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468/jksmec.2022.25.4.411

An Analysis of Improvement and Compilation Issues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Government Published  

Lee, Hwa Young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Publication Information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v.25, no.4, 2022 , pp. 411-43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paper,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compilation were sought by analyz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compiling book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government publish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government published was operated with a systematic compilation system so that academia and school field experts across the country could demonstrate their expertise. As improvements in content, the unit and time to strengthen basic computational skills were increased, and the mathematical concept and principle introduction method and algorithm presentation method were improved, and the internal connection between contents was strengthened. The learning period was adjusted, such as moving and arranging contents that are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to the upper semester or the upper grade. In the 1st and 2nd graders, the amount of reading was drastically reduced to suit the students' level of Korean, and sentences and vocabulary were improved, and instructions were briefly revised. As for editing and design improvements, illustrations of each unit's introduction and contextual pictures were presented in detail, and the characters in the textbook were consistently presented across all grades, giving children characters a ro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in the textbook. In the process of compiling, the media, the National Assembly, and civic groups raised opinions that sentences and vocabulary in first-year textbooks are more difficult than students' level of Hangeul education, that reducing textbooks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Accordingly, efforts to improve textbook compilation and the results were viewed. Through the overall analysis as above, for future compilation of state-authored textbooks and certified textbooks, a plan to improve textbook compilation for students and teachers and a plan to operate compilation was proposed.
Keyword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government published textbook; issu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한국과학창의재단(2016b).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1-1 (원고본). (주)천재교육.
2 한국과학창의재단(2016d).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2-1(수정본). (주)천재교육.
3 곽기우, 류현아(2020).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탐구수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 실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4(4), 371-394.
4 도주원(2021). 초등수학 교과서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기능 분석, 수학교육, 60(3), 265-279.
5 연합뉴스(2016년 8월 23일자). "새 초등 1~2학년 수학교과서, 페이지 줄어 더 어려워져". https://www.yna.co.kr/view/AKR20160823062100004
6 동아일보(2016년 9월 8일자). 너무 버거운 초1 교과서.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60908/80195588/1#csidx7aadb7559af780a877e7ede7b0f99b9
7 방정숙, 이유진(2019).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익힘 문항에 대한 오답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1369-1394.
8 여승현, 서희주, 한선영, 김진호(2021). 초등 수학교과서의 문제해결 역량 및 과제 유형 분석: 수와 연산 영역의 도전/생각 수학과 탐구 수학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60(4), 431-449.
9 유혜원(2017). 초등 수학 교과서 문장 구조 분석 연구-초등 1학년 수학/수학익힘책을 중심으로-, 문법교육, 31(31), 311-340.   DOI
10 이화영, 임미인, 김주창, 이환철(2018). 남한과 북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 및 학습 내용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28(3), 367-394.
11 이화영(2019). 초등교사의 수학 교수 내용 전문성 향상 연수 효과. 학교수학, 21(1), 233-250.
12 임영빈(2022). 5,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난 수학적 사고의 유형. 초등수학교육, 25(2), 143-160.
13 장혜원, 임미인(2016).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어휘 및 문장 적합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2), 247-267.
14 중앙일보(2016년 10월 5일자). 정답률 5% 수학 문제, "이게 초등학교 2학년 수준?". http://news.joins.com/article/20676557
15 최혜령, 신항균(2022). 구성주의 관점으로 본 7차 이후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변천 양상.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6(2), 87-108.
16 한국과학창의재단(2016a).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1-1(현장검토본). (주)천재교육.
17 교육부(2014). 수학 3~4학년군 수학 3-2. (주)천재교육.
18 이종학(2018). 2015 개정 교과서의 '놀이수학'에 대한 실태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3), 267-285.   DOI
19 곽미, 오치규(2020). 중국 교과서 편집디자인 개선을 위한 한국 사례와의 비교 연구: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1(6), 25-36.
20 권미선(2019).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의 어휘 적정성 분석. 학교수학 21(2), 459-481.
21 교육부(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안). 교육부 공고 제2015-240호. 교육부.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141&lev=0&statusYN=C&s=moe&m=0404&opType=N&boardSeq=61217
22 교육부(2017c).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1-2. (주)천재교육.
23 교육부(2018a).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익힘 3-2. (주)천재교육.
24 교육부(2018b).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익힘 3-1. (주)천재교육.
25 교육부(2018d).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3-2. (주)천재교육.
26 교육부(2018e).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4-1 교사용 지도서. (주)천재교육.
27 교육부(2018g).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1-1. (주)천재교육.
28 교육부(2019a).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 계획(안). (주)천재교육.
29 홍갑주(2019).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그림과 내용의 연계성. 수학교육, 58(2), 225-237.
30 교육부(2018h).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군 교과용도서 현장적합성 검토 연구학교 및 연구회 중간 워크숍 자료집. 교육부.
31 교육부(2018i).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1-1 교사용 지도서. (주)천재교육.
32 교육부(2017d).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1-1. (주)천재교육.
33 교육부(2018c).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3-1. (주)천재교육.
34 교육부(2018f).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3-2 교사용 지도서. (주)천재교육.
35 교육부(2019b). 초등학교 교과용도서 구분 수정 고시. 교육부.
36 교육부(2019b). 초등학교 5~6학년군 수학 5-2 교사용 지도서. (주)천재교육.
37 교육부(2019d). 초등학교 5~6학년군 수학 6-2. (주)천재교육.
38 김성경, 오택근(2019).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 적용에서의 쟁점 분석. 수학교육, 58(2), 263-282.
39 김성희(2004).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문장의 난이도 분석 : 수와 연산,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0 김영아, 김성준(2019). 초등수학 교과서 문장제의 언어적 분석.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5(2), 115-139.   DOI
41 오마이뉴스(2018년 3월 20일자). "초등 1학년 교과서, 이건 좀 아쉽습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14489
42 김정하(2020). 이중수직선을 이용한 분수 나눗셈 지도에 대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20(8), 1253-1277.
43 김정원, 방정숙, 황지남(2020) 초등학교 5-6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교과 역량 분석, 수학교육, 59(2), 147-166.
44 도주원(2022). 초등수학 교과서의 수와 연산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 특성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6(1), 89-105.
45 이현숙, 김중훈, 이화영, 김혜미, 정평강, 신재현, 이대식, 장혜원(2019). 인공지능(AI) 활용 초등수학 수업 지원시스템 개발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46 임미인, 장혜원(2019).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과 받아 내림이 있는 뺄셈을 위한 수 모형의 조작과 시각적 표현 이해. 수학교육학연구, 29(4), 761-782.
47 전희숙(2022).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 교과서 내 단원 도입 삽화의 공시적 및 통시적 특성, 언어치료연구, 31(1), 51-61.
48 홍옥수, 김중훈, 임영빈, 김경미, 김성훈, 김승민, 남지현, 신재현, 안서헌, 이영호, 임미인, 정평강, 황규하(2021). 인공지능(AI) 초등수학수업 지원시스템 개발 및 운영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49 한국과학창의재단(2016c).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2-1(현장검토본). (주)천재교육.
50 최혜령, 신항균(2021). 역대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외적 구성 체제의 변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5(3), 181-202.
51 강윤지, 백석윤(2020). 초등 수학 교과서의 수학 용어정의 및 문장제에 사용된 표현의 문장 복잡성 비교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4(2), 231-257.
52 강윤지(2022). 초등 수학 교과서와 실생활에서 나타나는 길이와 시간에 대한 표현 비교 분석. 초등수학교육. 25(3), 233-249.
53 교육과학기술부(2013). 수학 1~2학년군 수학 3. (주)천재교육.
54 교육부(2015b). 초등학교 교과용도서 구분 고시. 교육부 공고 제2015-76호 (2015.10.21.제정), 교육부.
55 교육부(2017a).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2-1. (주)천재교육.
56 교육부(2017b).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1-1 교사용 지도서. (주)천재교육.
57 아시아경제(2016년 9월 26일자). 새 초등 1 2학년 수학익힘책, 3학년이 풀어도 평균 29점.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92708580183321
58 교육부(2019c). 초등학교 5~6학년군 수학 6-1. (주)천재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