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16/KITS.2021.20.4.081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 for AI Assistant Services  

Sun, Young Ji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Lee, Choong C.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Yun, Haejung (이화여자대학교 신산업융합대학 국제사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 v.20, no.4, 2021 , pp. 81-9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rvices' has been diversified by combining various smart devices, big data, and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IT services, these services are important technology that cause a paradigm shift from display-centered to voice-centered, and from passive to active IT-based services. This study seeks to find a solution to the current situation where AI assistant service is still in its beginning stage, despite having been ten years since its release and having a growing number of consumer touch points. Accordingly, we categorized the functions of AI assistant services and identified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ervices recognized by actual users. In order to define the 'ideal' services of AI assistant, seven experts from AI assistant-related industry have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Based on this result, we investigate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ervices perceived by actual users of AI assistant services. As a result of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we find out which services are potentially 'keep', 'concentrate', 'low priority', or 'overkill' and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from the findings.
Keywords
AI Assistant;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Importance; Satisfaction; IPA Methodolog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양상희, 이중정, 윤혜정, "정보저장매체 반출 및 디지털 증거탐색 과정에서의 참여권 보장 환경에 대한 중요도-이행도 분석",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23권, 제3호, 2018, 129-143.   DOI
2 권오욱, 이기영, 이요한, 노윤형, 조민수, 황금하, 임수종, 최승권, 김영길, "디지털 개인비서 동향과 미래", 전자통신동향분석, 제36권, 제1호, 2021, 1-11.   DOI
3 김남현, 이충기, "수정된 중요도-만족도 분석 적용에 관한 연구 : 서울 종로구의 관광품질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5권, 제5호, 2013, 199-215.
4 김다린, "[아마존 알렉사의 프리뷰 테스트] 알렉사 한국 진출 움직임...국내 AI 비서 시장 메기 될까", 이코노미스트, 2021, https://n.news.naver.com/article/243/0000012149.
5 김문수, "호텔정보시스템의 중요도-성과 분석", 관광연구, 제18권, 제2호, 2003, 289-300.
6 김찬우, 서창교, "지능형 개인비서(IPA)의 사용의도에 관한 통합모형",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9권, 제4호, 2017, 135-156.   DOI
7 박원영, 박수용, "자율성 및 상호작용성을 위한 에이전트 아키텍처 설계",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제30권, 제9.10호, 2003, 955-972.
8 삼정KPMG, "음성 AI 시장의 동향과 비즈니스 기회", Issue Monitor, 제126호, 2020, https://home.kpmg/kr/ko/home/insights/2020/04/issue-monitor-126.html.
9 이홍걸,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이용한 스마트워크 이용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지역산업연구, 제39권, 제2호, 2016, 105-122.
10 박경옥, "인공지능 가상비서의 비서직무 수행역량에 대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제26권, 제2호, 2017, 253-272.
11 박지혜, 서의호, 이기원,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utilization of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on smart device",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 311-315.
12 배성수, " '주춤'하는 AI비서 시장...이용률 저조하자 발빼는 MS", 한국경제신문, 2020,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08041083g.
13 서진이, "지능형 가상비서서비스 동향과 전망-개인가상비서 시대가 도래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7, https://repository.kisti.re.kr/handle/10580/8211.
14 신동광, "인공지능 챗봇의 영어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한계", Brain, Digital, & Learning, 제9호, 2019, 29-40.
15 안경모, 김주연, "IPA 기법을 활용한 모바일 관광정보 서비스 평가", 관광연구, 제24권, 제5호, 2009, 45-61.
16 양혜란, 이용찬, 윤지환, "GDS(Global Distribution System) 선택속성의 IPA 분석과 공급사 신뢰, 미래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TOPAS SellConnect 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집, 2020, 553-556.
17 양희태, 김단비, "지능형 개인비서 시장 동향과 국내산업 영향 전망", 동향과 이슈, 제35호, 2017, 1-30.
18 한려화, 안종창, "스마트폰 구매결정 요인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3권, 제3호, 2014, 275-298.   DOI
19 이선미, "IPA 기법을 적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품질 분석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0 이상진, 신승만, "IPA를 활용한 전자무역 시스템의 서비스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 제12권, 제2호, 2010, 59-83.
21 이선미, 윤혜정, "AI 비서에 대한 직무 종사자와 관리자의 인식 유형 연구", 지식경영연구, 제19권, 제2호, 2018, 187-203.   DOI
22 이윤정, 김승인, "스마트 폰 음성 인식 서비스의 상황별 만족도 조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8호, 2017, 351-357.   DOI
23 이준희, "IPA를 이용한 스마트러닝 품질관리 요인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2012, 81-89.
24 이홍주, "A Ghost in the Shell? 고객 리뷰를 통한 스마트 스피커의 인공지능 속성이 평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7권, 제2호, 2018, 191-205.   DOI
25 정천수, 정지환, "포스트 코로나 19 언택트 시대 대응을 위한 AI 챗봇 구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9권, 제4호, 2020, 31-47.   DOI
26 최기주, 최윤혁, 오승훈, "IPA를 이용한 VMS 서비스 평가와 정보제공 개선전략", 대한토목학회 논문집D, 제26권, 제5D호, 2006, 747-754.
27 홍은지, 조광수, 최준호, "스마트홈 대화형 인터페이스의 의인화 효과 : 음성-채팅 인터랙션 유형에 따른 실험 연구", 한국HCI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2017, 15-23.   DOI
28 황승희, 윤재영, "근거 이론을 적용한 가상 비서의 사용자 경험 분석 : SKT 가상 비서 'NUGU'를 중심으로",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2017, 1126-1129.
29 Moussawi, S., Investigating Personal Intelligent Agents in Everyday Life Through a Behavioral Lens,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016.
30 Nasirian, F., M. Ahmadian, and O.K. Lee, O. K., "AI-Based Voice Assistant Systems : Evaluating from the Interaction and Trust Perspectives", In Proceedings of the 23rd Americas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2017, Boston, Massachusetts, USA.
31 유초롱, 김송현, 김진우,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의 사용경험 비교 연구 : 시리, 구글어시스턴트, 빅스비를 중심으로", 감성과학, 제23권, 제1호, 2020, 69-78.   DOI
32 Martilla, J.A. and J.C.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41, No.1, 1977, 77-79.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