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Modernization of Stage Costume of Opera 『Faust』 -Focused on The Supporting Actors-  

Byun, Zee-Hyun (Dept. of Clothing, KyungWon University)
Cho, Jean-Suk (Dept. of Clothing, KyungW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v.10, no.2, 2008 , pp. 138-14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pera costumes are a tangible medium to directly affect how opera singers performed. Therefore, stage costumes have been designed in various ways to reflect intentions of directors. This study examines modernization of opera costumes. For this study, the author worked as one of costume design staff for "Faust" which was played in Sung-Nam Art Center from November 24, 2005 to November 27, 2005 in commemoration of the opening of the center. The following outcomes of the supporting actors are drawn from this study. Martha wore a grey jacket and a long skirt with slash. Grey suit symbolized chastity but tight long skirt with slash means sexy. Valentin wore military and combat uniforms to express that he was a soldier. The military uniform represented the situation before the war and the combat uniform symbolized the situation after the war. Rather short trousers, a white tweed jacket, purple flower ornament, a light green vest, and a beret were used to express Wagner, who looked ridiculous and always tried to flirt. Overalls, a blue jumper, and a scarlet baseball cap were used to make Siebel look naive and homely. Modern opera costumes now help reduce the time and space between stage and audience, improve economic efficiency and meet the audience's needs for various style.
Keywords
stage costume design; modernization; Faust; supporting actor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인미 (2003) 오페라 무대의상의 현대적 디자인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류춘화 (2002) 오페라 <아! 하멜>의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정흥숙.이승연 (2004) 무대의상의 이해와 디자인 과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정진화 (1996) "무대미술 아카데미". 한국 문예진흥원. 서울, pp.2-3
5 간문자 (1986) "오페라 COSI FAN TUTTE를 위한 무대의상 연구". 호남대학교 논문집, 7(2), 295-311
6 윤경희 (1988) 파우스트의 무대의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수진 (2004) 오페라 Tosca의 무대의상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양숙희 (1997) "오페라 의상과 무대조명의 시각적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지 12(1). 133-158
9 이영주 (1996) Handel의 오페라 Rinaldo의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정흥숙.배정은 (2001) "오페라 마농레스꼬의 무대의상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생활과학 논문집, 14, 209-231
11 박찬기 (1984) "독일문학사". 일지사, 서울, p.140
12 이근삼 (1985) "서양연극사". 탐구당, 서울, p.139
13 조진숙 (2000) "패션디자인은 논리다". 패션인사이트, 서울, p. 113, 117
14 이상봉 (1990) Opera La Traviata를 위한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조성진 (2005. 11. 24.) "오페라 파우스트 팜프렛". p.10
16 김차주 (2000) 오페라 AIDA의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Gassner J. (1953) "Producing the Play". Holt Rinehart & Winston Inc., New York, p.118
18 이선영 (1997) Puccini의 Opera Tosca의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현선희.김옥진(1999). "Verdi Opera La Traviata의 무대의상 연구". 전남대학교 가정과학연구, 8, 86-101
20 배링거 M. S. (1991) "연극 이해의 길". (이재명 역). 평민사, 서울. (원저 1984 출판)
21 홍경호 (1987) "독일문화의 전통". 범우사, 서울, p.33
22 김문환 (2007) 미래사회와 복식문화: 사회 미학적 전망. 복식문화학 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p.29
23 한국괴테협회 (1983) "괴테연구". 문학과 지성사, 서울, p.14
24 Wilson E. (1985) "The Theatre Experience". Magraw-Hill, New York, p.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