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off Kohung Peninsula, Korea  

한경호 (여수대학교)
황동식 (여수대학교)
신영호 (전남도청)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v.14, no.1, 2002 , pp. 45-5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ichthyoplankton were sampled during four different months (2000) to study their seasonal vari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f Kohung Peninsula. During the study, the fish eggs were identified to eight taxa, seven of which were identified to species level, and one identified to order. The most dominant species, Engraulis japonicus, accounted for 52.1% of the total fish eggs, followed by Leiognathus nuchalis (12.3%), Sillago sihama (8.6%), Maurolicus muelleri (8.6%), Sardinops melanostictus (4.0%), Konosirus punctatus (1.0%) and Cynoglossus joyneri (0.2%). The collected larvae and juveniles were identified to 37 taxa (33 genera, 26 families, 8 orders). Of these, 33 were identified to species level, and two were identified to genus and family level,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Engraulis japonicus, accounted for 31.7% of the total larvae and juveniles; it was followed by Gobiidae (46.2%), Pholis nebulosa (5.4%) and Syngnathus schlegeli (2.3%). These four taxa constituted 85.6% of the total collected larvae and juveniles.
Keywords
Kohung Peninsula, species composition, ichthyoplankton, eggs, larvae and juvenil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유재명∙김 성∙이은경∙이종수. 1992. 진해만의 부유성 어란과 자치어 분포. 해양연구, 14(2) : 77~87
2 Shannon, C.E. and W. Wi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 Illinosis Press, Urbana, pp. 177
3 김용억∙한경호∙강충배∙고정락. 1994b. 고리주변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의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7(5) : 633~642
4 유재명∙차성식. 1988. 광양만 부유성 난∙자치어의 출현량변동. 해양연구, 10(1) : 79~84
5 차성식∙박광재. 1994. 광양만 부유성 난∙자치어의 분포. 한국어류학회지, 6(1) : 60~70
6 해양연구소, 1990. 순천만 어장 (양식장) 피해원인 조사연구. 해양연구소 연구보고서, 12~13
7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 한국동물명집 (곤충제외). 한국동물분류학회, 아카데미서적, pp. 489
8 Okiyama, M. (ed.), 1988.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pp. 1154
9 고유봉∙고경민∙김종만. 1991. 제주도 북방 함덕 연안역의 자치어 출현. 한국어류학회지, 3(1) : 24~35
10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pp. 727
11 한경호 양근석 진동수 유동재 오성현 황동식, 2001b. 고흥반도 주변해역에 분포하는 魚類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3(2) : 143~157
12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pp. 550
13 김종만∙유재명∙허형택∙차성식. 1985. 울산만 및 그 주변해역의 자치어 분포. 해양연구, 7(2) : 15~22
14 유재명∙김종만∙허형택∙차성식. 1987. 경기만에 출현한 자치어의 분포. 해양연구, 9(1, 2) : 15~23
15 임주열∙조문규∙이미자. 1970. 한국 근해에 있어서 자치어의 출현 분포. 수산자원 조사보고, 8 : 7~29
16 Pielou, E.C. 1966. An Inter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ley and Sons, Inc, New York, pp. 286
17 김용억. 1983. 남해창선해협의 자치어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16(3) : 163~180
18 한경호. 1999a. 완도 보길도연안에 분포하는 부유성난 및 자치어. 여수대학교 논문집, 14(2) : 547~552
19 한경호. 1999b. 여수 가막만연안에 출현한 부유성 난 및 자치어 분포,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8 : 111~119
20 김용억. 1981. 한국연근해 어난∙치어 도감. 부산수산대학교 해양과학연구소, pp. 109
21 유재명∙김 성∙이은경. 1993. 여자만에서 장마에 의한 담수 유입이 어란 및 치자어의 출현량에 미치는 영향. Ocean Research, 15(1) : 37~42
22 Smith, P.E. and S.L. Richardson, 1977. Standard techiques for fish egg and larve surveys.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NO. 175, pp. 100
23 차성식∙박광재∙유재열. 1991. 월성주변해역의 부유성난과 자치어의 분포. 한국어류학회지, 3(1) : 11~31
24 한경호∙윤연미∙양한춘, 1998. 광양만 묘도해역의 어류 군집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여수대학교 논문집, 13(2) : 1025~1046
25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 1~688   DOI
26 김용억. 1984. 대한 해협의 자치어 분포상. 한국수산학회지, 17(3) : 230~243
27 한경호∙김두용∙진동수∙신상수∙백승록∙오성현, 2001a. 순천만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仔稚魚. 한국어류학회지, 13(2) : 136~142
28 유재명∙김종만∙김용억∙차성식. 1990. 여름철 제주도 연안역의 치자어 분포. 해양연구, 12(2) : 73~85
29 김용억∙한경호∙강충배. 1994a. 아산만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의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7(5) : 620~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