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1/jkmh.2015.28.2.001

Review on History of Local Medicinal Herb Festival  

Song, Jae-Min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Do, Mi-ja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Ahn, Sang-Woo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Jung, Ji-Ho (Dept. of History, College of Humanities, Kyung Hee University)
Kim, Namil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v.28, no.2, 2015 , pp. 1-1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 Local medicinal herb festivals present the history of the Korean medicine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region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attracting tourists, vitalizing local economy, and improving the local im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festival and grasp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of local medicinal herb festivals. Methods : I compared the books and articles presented in the reference list. Results & Conclusions : Local medicinal herb festivals originates from traditional yangnyeongsi. Since the $17^{th}$ century, yangnyeongsi has grown up as a special market. Implementation of the Daedong Act promoted commodity and monetary economy that helped commerce and industry develop and market grow up. It also made changes in the social status system and yangnyeongsi has been such a historical phenomenon appeared in this social background. The growth of yangnyeongsi contributed to the progress in the private medicine that triggered the gradual transfer of power in the medicine to the private sector which has long been held by the government. In yangnyeongsi, there were many cultural events to attract visitors. It's the same case in China that preserves stages that were used for cultural events in the medicine market to pass down the historic sites while those in Korea are disappearing as yangnyeongsis are being pulled out of the city areas to the suburban areas due to the redevelopment projects. For this reason, restoration of the place for traditional yangnyeongsi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rough local medicinal herb festivals.
Keywords
Local medicinal herb festival; Korean medicine; Histor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Relph E.C, 심승희, 김덕현, 김현주 역. 장소와 장소상실. 서울:논형. 2005.
2 김남일. 제7장 조선후기의 의학. 김남일, 김인락, 김적, 박찬국, 신영일, 신순식 외. 한국한의학사 재정립(하). 서울:한국한의학연구소. 1995.
3 김남일. 한의학에 미친 조선의 지식인들-유의열전. 파주:들녘. 2011.
4 김영순, 구문모, 조성면, 이미정, 오장근, 왕치현, 등. 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 성남:북코리아. 2010.
5 김영순, 최민성, 강윤주, 김상숙, 박지선, 백승국, 등. 축제와 문화콘텐츠. 서울:다할미디어. 2006.
6 김홍열. 축제의 사회사. 파주:한울. 2010.
7 박찬국. 한의학 특강. 서울:집문당. 2004.
8 윤선자. 축제의 문화사. 파주:한길사. 2008.
9 이어령. 한의학, 미래의 가능성을 만나다. 이어령, 소광섭, 오명, 이상희, 서정선, 김용옥 외. 21세기 한의학을 위하여. 서울:경희대학교 출판국. 2009.
10 이재룡. 진상한국사24권(조선초기의 경제구조). 국사편찬위원회. 과천:국사편찬위원회. 1994.
11 구현희, 안상우. 의료설화를 통해 본 명의 류의태의자취 연구. 영남학. 2009;16:379-415.
12 구현희, 안상우. 의료설화에 나타난 의학적 처치의 사실성과 의미. 한국의사학회지. 2010;23(1):11-22.
13 권병탁. 대구약령시의 보건경제사적 고찰. 대구약령시론. 경산:영남대학교 출판부. 1986.
14 권병탁. 약령시 연구(2), 15-16세기의 鄕醫藥. 民族文化論叢. 1984;6(1):151-173.
15 권병탁. 약령시 연구(VI), 18세기 藥令市 發展의 背景, 영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1985;5(1):101-122.
16 권병탁. 약령시 연구(IV)-발생, 생명설의 비판. 새마을 지역개발연구. 1985;6:84-107.
17 김귀자, 이선경. 한방축제의 장소마케팅이 지역축제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구한방문화축제를 중심으로. 컨벤션 연구. 2013;34:137-158.
18 김기정. 문화유물론을 통해 본 호이징아 놀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9 김종박. 明, 淸 시기 농촌경제와 市鎭. 詳明史學. 2006;16:409-430.
20 김현철, 홍경완. 축제 감정의 인지적 평가모형에서 관여수준의 역할. 관광연구. 2007;22(3):143-162.
21 민찬. 동구 전통시장 및 시장축제에 관한 논의 서설. 지역학연구. 2003;2(1):203-221.
22 박상영, 안상영, 권오민, 한창현. 한의학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축제 현황 분석.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9;15(1):49-54.
23 서일교, 김진원. 관광학 관점에서의 웰빙의 개념적 정리와 웰빙관광상품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고황논집. 2005;37:197-226.
24 손영석. 조선시대의 약령시장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학회. 1993;6:125-156.
25 송학준, 문지효, 최상수, 이충기. 한방의료 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011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 연구. 2013;22(3):221-233.
26 신국원. 대중예술의 통합적 비평을 위한 접근. 철학논집. 2005;10:111-147.
27 신창렬, 송학준, 이충기. 축제 품질, 축제 주제 인식, 지각된 가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연구 : 2010 제천국제한방바이오엑스포를 사례로. 한국관광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1;2(7):346-362.
28 심규원, 이주희.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 약령시 한방축제를 대상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10;14(1):31-39.
29 윤웅세, 정성화. 한약축제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2013;13(2):21-28.
30 안상우. 제천약령시 전통과 의약문화. 지방사와 지방문화. 2009;12(2):271-311.
31 이경은. 고창모양성제와 지역공동체 활성화, 뒤르켐의 의례이론을 중심으로. 지방자치연구. 2010;14:87-108.
32 이민호. 명 중기 민간 의약업의 성장과 '棄儒爲醫'. 중국사연구. 2008;55:145-174.
33 이민호. 淸代 '懷慶藥商'의 商業 活動과 네트워크 形成-協盛全과 杜盛興을 중심으로. 明淸硏究士. 2011;35:313-337.
34 이민호. 淸代 祁州藥市에서 활동한 상인의 유형 분석.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12;18(1):13-23.
35 이민호, 안상우. 明, 淸代 祁州藥市의 成長과 '藥王廟'. 대한본초학회지. 2009;24(4):31-37.
36 이선경, 윤세남. 축제 방문객의 체험동기가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방문화축제를 중심으로. 컨벤션 연구. 2013;35:85-101.
37 장은경. 캐릭터 마케팅을 활용한 한방지역축제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2012;10:216-228.
38 정우철. 지역축제에서의 이해관계자간의 만족도에 대한 비교 분석 - 대구 약령시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2010;5(1):327-347.
39 정창현. 산림치유에 대한 도가양생방면의 고찰. 도교문화연구. 2011;35:239-262.
40 조영헌. 大運河와 徽州商人-明末, 淸初 進, 揚 地域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41 최승국. 지역관광축제 참가자 만족도 연구-제천한방 축제를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2006;2(1):55-70.
42 김남일. 한의학은 의학이자 문화입니다. 이코노미 조선. 118호. 2014.
43 동의보감기념사업단. 동의보감 발간 400주년 기념사업 최종보고서. 대전:한국한의학연구원. 2010.
44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한국 지역축제 조사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총괄보고서. 서울: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https://www.kcti.re.kr/03_1.dmw?method= view&reportId=100&isSearch=true&reportCategory= -1&reportTitle=true&userName=true&reportContent=true&value=%C7%D1%B1%B9+%C1%F6%BF%AA%C3%E0%C1%A6+%C1%B6%BB%E7%C6%F2%B0%A1+%B9%D7+%B0%B3%BC%B1%B9%E6%BE%C8+%BF%AC%B1%B8+%C3%D1%B0%FD%BA%B8%B0%ED%BC%AD&reportSeq=490&pageNum=1&groupNum=1
45 전영옥. 웰빙 문화의 등장과 향후 전망. 서울:삼성경제연구소. 2005. http://m.seri.org/doc/mov03.html?menu=&menucd=0101&pubkey=db20050503001&npage=1&fla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