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On Teaching Methods for the Classification of Triangles by Angles  

Nam, Jihyun (Seoul Sinne Elementary School)
Chang, Hyew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v.27, no.3, 2017 , pp. 431-44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cute triangles and obtuse triangles are defin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riangles by angles. The definitions of acute triangles and obtuse triangles are difficult for students because they are related to different logical el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desirable methods for teaching the classification of triangles by angles related to logic. To do thi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some implications are found for teaching. And then the lesson was planned and applied to $4^{th}$ graders. After the lesson, we reviewed and analyzed their worksheets and test results for examining the effects by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result, we discussed and made some didactical suggestions for teaching the classification of triangles by angles.
Keywords
classification of triangles by angles; acute triangles; obtuse triangles; logical problem; partitional classifi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2010). 수학 4-1. (주)두산.
2 교육부 (1996). 수학 4-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 교육부 (2001). 수학 4-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교육부 (2014). 수학 4-1. (주)천재교육.
5 김경미, 김현은 (2010). 삼각형인 예와 삼각형이 아닌 예의 식별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추론 유형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2), 263-287.
6 김수미, 정은숙 (2005). 범례 제시를 통한 도형개념 지도 방안. 수학교육학연구, 15(4), 401-417.
7 노영아, 안병곤 (2007). 도형 영역의 오류 유형과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1(2), 199-216.
8 노은환, 강정기 (2015). 구성주의 관점에서 각과 삼각형의 분류에 관한 초등 교과서 및 교사용지도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 논문집>, 29(3), 313-330.
9 방정숙 (2010). 평면도형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1-21.
10 신희경, 백석윤 (2004). 제 7차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유형 분석. 한국초등학교육학회지, 8(1), 45-61.
11 윤여주, 김성준 (2010). 초등수학 기하문제해결에서의 시각화 과정 분석. East Asian Mathemarical Journal, 26(4), 553-579.
12 임지현, 최창우 (2016). 도형 학습에서 오류 찾기 활동의 적용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C<초등수학교육>, 19(1), 31-45.
13 최수임, 김성준 (2012). 정의하기와 이름짓기를 통한 도형의 이해 고찰; 초등학교 4학년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4), 719-745
14 Dienes, Z. P. (1960). Building up Mathematics. London: Hutchinson Educational.
15 최병훈, 방정숙, 송근영, 황현미, 구미진, 이성미 (2006).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도형과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8(1), 45-68.
16 홍갑주, 박지환 (2015). 초등학교 교과서의 각의 크기에 따른 삼각형 분류에 관한 고찰. 초등수학교육, 18(1), 45-59.
17 Bassarear(2001).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 Houghton Miffim.
18 Fischbein, E. (1987). Intuition in Science and Mathematics. 우정호 외 역(2010). 수학 과학학습과 직관. 서울: 경문사.
19 Frank & Joanna(1998).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a Problem Solving. NJ: Prentice hall
20 Kuhn, D. (1977). Conditional reasoning in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3, 342-353.   DOI
21 Villier, M. D. (1994). The role and function of a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quadrilateral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4(1), 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