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cute Toxicity Study on Bangpungtongsung-san (Fangfengtongsheng-san) in Sprague-Dawley Rats  

Shin, In-Sik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Kim, Jung-Hoon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Ha, Hye-Kyung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Seo, Chang-Seob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Lee, Mee-Young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Huh, Jung-Im (안전성평가연구소)
Shin, Hyeun-Kyoo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 v.23, no.1, 2010 , pp. 111-11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cute toxicity and safety of Bangpungtongsung-san (Fangfengtongsheng-san) in Sprague-Dawley rat though the current regulatory guideline. Methods : The preliminary study showed that the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Bangpungtongsung-san (Fangfengtongsheng-san) did not induce any toxic effect at a dose level of 2000 mg/kg. Based on the results, 2000 mg/kg was selected as the limited dose. In this study, 10 rats of each sex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of 5 rats each and were administrated singly by gavage at dose levels of 0 and 2000 mg/kg. Mortalities, clinical signs, and body weight changes were monitored for the 15-day period following administration. At the end of observation period,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nd complete gross postmortem examinations were performed. Results : Throughout the study period, no treatment-related deaths were observed. There were no adverse effects on clinical signs, body weight, and gross findings at all treatment group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single oral adminstration of Bangpungtongsung-san (Fangfengtongsheng-san) did not cause any toxic effect at the dose levels of 2000 mg/kg in rats. In conclusion, the $LD_{50}$ of Bangpungtongsung-san (Fangfengtongsheng-san) was considered to be over 2000 mg/kg body for both sexes.
Keywords
Bangpungtongsung-san (Fangfengtongsheng-san); Acute toxicity; Safety; $LD_{50}$; Ra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OECD. OECD Guidelines for Testing of Chemical No. 423. Acute Oral Toxicity-Acute Class Method, Line 23 (Limit test). 2001. Available from: URL:http://www.oecd. org/dataoecd/17/50/1948370.pdf.
2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신현규.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항의 농도변화 - 감기약을 중심으로 -. 대한본초학회지. 2008;23(4):51-8.   과학기술학회마을
3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신현규.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항의 농도변화 - 십전대보탕 구성처방을 중심으로 -. 대한한의학회지. 2009;30(4):108-17.   과학기술학회마을
4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김종열, 이시우, 신현규.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의 전탕 전, 후의 농도변화 - 다빈도 태음인 사상처방을 중심으로 -. 사상체질의학회지. 2009;21(1):237-46.   과학기술학회마을
5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신현규.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 이산화황의 농도 변화 - 소화기계 약을 중심으로 -. 대한본초학회지. 2009;24(1):111-9.   과학기술학회마을
6 신정인, 김미랑, 서운교. 대상포진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 2002;23(1):147-52.   과학기술학회마을
7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신현규.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항의 농도변화 - 다빈도 한약 처방을 중심으로 -. 대한본초학회지. 2009;24(2):13-20.   과학기술학회마을
8 이동현. 방풍통성산 및 방풍통성산 가미방이 항알레르기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대학원. 1990.
9 劉完素. 宣明方論. 서울:여강출판사. 1998;卷十二:76.
10 성현제. 방풍통성산의 진통 소염 해열 및 항균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1984.
11 윤준철, 김홍준, 김유경, 정상수, 백은기, 김진만, 원진희. 만성 두드러기 환자 치험 4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6):1564-7.   과학기술학회마을
12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60호(2005년 10월 21일) '의약품등의독성시험기준'. 2005.
13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9-19호(2009년 5월 10일) '비임상시험관리기준'. 2009.
14 OECD. OECD Principles of Good Laboratory Practice. 1997. Available from: URL:http://www.olis.oecd.org/olis/1998doc.nsf/LinkTo/NT00000C5A/$FILE/01E88455.PDF.
15 이남훈. 防風通聖散이 고혈압 고지혈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1.
16 손정민, 홍승욱. 防風通聖散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모델의 피부 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7;20(1):99-114.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