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6114/jkood.2011.24.3.001

Effects of Scrophulariae Radix (SR)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CD) induced by DNCB in mice  

Song, Jin-Soo (동신대학교 한의과 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 교실)
Lee, Jong-Cheol (동신대학교 한의과 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 교실)
Choi, Jung-Hwa (동신대학교 한의과 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 교실)
Kim, Jong-Han (동신대학교 한의과 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 교실)
Park, Soo-Yeon (동신대학교 한의과 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 교실)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 v.24, no.3, 2011 , pp. 1-1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 In the theory of Korean medicine, Scrophulariae Radix (SR) can clear away heat and cool the blood, nourish yin and promote the production of the body fluids, relieve toxin and benefit the throat.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SR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CD) induced by 2,4-dinitrochlorobenzene (DNCB) in mice. Methods : In this experiment, effects of SR on clinical aspects on the skin, histopathological changes such as spongiosis, mast cell distribution, immune cell infiltration in tissue, spleen / body ratio and production levels of serum cytokines were investigated in vivo. In addition, effects on cell viability and release of b-hexosaminidase and histamine were also investigated in vitro. Results : SR treatment diminished erythema, desquamation and keratosis which were induced by repeated painting of DNCB. Spongiosis and edema were diminished by painting of SR in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infiltrations of mast cell and monocytes were also decreased in SR group. In addition, spleen / body ratio was lowered compared to ADC control group. Production level of IFN-${\gamma}$ in serum was decreased, but level of IL-4 did not affected by SR. Finally, more than 400 ${\mu}g/ml$ of SR treatment groups showed decreased cell viabilities in RBL-2H3 cells. Treatment with over 200 ${\mu}g/ml$ of SR decreased b-hexosaminidase release, and treatment with over 400 ${\mu}g/ml$ decreased histamine release in vitro. Conclusion : these data suggest that SR can decrease symptoms of ACD, then SR is useful to treat patient with ACD.
Keywords
Scrophulariae Radix (SR);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CD); DNCB;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9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진우 외. 玄蔘 水抽出物이 아밀로이드 前驅蛋白質로 形質變換된 초파리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2):121-31.
2 박규하 외. 玄蔘의 유전자 분석 및 자발성 고혈압흰쥐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8;23(2):213-23.
3 김대복 외. 玄蔘이 甲狀腺機能亢進症 誘發 흰쥐의 遺傳子 發顯에 미치는 影響. 대한본초학회지. 2007;22(4):9-19.
4 Hopkins JE, Naisbitt DJ, Kitteringham NR, Dearman RJ, Kimber I, Park BK. Selective haptenation of cellular or extracellular protein by chemical allergens: association with cytokine polarization. Chem Res Toxicol. 2005;18(2):375-81.   DOI   ScienceOn
5 Saint-Mezard P, Rosieres A, Krasteva M, Berard F, Dubois B, Kaiserlian D, Nicolas J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Eur J Dermatol. 2004;14(5):284-95.
6 Burk RL, Ackerman N. Small animal radiology and ultrasonograhy.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 1996:410-4.
7 정인조, 왕지환, 윤제웅, 이경우, 연성찬, 이효종, 이희천. 개에서 실험적으로 유발한 비장종대의 방사선학적 평가.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006;23(3):263-66.
8 Thomas J. Kindt, Richard A. Goldsby, Barbara A. Osborne. Kuby immunology. New York:W. H. Freeman and Company. 2006:8-16.
9 정해영. 사이토카인 분자생물학. 서울:월드사이언스. 2002:51-5.
10 안지영 외.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加味芎歸湯의 억제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24(2):290-5.
11 박응호 외. 加減平胃散이 산화적 손상과 접촉성 피부염에서의 면역 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7;16(2):131-45.
12 강윤호 외. 黃連解毒湯이 알러지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3):508-17.
13 배은영 외. 祛風燥濕解毒方이 접촉성피부염 유발 NC/Nga 생쥐의 면역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6):1491-8.
14 김성호 외. 桂枝芍藥知母湯이 DNCB로 유발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10;23(1):8-22.
15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공동교재 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11:235-6.
16 변성희, 양재하, 김상찬. 현삼메탄올 추출물이 LPS로 유도된 Raw 264.7 cell에서의 TNF-a, IL-1b, IL-6 및 nitric 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5;20(2):7-16.
17 고우신 외. LPS-자극 생쥐 복막큰포식세포의 NF-kB 활동 억제를 통한 현삼(玄蔘)의 산화질소 생산 억제 효과. 대한동의생리학회지. 2002;16(6):1284-90.
18 여의주, 한재경, 김윤희. 玄蔘이 NC/Nga mice에서 유발된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7;21(2):13-34.
19 김대식 외 역. 면역생물학. 서울:라이프사이언스. 2005:461.
20 Novak N, Bieber T, Leung DY. Immune mechanisms leading to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2003 Dec;112(6 Suppl):S128-39.   DOI
21 Shintani Futoshi, Step To Internal Medicine - 면역, 알레르기 질환. 서울:정담. 2005:44-7.
22 Gutermuth J, Behrendt H, Ring J, Jakob T. Model of contact dermatitis and atopic eczema. Drug Discovery Today: Disease Model. 2005 summer;2(2):135-40.   DOI   ScienceOn
2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요실 편. 의대생을 위한 피부과학. 서울:고려의학. 2011:30.
24 대한병리학회. 병리학. 서울:고문사. 2003:71-3.
25 이혜영 외. 피부과학. 서울:군자출판사. 2006:151.
26 이재령, 최경임, 박숙자, 권영규, 변성희. 금은화화장수가 DNCB로 유발된 접촉성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 2006;21(1):9-15.
27 백윤하. DNCB(dinitrochlorobenzen)로 자극한 NC/Nga 생쥐에서 丹蔘의 아토피 억제 효과.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8 김찬중 외. Allergy性 接觸皮膚炎에 대한 苦蔘, 黃連의 Iontophoresis 治療 效果.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5;18(1):199-220.
29 김윤희, 박영숙. 오가피열수추출물이 DNCB로 유도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흰쥐의 지질대사, 항산화능 및 표피회복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2006;38(5):668-73.
30 신광식 외. 生地黃 抽出物이 DNCB로 유발된 생쥐의 Allergy성 接觸皮膚炎에 미치는 影響. 대한방제학회지. 2000;8(1):257-79.
31 조용호 외. 植防風 莖葉이 白鼠에 유도된 알러지성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한의학과 중간발표논문. 2003.
32 김준정. 내탁천금산이 DNCB로 유발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9;22(1):46-61.
33 김난희 외. 牛芳解肌湯의 알러지성 接觸皮膚炎에 대한 消炎效果.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6;19(2):59-70.
34 박숙자 외. 소풍산 추출물이 DNCB로 유발된 접촉성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3):623-8.
35 변성희 외. 四妙勇安湯 물추출물이 DNCB로 유발된 접촉성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5;13(2):59-69.
36 김창환 외. 凉血四物湯加味方이 Allergy性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影響.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5;18(1):13-26.
37 남봉수 외. 散風苦蔘丸이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5;18(2):10-27.
38 김윤범 외. 백서에 유도된 알러지성 피부염에 대한 椒甘湯의 효과.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5;18(3):44-54.
39 김만석 외. Allergy性 接觸皮膚炎이 유발된 白鼠의 손상피부에 熱多寒少湯 煎湯液이 미치는 影響. 사상체질의학회지. 2002;14(3):97-113.
40 조세왕 외. 凉膈散火湯이 Allergy性 接觸皮膚炎에 미치는 影響. 사상체질의학회지. 2001;13(3):89-101.
41 Gunnes G, Jorundsson E, Tverdal A, Landsverk T, Press CM. Accumulation of CD25+ CD4+ T-cells in the draining lymph node during the elicitation of DNCB induced contact hypersensitivity in lambs. Research in Veterinary Science. 2004;77:115-22.   DOI   ScienceOn
42 대한피부과학회. 피부과학. 서울:여문각. 2008:125-33.
43 안성구, 이승헌, 박윤기. 흔히보는 피부질환. 서울:고려의학. 2009:13-4.
44 정종영, 한경환. 한국에 흔한 피부질환. 서울:엠디월드. 2009:37-48.
45 Kataranovski M, Vlaski M, Kataranovski D, Tosic N. Immunotoxicity of epicutaneously applied anticoagulant rodenticide wafarin : evaluation by contact hypersensitivity to DNCB in rats. Toxicology. 2003;188:83-100.   DOI   ScienceOn
46 Okamura T, Morimoto M, Yamance G, Takahashi S. Langerhans-cells in the murine oralmucosa in the inductive phase of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with 1-chloro- 2,4-dinitrobenzene. Clin Exp Immunol. 2003;134:188-94.   DOI   ScienceOn
47 Hopkins JE, Naisbitt DJ, Kitteringham NR, Dearman RJ, Kimber I, Park BK. Selective haptenation of cellular or extracellular protein by chemical allergens: association with cytokine polarization. Chem Res Toxicol. 2005;18(2):375-81.   DOI   ScienceOn
48 손미예, 남상해. 두충 추출물이 DNCB로 유발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과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7;36(12):1517-22.   DOI
49 Renauld JC. New insights into the role of cytokines in asthma. J Clin Pathol. 2001;54(8):577-89.   DOI   ScienceOn
50 Hayashi, M., Higashi, K., Kato, H., Kaneko, H. Assessment of Preferential Th1 or Th2 Induction by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Using a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Comparison of Two Mouse Strains, C57BL/6 and Balb/c. Toxicol. Appl. Pharmacol. 2001;177:38-45.   DOI   ScienceOn
51 Thomas J. Kindt, Richard A. Goldsby, Barbara A. Osborne. Kuby immunology. New York:W. H. Freeman and Company. 2006:8-16.
52 이승연, 강경화, 이해웅, 유선애, 김홍배, 류지효. 升葛湯의 제형변화에 따른 항알레르기 효과의 비교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8;22(1):103-11.
53 王元松 외. 皮膚科金方. 河北科學技術出版社. 2003:1-17.
54 강원형. 피부질환 아틀라스. 서울:한미의학. 2006:91.
55 吳軍 외. 中西醫結合皮膚性病手冊. 四川科學技術出版社. 2007:254-5.
56 萬力生 외. 皮膚科中西醫結合診療枝巧. 廣東科技出版社. 2005:139-44.
57 신민교, 정보섭. 鄕藥大事典. 서울:영림사. 2002:909-10.
58 안덕균. 한국본초도감. 서울:교학사. 2003:90.
59 이방원. 본초정요. 서울:일중사. 2002:152-4.
60 최윤희 외. Elevated Plus-Maze를 이용한 현삼의 항불안 효과 : GABA 신경계와의 관련성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24(3):47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