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22/JGTE.2014.24.6.961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Gifted Student's Brain Dominance and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Kwon, Min Jung (Ewha University)
Cho, Sun Hee (KAIST)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v.24, no.6, 2014 , pp. 961-97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in Dominance and the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utilizing propensity to target Science-Gifted Student (n=159). Brain dominance is divided into left upper brain (LUB), left lower brain (LLB), right lower brain (RLB), and right upper brain (RUB).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 in science included validity, scientific characteristics, sophistication, originality, and fluency.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high frequency among the four types of the brain dominance is the highest score of LUB in science gifted group. This point was found that the tendency of the analytical and critical thinking that is characteristic of the LUB is strong scientific gifted group. When total sample was divided into high and low groups by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scores, in the analysis of the brain dominance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students who take advantage of the results of score RUB is compared to the high fluency group score higher than the low group found (p<0.05).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brain dominance and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showed that originality and fluenc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UB propensity score (p<0.05).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maginative and challenging RUB propensity may be related to produce many and original ideas in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Keywords
Gifted in science; Brain dominance;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경용 (2002). 두뇌지배(Brain Dominance)와 직무의 적합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Herrmann의 전뇌모형(Whole Brain model)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명준 (2002). 개인의 뇌 활용성향 측정도구의 개발 및 적용: 학습스타일과의 관계.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미영, 정현옥, 민세홍 (2011). 교육대학교 학생의 창의성과 전뇌(Whole brain) 활용 성향의 관계. 실과교육연구, 17(1), 1-22.
4 김미영, 조선희 (2012). 뇌 활용 성향과 수학 및 과학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6(1), 14-21.
5 김순화, 송기상 (2011). 영재 교육을 위한 전뇌 이론 기반 협동학습의 정의적 효과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255-268.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6 김주훈 (1999). 과학교과의 수행평가 방안. 수원: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7 김주훈, 이은미, 최고운, 송상헌 (1996). 과학영재판별도구 개발연구(I). 수탁연구 CR 96-2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8 김형재, 김경미, 가종순 (2010). 예비유아교사의 두뇌 우성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사고개발, 6(1), 125-154.
9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http://www.moe.go.kr/web/45859/ko/board/view.do?bbsId=294&boardSeq=50750 (검색일: 2014. 01. 01).
10 남승권 (2008). 정보영재 학생의 좌.우뇌 활용 성향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3(1). 23-43.   과학기술학회마을
11 박기문, 이규녀, 최유현 (2010). 공대 학생들의 두뇌 우성 사고에 따른 동학태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5(2), 124-139.   과학기술학회마을
12 방미선, 김용권 (2013). 과학 영재 관찰.추천 선발 방식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및 개선 방안. 초등과학교육, 32(2), 169-184.   과학기술학회마을
13 손정우, 이봉우, 이인호, 최원호, 신영준, 한재영, 최정훈 (2009). 중등과학영재 판별도구의 개발과 이해. 서울: 북스힐
14 유리나 (2009). 중학생의 두뇌 우성 사고 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홍, 손태원, 전상길 (2000). LSJI: Lee Sohn Jeon Index. http://www.creatizen.com/diagnose/diagnose_ci_lsji.asp, (검색일: 2013. 11. 30).
16 조석희, 시기자, 지은림 (1997). 과학영재판별도구 개발연구(II). 수탁연구 CR 97-5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7 조선희, 김미영 (2011).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놔 활용 성향, 인지적 특성, 정서적 특성 분석. 생물교육학회지, 39(3), 345-354.
18 조윤형, 조영호, 양회창 (2005). 개인의 가치성향과 두뇌활용 유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12(3), 73-98.
19 최취임 (2008).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평가문항의 모델 개발: 과학영재 선발문항과 학생반응 분석을 통해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한기순, 양태연, 박인호 (2014). 관찰-추천제는 어떤 특성의 영재를 선발하는가?: 선발시험 vs. 교사관찰추천으로 본 영재들의 지능, 진로유형, 자기조절 학습능력. 영재교육연구, 23(6), 965-979.
21 Herrmann, N. (1996). The whole brain business book. New York: McGraw- Hill.
22 Herrmann, N. (2009). 이너북스; 홀브레인 리더십 [김병선, 유희철, 유병안, 이응기 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1996).
23 MacLean, P. D. (1973). A triune concept of the brain and behavior. Toronto, Canad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4 Sperry, R. W. (1995). The riddle of consciousness and the changing science worldview.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35(1), 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