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8121/kpea.2020.06.36.2.1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IoT for Container Terminal  

Jeon, Sang-Hyeon ((주)유비스)
Kang, Dal-Won (가톨릭관동대학교 항공경영물류학과)
Min, Se-Hong (부산테크노파크)
Kim, Si-Hyun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v.36, no.2, 2020 , pp. 1-1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Internet of things (IoT) has been applied to a variety of industrial uses such as public service sectors, medical industries, automotive industries, and so on. Led by smart cities, this is typical. However, from a logistics perspective, the level of application is insufficient. This study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IoT-related technology in a container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rive an applicable plan. Analytic network process (ANP)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results for IoT applications in container terminals: operating systems (26.7%), safety/environmental/security systems (26.4%), equipment maintenance systems (25.3%), and facility maintenance systems (21.6 %). The second ANP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results: Economy (40.2%), productivity (21.1%), service level (19.5%), and utilizing technology level (19.2%). The application or standard of evaluation is important when applying IoT technology to container terminals; however, it is not concentrated in a certain area. It is desirable to build each container system with linkage and efficiency from a macroscopic view.
Keywords
Container Terminal; Ubiquitous; Internet of Things; Applicability; Analytic Network Proc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동원.한근희(2018), 스마트의료 환경에서 보안위협 대응을 위한 최근 연구동향, 한국통신학회지, 제35집 제2호, 95-99.
2 김승용.황인철.김동식.문병무.오세용(2019), 고위험 직업군의 안전을 위한 IoT/ICT융합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제15권 제1호, 39-48.
3 김양범.최동운(2014), IoT기반의 축사 경영 관리 시스템 설계, 한국엔터테이먼트산업학회, 제8집 제1호, 207-216.
4 상맹.신용호.이철우,문준호(2017), 사물인터넷(IoT) 기술 특성이 SCM 기대성과 및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물류공급망 및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Information Syst ems Review, 제19집 제3호, 1-21.
5 신승목.장명희(2016), IoT기반 물류창고관리시스템 개선 사례연구, 세계해양발전연구, 제25집, 25-52.
6 신승윤.손명진.현창택(2013), ANP기반 도시환경정비사업의 변화관리 요인 도출 및 중요도 산정,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14집 제3호, 176-186.   DOI
7 이태석.권순동(2014), IoT기술 활용을 통한 Global SCM 관리방안,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809-814.
8 전용희(2017), 사물인터넷(IoT) 보안 모델링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5집 제12호, 17-27.   DOI
9 정윤수(2019), 클라우드 병원 IoT 시스템을 활용한 효율적인 환자 정보 송.수신 기법, 융합정보논문지, 제9권 제4호, 1-7.   DOI
10 조성우.원승환.최상희(2014),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 시스템에 따른 경제성 비교,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집 제3호, 121-140.
11 주종혁(2019),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Supply Chain Management 전략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산업 과학연구소, 産業科學硏究, 1-5.
12 최혁준.정현재(2017), 스마트 물류 동향 및 평택항 IoT 적용방안, e-비즈니스연구, 제18권 제6호, 145-158.
13 최형림(2015), IOT기술과 물류혁신,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1-16.
14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2014), 사물인터넷 R&D추진 계획
15 해양한국(2015), 특집기획 Smart Logis 2015-IoT와 물류
16 BDI(2014), 사물인터넷(IoT)시대 도래와 부산의 대응, BDI정책포커스 제257호, 1-12.
17 IDC(2019), Worldwide Internet of Things Spending Guide
18 KMI(2018), KMI 동향분석, VOL 98
19 Saaty.Kearns(1985), Analytical planning: The Organization of Systems, Pergamon Press, Oxford.
20 Saaty, T.L(1996),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RWS Publications, Pittsburgh
21 KT 경제경영연구소(2014), IOT시대의 기회와 전략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