학불안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25(4), 717-737.
6 김문희 . 권혁진(2009). 문제중심학습이 중 . 상위권 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2), 171-193.
7 김민희(2013). 사고양식과 수학에 대한 태도가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부미(2016).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학교수학, 18(2), 397-423.
9 김부미 . 김수진(2012).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및 특성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6(4), 1229-1252.
10 김부윤 . 정두영 . 정원경(2005). 문제중심학습(PBL)을 통한 수학적 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19(1), 253-269.
11 김종렬 . 이은주(2014). 한국판 성취정서-수학 척도(K-AWQ-M)의 타당화: 중학생을 대상으로. 人間發達硏究, 21(1), 115-139.
12 김선희 . 김부미 . 이종희(2014). 수학교육과 정의적 영역. 서울: 경문사.
13 김영남(2002). 구체적 조작 도형프로그램이 아동의 문제해결력, 수학적 자기효능감,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응환 . 최성은(2006). 활동중심 수업이 수학 학습 부진아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2), 209-227.
15 박선화 . 김명화 . 주미경(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연구보고 RRI 2010-9.
16 박형서(2006). 비행기 만들기 체험 활동 중심의 수학 . 과학 . 기술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실과교육연구, 12(2), 239-255.
17 송정범 . 이태욱(2011).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이 학업성취, 교과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5(1), 11-22.
18 신성균 . 황혜정 . 김수진 . 성금순(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 교육 평가 체제 연구 (III) : 수학과 평가 도구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자료 RM 92-5-2.
19 위정현 . 조두영(2010). 수학 교과에서 G러닝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0(6), 37-45.
20 윤락경 . 전인호(2010). 수학불안 감소를 위한 수학 친화적 활동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583-613.
21 이미경 외 (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연구보고RRE 2004-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이주희 . 정은실(2012). 생활 체험 수학 프로그램을 통한 수학 학습 태도 변화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8(2), 277-296.
23 이미경 외 (2007). OECD/PISA 평가틀 및 공개 문항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7-24.
24 이종희 . 김선희 . 김수진 . 김기연 . 김부미 . 윤수철 . 김윤민(2011).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수학교육, 50(2), 247-261.
25 이종희 . 김부미(2010). 수학 학습 동기와 귀인의 측정 도구 개발 및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0(3), 413-444.
26 장옥선(2014). 인문계 고교생의 수학 선생학습사교육 효과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유충현 . 김한울 . 박효민 . 김태헌 . 김한솔(2013). 지오지브라를 이용한 수학적 흥미 및 동기유발. 수학교육 학술지, 335-341.
28 장인실 . 이성규(2009). 자기조절 학습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 연구, 22, 327-349.
29 정혜영 . 이경화(2006). 초등학생용 수학에 대한 태도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兒童學會誌, 27(5), 49-65.
30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5). 2015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5-12-1
31 허혜자(1996). 수학교육에서의 정서적 경험과 관련된 용어 고찰: 신념, 태도, 감정. 수학교육학연구, 6(2), 147-156.
32 홍석강 . 이방천(2002). 예술계 고등학교 수학과의 수학교육 현황과 수업 실태 분석. 수학교육, 41(2), 139-155.
33 홍진곤 . 김태국(2012). 수학 학습과 관련한 고등학생들의 긍정심리 분석 및 측정도구 개발. 수학교육학연구, 22(1), 69-99.
34 Haladyna. T., Shaughnessy. J., & Shaughnessy. J. M.(1983). A causal Analysis of attitude toward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4(1), 19-29.   DOI
35 DeBellis, V. A., & Goldin, G. A. (2006). Affect and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represent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31-147.   DOI
36 Dubois, D. J. (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ed student team learning strategies and student achievement and attitude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Houston. Ed.
37 Fennema, E., & Sherman, J., A. (1976). Fennema- Sherman mathematics attitude scales: Instruments designed to measure attitudes toward the learning of mathematics by females and mal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7(5), 324-326.   DOI
38 Ko, H., & Yi, H.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Student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2(6), 509-521.   DOI
39 McLeod, D. B. (1992). Research on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 reconceptualization. In D. A. Gouwes(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575-596), Macmillan, NY.
40 Sandman, R. S. (1980). The mathematics attitude inventory: Instrument and User's manual.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1(2), 148-149.   DOI
41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DOI
42 Simon, m. A., & Schifer, D. (1993). Toward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 The Impact of A mathematics Tearcher Inservice Program on Student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 25(4), 331-340.   DOI
43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