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Us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Incense  

Lee, Ky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Lee, Joo-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Kwon, Young-Suk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v.7, no.4, 2005 , pp. 394-40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istorical background which us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incense and how to use it in clothes. Incense was at first introduced to Korea in the period of King Nulji of Shilla dynasty. First introduction to this nation, incense was already regarded as divine. It was then developed with five main uses, tribute, fragrance, purification, anti bacteria, and cure. Incense used by fragrance and anti-bacteria in clothes. It make emit a fragrance from the clothes or decorate clothes with ornaments. Incense was also to prevent clothes or books from being damaged by insects and maintain them over a long period. It used one of the factor for beauty of costume.
Keywords
Korean traditional incense; uses; clothes; tribute; fragrance; purification; anti-bacteria; cur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 (1998) '한국민속대사전'. 국민서관, 서울, pp.1320-1322
2 홍윤식 (1997) '해인사 금동비로자니불 복장유물의 연구'. 성보문화재연구원, pp.28-33
3 안점우.김정연.김동일(2000) 향기요법의 임상응용과 한의학적 접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3(1), 557-570
4 이법산 (1997) 향을 피우는 의미 동국대학교 정각도량, 34, 25-28
5 이성희 (2000) 향요법마사지의 심리신경면역학적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6(2), 382-380
6 조효순 (1988)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일지사, 서울, p.394,397
7 하혜정 (1999) 향 요볍이 혈액투석 환자의 피부건조와 소양증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9(6), 1284-1293
8 隆昌洙.安徳均 (1973) '現大本草學' 高文枇, 서울, pp.468-486
9 韓美京 (1998) 薬用植物の纖維類古文化財の歴史的考察とその防虫有效 性に関する研究. 昭和女子大學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0 高麗史 의종 계미 17년
11 三國史記 巻 第四 新羅本紀 第四- 法興王 十五年
12 朝鮮王朝寅録, 세종 7년 12월
13 祭儀抄, 出入儀 参禮儀
14 www.ocp.go.kr
15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서울, p.402
16 이경자.홍나영.김석환(2003) '우리옷과 장신구' 열화당, 서울,p 129,130,131,150
17 이상희 (1998) '꽃으로 보는 한국 문화'. 넥서스, 서울, pp.252-253
18 朝鮮王朝寅録, 세종 5년 5월
19 강병길 (1992) '齊衆新編'. 여강출판사, 서울, pp.424-428
20 김진옥 (2002) '아로마 냄새의 문화사' 현실문화연구, 서울, pp.26-117
21 이해준 (1983) '埋香신앙과 그 주도집단의 성격' 김철준박사환갑기념사학논총, pp.367-390
22 정용석.오민석.송태원 (1999) 香讀에 나타난 향기요법에 대한 고찰. 한방재활의학회지 9(1), 316-343
23 국립중앙박물관 (1991) 佛舍利莊嚴. pp.l12-123
24 김나영 (2002) 만전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량완 (1975) '閨閤輩書' 寶晉薪, p.173,174,194
26 이선재.이미석 (1997) 향집에 관한 연구. 복식, 33, 117-142
27 김현준 (1999) '예불 그 속에 깃든 의미' 효렴, 서울, pp.35-40
28 조선화보사 (1985) 북한고고학술총서${\circled8}$ 고구려고분벽화. 화보 5
29 三國史記 巻 第四 十一 列侍 第一 金庚信 上
30 강우방 (1993) '한국 불교의 사리장엄' 열화당, 서울, pp.17-19
31 홍사준 (1971) '월정사팔각구층석탑 해체복원략보, 고교미술 112권' 한국미술사학회, 서울, pp.14-24
32 四禮便覧 喪禮 潘
33 송태원 (2002) 香氣標法(傑香)이 진정 및 항경련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6(3), 567-570
34 喪禮秘耍 喪禮 潘
35 정용재.이규식.한성희.강대일.이명희 (2001) 五香 성분의 살균 및 살충효과. 보존과학회지10 생명과학연구, 4(1), 21-30
36 氛則健義 紳氛通 鼻涌
37 www.cafe.daum.net/incense
38 김종윤.정용석 (1998) '宣和奉使高麗圖經' 움직이는 책, 서울, p. 203,274,279,280
39 석주선 (1981) '장신구' 단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pp.132-146
40 奈良園立博物館 (1997) 正倉原展. p.29,81,86,87,90,91
4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조선시대 관혼상제(II) 상례편(I). 增補四 禮便賢
42 高麗史 현종 기미 10년
43 www.britannica.co.kr
44 三國史記 巻 第四十五 列侍 第五 溫達
45 오현주.송태원 (1997) 문헌에 나타난 향기요법에 대한 고찰. 동방재활의학회지, 7(1), 546-559
46 정용석.김종윤 (1998) '宣和奉使高麗圖經'' 움직이는 책, 서울, p.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