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Flower Patterned Fabrics of Exhumed Clothing in Chosun Dynasty  

Park, Mun-Young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Kim, Ho-Jung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v.10, no.1, 2008 , pp. 22-2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study, it is investigated the types and the compounding method of flower patterns and the uses of flower patterned fabrics in Chosun Dynasty. Research was done through the references of exhumed clothing during 16-17th century. Our ancestors had used the various flower patterns based on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onto the fabrics. The flower patterns on the fabrics were expressed with the other patterns such as treasure patterns, letter patterns or bird patterns. And the flower patterns symbolized the various good meanings such as longevity, integrity and prosperity etc. In the order of the percentage, the types of the flower patterns were shown Lotus(27.31%), Arabesque(26.85%), Japanese apricot(14.81%), Peony(8.79%), Flowering plants(6.94%), Chrysanthemum(6.01%), Pomegranate(2.31%) patterns and so on. Especially the Lotus pattern was shown up most frequently. That of shape was designed as blooming(開花), full bloom(滿開) and the side of flower(側面). By the compounding method, the compound types mixed with the other patterns were used much more than the individual types composed by its own pattern. The flower patterns were used a lot in Jeogori(Jacket) regardless of the ganders and in men's Po(coat) including Cheollik(天翼), Dappo(胡), Jeonbok(戰服), Dahnryoung(團領), etc. Also contrary to these days, the flower patterned fabrics had come out in the shrouds. Judging from these facts, our ancestors wished that the meaning of the immortal life was included in the flower pattern.
Keywords
flower patterned fabrics; lotus pattern; Arabesque pattern; Japanese apricot; flowering plants; shrou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영자.김명숙.장인우.이수봉 (1999) "조선시대복식연구". 학연문화사, 서울, pp. 21-27
2 김재임.박춘순 (1999) 중국의 모란문양 연구. 복식, 44, 57-75
3 박문영.김호정.박옥련 (2006) 16-17세기 직물유형과 문양의 배치 구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4), 400-406
4 서울 박물관 (2003). 조경묘출토유의-풍양조씨기증-"
5 최학근 (1982) "국어사전". 선일문화사, 서울, p. 436
6 한국전통복식연구회 (2000) "전통복식". 경춘사, 서울, pp. 8-10
7 황호근 (1979) "한국문양사". 세화당, 서울, p. 123
8 임영주 (2006) "한국의 전통문양". 대원사, 서울, p. 168
9 천애경 (2002) 한국 전통문양에 나타난 조형성과 상징성 연구-직물 문양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장현주 (2004) 직물에 나타난 구름문양의 유형과 특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2), 169-176
11 임현주 (2003) 조선시대 16-17세기 출토복식의 직물유형 및 문양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노미웅 (1989) 한국전통문양의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주영 (2003). 조선시대 철릭의 피륙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송미경 (2002) 18세기 여성 염습의 일례에 관한 고찰. 복식 52(6), 115-126
15 임현주.조효숙 (2004). 조선시대 1617세기 출토복식의 직물 유형 및 문양에 관한 연구. 복식, 54(8), 113-128
16 경기도 박물관 (2003) "동래정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서울 사당동 흥곡공파 일가-. 경기사
17 이승희 (1997) 꽃 이미지에 관한 도자 도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임영주 편저 (2000) "전통문양자료집". 미진사, 서울, pp.39-50
19 정미숙 (1998) 조선시대 화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하미자 (1997) 보문에 관한 연구-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칠보, 팔보문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은주 (1999) 16세기 중엽 여성 염습의의 일례. 복식, 48, 152-154
22 경기도 박물관 (1991) "조선의 옷매무새- 광주 고읍 의원군 일가 출토복식-". 민속원
23 박옥련 (2000) "한국전통복식문양사". 형설, 서울, pp. 42-60
24 이윤정 (2003) 동서양 복식에 나타난 식물문양의 종교적 상징성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5(3), 37-48
25 국립문화재연구소 편저 (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 직물". 눌와, 서울, p. 47
26 송미경 (2003). 여흥 민씨(1586-1656)묘 출토복식. 복식 53(4), 177-186
27 안동대 박물관 (2000)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 보고서-일선문씨와 이응태 묘 출토복식 고찰-"
28 윤애정 (2000) 16세기 상의류의 구성적 특징에 관한 고찰-안동 고성이씨가 분모출토복식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정인 (2000) 조선시대 문직물에 나타난 문양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복식 2000년". 신유, 서울
31 이주영.장현주.도주연.장정아 (2004) 보문의 유형과 조형성 연구. 복식, 54(2), 11-23
32 황의숙 (1995) 한국여성 전통복식의 양식변화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임영자.순남숙 (2000) 다산의 악수설에 관한 연구. 복식, 50(2), 5-13
34 남민이 (2001) "현대생활 속의 상장례". 학문사, 서울, p. 53
35 박진영 (2000). 조선시대 복식유물에 관한 연구-소장현황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경기도 박물관 (2004) "심수륜묘 출토복식-용인출토청송심씨 정이공파-". 경기사
37 단국대 박물관 (2004) "명선(中)". 단국대학교
38 석주선 기념박물관 (2001). "조선시대 피륙 무늬". 단국대학교
39 조효숙.임경화.김지연 (2003) 조선시대 출토복식 중 포류에 사용된 직물유형연구. 복식, 53(4), 113-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