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Dividinism of Collar of Costume in the Cultural Pattern of Post-Modernism  

Park, Seon-Yeo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Kyunghee University)
Nam, Yun-Ja (Dept. of Clothing & Textiles, Kyunghee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v.5, no.3, 2003 , pp. 227-23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ost-modernism social cultural pattern has been reflected in collar of costume. In the classes social, collar in costume is the expressive medium of ideology and status symbol such as Passium of ancian Ezypt and Byzantin collar which is examined religion belif. The conspicuous function of collar can be examed as the ruff collar, which is the expressive medium of self-confidence, but the whisk collar and the flat collar means decline the authorized conspicous function. In the cultural pattern of Post-modernism, collar in costume presents the coexistence of double-sides value such as androgyny, dividinism and eclecticism. For example, the tailored collar or shirt collar in women's suit with delicate materials express the self-confidence, energy and intelligence, and the round collar or the draped collar in men's suit with rough material express the sensibility and liberty. In the deconstructivity through breaking the basis form of the collar, callar can be transformed in to sleeve, cape or hat on occasion. In conclusion, the function of collar changes by the cultural pattern and expresses the spirit.
Keywords
Post-modernism; collar of costume; coexistence of double-sides value; androgyny; divldinism; eclecticis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영희. 이명호. 김영미 (1992) '포스트모던 여성 해방론 딜레마'. 여성과 사회. 서울. p.62
2 김익두. 이월영 (1993) '페미니즘 이론'. 문예출판사, 서울, p.67
3 박선영 (1993) 꽃의 형태를 응용한 칼라 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의정. 양숙희 (1998) '페티시즘'. 경춘사, 서울, pp.200-223
5 이종남 (1998) '복식의 역사'. 까치 가정학, 서울, p.29, 382
6 정정호. 강내희 (1998) '포스트모더지즘론'. 문화과학사, 서울, p.21
7 정현숙 (1995) 패션에 표현된 포스트모더니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사학위논문
8 Kaplan A.G. (1989) 'Phychology and Sex Role'. Little, Brown and Compnay, p. 76-79
9 Rowbotham S. (1992) 'Women in Movement: Feminism and Social Action'. Routledge, New York, pp.89-94
10 강혜원(1993) '의상심리' 교문사. 서울. p.165.251
11 김홍의 (1994) '여성 그 다름과 힘'. 삼신각, 서울, p.185
12 손보경 (1997) 현대복식에 나타난 페미니즘 양식에 관한 연구. 서울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인자 (1984) '복식사회심리학'. 수학사, 서울, p.49
14 임영방 (1993) 포스트모더니즘과 미술: 건축에 있어서의 다의성과 절충주의예술과 문화연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예술문화연구소, 서울, p.148
15 박기원 (1986) '패션 코디네이트'. 유신문화사, 서울, p.142
16 김희균 (1993) 현대복식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양식 연구. 90년대 후반 복식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장희숙 (1994) 'Feminism'. 열화당, 서울, p.44
18 Hollander H, (1978) 'Seeing Through Clothes'. Avon, pp.1-2
19 심정순. 염경숙 (1995) '페미니즘 이론 사전'. 삼진각, 서울, p.31
20 도규희. 권미정 (1992) 복식에 페미니즘과 에로시티즘, 경북 산업대학논문집, 414-415
21 임숙자. 김숙경. 류은정 (1991) '의복의 심리학'. 교문사, 서울, p.30
22 나현신. 전혜정 (2000) 현대패션에 나타난 역사주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4), 463-474
23 Laver J. (1982) 'Costume and Fashion', Thames and Hudson, p.215
24 신복순 (1998) '이집트 문명과 예술'. 대원사, 서울, pp.260-262
25 윤영내 (1985) '제2의 성 : 자유스러원 여자역'. 자유문학사, 서울, pp.12-39
26 Bradly C.G. (1954) 'Westem World Costume'. prentice Hall Inc., p.189
27 Carol H.P. (1975)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Norton, New York. pp.5-21
28 신상옥 (1982) '서양복식사'. 수학사, 서울, p.12
29 유송옥 (1996) '복식문화'. 교문사, 서울, p.273
30 안흥구 (1990) 포스트모더니즘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Picken M.B. (1973) 'The Fashion Dictionary'. Funk and Wagnall, New York, p.2523
32 Thomas B.J. (1982) 'A Practical Approach to Costume Design and Constraction l'. Allyn and Bacon Inc., Bostion, p.40
33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소 (1991) '여성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서울, p.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