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1/JKMH.2014.27.2.011

A Study on the Changes in Regulations Regarding Approval, Notification and Review of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and Crude Drug Preparations - From 1948 to 2012 -  

Eom, Seok-Ki (Dept. of Medical Consilience,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Nexia Nano Cancer Institute, Dan-Koo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v.27, no.2, 2014 , pp. 11-3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changes in regulations that are relevant to approval, notification, and review of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and crude drug preparations. Methods : I collected the regulations of approval, notification, and review of medicinal products mostly from official gazettes, analyzed enactment and amendments regarding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and crude drug preparations, and studied it from the view point of Korean medicine field. Results : Regulations in regards to approval, notification, and review of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and crude drug preparations were first established in 1978. Herbal drugs started to be categorized as crude drug preparations in 1981 and the regulatory outlines were completed in 1999. From 2008 to 2012, the regulatory standards that let crude drug preparations be new drugs from natural products were established. Through those procedures, the followings became crude drug preparations: 1) wholly new prescriptions that are not recorded in Korean Medical Classics, 2) prescriptions that are recorded in Korean Medical classics but prepared with new standard, composition and efficacy, 3) prescriptions that are recorded in Korean Medical classics but prepared with new formulation, and 4) herbal drugs. In case of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however, only regulations that are related to 1) drugs prepared with new compositions that are not recorded in Korean Medical Classics, 2) drugs with same prescription and same formulation, and 3) drugs with new formulation were arranged. Conclusions : Actual circumstances on crude drug-oriented regulations regarding approval, notification and review and future forms of prescription and drug administration in Korean Medical Institutions can be expected due to expansion in range of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and shrink in that of on-site preparations. Reasonable improvement in efficient usage of modernized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in Korean medical institutions and prospective cooperation from related pharmaceutical industry are needed.
Keywords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Crude Drug Preparations; Natural Product New Dru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윤경, 조선영, 김지연, 강연석. 생약제제의 의미 변천과 정책적 문제 검토.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13 ; 21(2) : 29-4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 엄석기, 김세현, 김경석, 박상재, 어완규, 최원철. 한의학임상에 기초를 둔 천연물신약 연구과정에 대한 소고- 역사적 근거 발굴부터 천연물신약 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까지-.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10 ; 23(4) : 63-102.   과학기술학회마을
3 엄석기. 의약품 관련 법규상 개념 정의의 시행연혁에 관한 소고.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4 ; 18(1) : 23-41.   과학기술학회마을
4 엄석기. 한약, 한약재, 생약과 천연물의 법규상 개념 및 정의의 문제점과 개선안.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4 ; 27(2) : 77-95.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5 신현규. 한약 및 한약제제 관리와 연구개발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0 ; 20(2) : 14-24.   과학기술학회마을
6 장일무. 천연물신약: 뭔 약인가?. Bioin 스페셜 WebZine. 대전 : 생명공학연구센터. 2011 ; 20 : 17.
7 식품의약품안전청 바이오생약국. 의약품의 품목허가 신고 심사규정 중 생약(한약)제제 관련 해설서. 서울 : 식품의약품안전청. 2009 : 302.
8 대한민국정부 공보처. 관보 제1159호. 서울 : 대한민국 정부. 1954.8.16 : 4.
9 대한민국정부 공보처. 관보 제1261호. 서울 : 대한민국 정부. 1955.1.24 : 8.
10 대한민국정부 공보실. 관보 제1349호. 서울 : 대한민국 정부. 1955.6.25 : 6.
11 대한민국정부 공보실. 관보 제2076호. 서울 : 대한민국 정부. 1958.7.9 : 8.
12 대한민국정부 공보부. 관보 제3917호. 서울 : 대한민국 정부. 1964.12.17 : 20.
13 대한민국정부 공보부. 관보 제4234호. 서울 : 대한민국 정부. 1965.12.30 : 328.
14 대한민국정부 총무처 법무담당관. 관보 제5629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70.8.20 : 206.
15 대한민국정부 총무처 법무담당관. 관보 제5846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71.5.12 : 28.
16 대한민국정부 총무처 법무담당관. 관보 제7384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76.6.29 : 24.
17 대한민국정부 총무처 법무담당관. 관보 제7914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78.3.31 : 180.
18 대한민국정부 총무처 법무담당관. 관보 제8746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81.1.21 : 36.
19 대한민국정부 총무처 법무담당관. 관보 제11389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89.11.28 : 80.
20 대한민국정부 총무처 법무담당관. 관보 제12016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92.1.11 : 160.
21 대한민국정부 총무처 법무담당관. 관보 제12454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93.7.1 : 160.
22 대한민국정부 행정자치부 기획관리실 법무담당관. 관보 제12772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94.7.23 : 128.
23 대한민국정부 행정자치부 기획관리실 법무담당관. 관보 제12820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94.9.22 : 144.
24 대한민국정부 행정자치부 기획관리실 법무담당관. 관보 제12835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94.10.11 : 48.
25 대한민국정부 행정자치부 기획관리실 법무담당관. 관보 제13532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97.2.11 : 80.
26 대한민국정부 행정자치부 기획관리실 법무담당관. 관보 제13672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97.7.31 : 128.
27 대한민국정부 행정자치부 기획관리실 법무담당관. 관보 제14130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99.2.11 : 192.
28 대한민국정부 행정자치부 기획관리실 법무담당관. 관보 제15107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2002.5.23 : 112.
29 대한민국정부 행정자치부 기획관리실 법무담당관. 관보 제14388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1999.12.22 : 288.
30 대한민국정부 행정자치부 기획관리실 법무담당관. 관보 제14825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2001.6.14 : 96.
31 대한민국정부 행정자치부 기획관리실 법무담당관. 관보 제15163호. 서울 : 대한민국정부. 2002.8.1 : 64.
32 대한민국전자관보(Available from: http://gwanbo.korea.go.kr/main.gz)
33 식품의약품안전처(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
34 국가법령정보센터(Available from: http://www.law.go.kr/main.html)
35 신약에 대한 정의 내려. 매일경제신문. 1977.12.24 : 6면
36 신은주. 한약제제 과학화 표준화로 접근성 높일 것. 민족의학신문. 2012.6.28.
37 손정은. 나고야의정서 파생물 포함되면 영향 심각. 메디포뉴스. 2012.1.13.
38 권오민. 나고야 의정서. 대전일보. 2011.7.25 : 15면
39 김대영. 한약제제 성분프로파일 품질기준 도입되나? 한의신문. 201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