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1/jkmh.2019.32.2.071

A Study on Medical Records of Jeon Suk-hee, Dalseong's Uisaeng of Japanese Occupation  

Park, Hun-Pyeong (Dept. of Classics &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 Shi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v.32, no.2, 2019 , pp. 71-7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Jeon Suk-hee worked as permanent licensed Uisaeng (medical cadet) in Dalseo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his newly discovered medical records were analyzed for the actual medical aspects of local Uisaeng. This article examined the medical view and treatment method of Jeon Suk-hee through th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reveals facts which include : 1) The medical treatment was based on korean medical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This, along with the case of Cheongkang Kim Young-hoon, is an example of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2) There is little effect of Shanghanlun (Treatise on Cold Damage). One side of Joseon medicine, which had a weak tradition of Shanghan, is revealed. 3) It did not simply follow the existing prescription of korean medicine's book. Examples include use of Cheongsin-san and Jeongjin-tang, which cannot be found in existing prescriptions.
Keywords
Korean medical history; Japanese occupation; Uisaeng (medical cadet); Jeon Suk-hee; Daegu; Dalseo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구현희. 일제강점기 임상한의서 제세보감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6;29(2):35-47.   DOI
2 김단희, 김남일. 의방신감에 나타난 한병련 의학사상. 한국의사학회지. 2009;22(1):31-46.
3 김단희, 김남일, 차웅석, 안상우. 한병련의 의방신감과 일제강점기 전염병에 대한 인식.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8;14(3):173-187.
4 김동율, 정지훈, 차웅석. 청강 김영훈의 거서화중탕 임상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5;28(1):143-158.   DOI
5 김동율. 청강 김영훈의 진료기록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6 김혜일, 정창현, 장우창, 백유상. 조선통신사 의학필담록 내용 분석.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5;28(4):202-203.
7 박지현. 한말 식민지기 유교 지식인 해악 김광진의 도시 이주와 의생 활동 그리고 지적 전환.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8 박지현. 유교 지식인 해악 김광진의 의생 활동과 그 의미. 역사학보. 2016;229:157-185.
9 박훈평. 일제강점기 영년의생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6;29(1):33-45.   DOI
10 박훈평. 일제강점기 의생 총목록 1. 대전:한국한의학연구원. 2017.
11 신동원. 1910년대 일제의 보건의료 정책. 한국문화. 2002;30:333-370.
12 신동원. 조선총독부의 한의학 정책: 1930년대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의사학. 2003;12(2):110-128.
13 오재근. 대구 의생 김광진의 동서의학 절충 그리고 한의학 혁신.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9;29(2):91-119.   DOI
14 오재근. 일제시대 의생 김광진의 황달 투병기. 의사학. 2019;28(2):427-468.
15 오준호. 청강의감의 구성과 내용. 한국의사학회지. 2014;27(2):63-74.   DOI
16 박지현. 식민지기 의생 제도와 정책의 운영. 대동문화 연구. 2019;106:317-343.
17 오준호, 박상영. 해남의 유의 조택승 조병후 부자 연구. 호남문화연구. 2012;52:137-163.
18 이정희. 일제강점기 대구의 제사업과 여성노동자의 실태. 민족문화논총. 2016;64:59-84.
19 정지훈. 청낭결에 관한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03;16(1):213-222.
20 정지훈. 일금방에 보이는 온보학설. 한국의사학회지. 2002;15(1):183-190.
21 정형우, 윤병태. 한국책판목록 총람. 성남: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22 차웅석. 수진경험신방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8;14(3):31-39.
23 차웅석. 청강 김영훈 진료기록 복원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1):1-12.
24 차웅석. 청강진료부 자료현황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4;25(2):119-126.
25 황영원. 일제하 조선 한의계와 한의학의 식민지 근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26 국립중앙도서관. 조선총독부 관보활용시스템(http://gb.nl.go.kr)
27 옥산전씨대종회 인터넷족보(http://www.yesjokbo.co.kr/jokboroot)
28 특허청. 한국전통의학지식포털(http://www.koreantk.com)
29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DB(http://people.aks.ac.kr)
30 한옥션(http://www.zhon.hanauction.com)
31 대구광역시 달성군청. 달성군 가창면 읍면소개(http://www.dalseong.daegu.kr/new/town/gach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