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468/jksmee.2014.28.3.395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in a class using level TAI cooperative learning  

An, Jong Su (The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v.28, no.3, 2014 , pp. 395-42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paper, we obtain the step inteaching high school leve-based class utilizing cooperative learning lessons using level-type tutoring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s attitudes.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we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level-type instructional development and for the application to project work. Second, we seek to height academic achievement by applying the level-type work sheets in conjunction with cooperative learning. For this problem, we will focus on the following issues. First, how will you using level-type tutoring level TAI cooperative learning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develop the learning ability in mathematics? Second, how can you step utilizing TAI instructional level of cooperative learning in mathematics classes to improve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Third, how will you some reaction step work sheets utilizing level TAI cooperative learning of students for mathematic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was improve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learning attitudes could help. Third, the level of cooperative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utilizing the TAI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represents a significant response was seen.
Keywords
level-type tutoring; level-based learning; learning ability; mathematics attitud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은성 (2006).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의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은숙 (2011). 팀 보조개별학습(TAI)이 수학과 학업성취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재춘 (1997).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과 적용 방안. 교육경북, 제 115호, 9-14
4 김주훈 (1998).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준별 교육과정 현장 적용 방안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98-7
5 남성의 (2003). 7학년을 중심으로 한 수준별 분단수업의 효과적인 지도법에 관한 연구 -소규모 학교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노영순.윤희송 (2000). 수준별 과제 학습지의 구안과 학습자 자신의 선택에 의한 자기 주 도적 학습이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9(1), 11-20, 서울 : 한국수학교육학회.   과학기술학회마을
7 박경미.김주훈.김재춘 (1998). 수학과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방안과 교수.학습 자료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개발 RDM 98-6-1.
8 서현경 (2008).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수준별 이동수업의 개선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2(3), 253-273. 서울 : 한국수학교육학회.   과학기술학회마을
9 신성균.황혜정.김수진.성금순 (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교육 평가 체제 연구 : 수학과 평가도구개발 (I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자료 RM 92-5-2.
10 유희찬.조완영.조정묵.임미선.유익승.한명주.박원균.남선주.정성윤 (2009). 고등학교 1학년 고등학교 수학 교사용 지도서. 서울 : (주) 미래엔.
11 윤선미.김민경 (2005). 퀴즈네어 막대의 활용을 강조한 TAI 분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교과교육학연구, 9(1), 37-60.
12 이민숙 (2005). TAI 협동학습이 학습부진아의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의원.김진상.이명희 (2001).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과 교재의 재구성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2, 93-102. 서울 : 한국수학교육학회.   과학기술학회마을
14 이정환 (1997). 능력별 학습자료 적용을 통한 수학 학습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중권 (2005). 수학 협동학습의 역사적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18(2), 55-74.   과학기술학회마을
16 이지은 (2004).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의 실태 및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창주 (2004). 대학 수학 능력 평가 시험 문제 유형에 다른 교실 내 수준별 수업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전영주.정완수 (2002). 수준별 협동수업이 문제해결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3(1), 275-286. 서울 : 한국수학교육학회.   과학기술학회마을
19 정문성.김동일 (1998). 열린 교육을 위한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형설출판사.
20 최승현.이대현 (2005).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3), 325-336. 서울 : 한국수학교육학회.   과학기술학회마을
21 최승현.황혜정 (2012).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변화에 따른 수학과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 학교수학, 14(4), 531-552. 서울 : 대한수학교육학회.   과학기술학회마을
22 Davidson, N. (1990). Cooperative learning in mathematics : A Handbook of Teacher, Edited by Neil Davidson. Menlo Park, CA :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23 황현모 (2000). 중학교 수학과 수준별 이동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의식 및 학습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Aiken, L. R. (1976). Update on attitudes and other affective variables in learning mathematic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6(2), 293-311.   DOI   ScienceOn
25 Cole, P. G. & Chan. L. K. S (1987). Teaching Principle and Practice. Prentice Hall of Australia.
26 Schniedewind, N., & Davidson, E. (1983). Open minds to equality : A source book of learning activities to promote race, class and age equity. Old Tappan, NJ : Prentice-Hall.
27 Slavin, R, E., Leavey, M., & Madden, N. A. (1987). Cooperative Learning & cooperative School. Educational Leadship.
28 Slavin, R, E., Leavey, M., & Madden, N. A. (1990). Cooperative Learning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Bacon : Allyn and Bacon.
29 Slavin, R. E. (1995). Cooperative Learning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nd ed) . Boston : Allyn and Bacon.
30 Tarim, K., & Akdeniz, F. (2008).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Turkish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using TAI and STAD methods.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7(1), 77-91.   DOI
31 김을식 (1999). 수준별 교수.학습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윤희송 (1999). 수준별 과제 학습지 구안 적용이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 157-166. 공주 : 공주대학교.   과학기술학회마을
33 교육인적자원부 (2006). 초.중등 학교 교육과정 부분 수정 고시.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6-7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