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22/JGTE.2011.21.2.269

An Analysis on the Inquiry Activities of Quadratic Surface throughout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alogical Inference  

Yang, Ki-Yeol (Sunchon National University)
Lee, Ui-Ji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v.21, no.2, 2011 , pp. 269-28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difficulties students face in the inquiry activities of quadratic surface throughout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alogical inference and the influence of Cabri 3D in students' inquiry activities. For this examination, students' inquiry activities were observed, data of inferring quadratic surface process was analyzed, and students were interviewed in the middle of and at the end of their activities. The result of this thesis is as following: First, students had difficulties to come up with quadratic surfaced graph in the inquiry activity of quadratic surface and express the standard type equation. Secondly, students had difficulties confirming the process of inferred quadratic surface. Especially, students struggled finding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erred quadratic surface and the existing quadratic surface and the cause of it. Thirdly, applying Cabri 3D helped students to think of quadratic surface graph, however, since it could not express the quadratic surface graph in a perfect form, it is hard to say that Cabri 3D is helpful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students' inferred quadratic surface.
Keywords
Analogical Inference; Quadratic Surface; Cabri 3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우정호 (1998).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 우정호 (2005).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3 강시중 (1987). 수학교육론. 서울: 교육출판사.
4 고은성, 이경화, 송상헌 (2008). 수학영재 학생들의 정다면체 정의 구성 활동 분석. 영재교육연구, 18(1), 53-77.
5 교육인적자원부 (1998).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서울: 대한교과서(주).
6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07-79호. 서울: 대한교과서(주).
7 김남희 (2006).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Cabri 3D의 교육적 활용. 수학교육학연구, 16(4), 345-366.
8 박상국 (2006).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삼수선의 정리'의 지도 및 효과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9 Polya, G. (2005).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서울: 교우사.
10 Polya, G. (2003). 수학과 개연추론(1). 서울: 교우사.
11 NCTM (2000). 학교수학의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12 Tsamir, P., & Dreyfus, T. (2002). Comparing infinite sets a process of abstraction: The case of Ben.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1, 1-23.   DOI   ScienceOn
13 Geddes, D., & Forthunato, I. (1993). Geometry: Research and Classroom Activity. In D. T. Owens (Ed.), Research ideas for the classroom: Middle grades mathematics. NewYork: Macmillian.
14 Genter, D. (1983). Structure mapp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ogy. Cognitive science, 7(2), 155-170.   DOI   ScienceOn
15 Goetz, J. P., & LeComptc, M. D. (1984).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Orlando, FL: Academic Press.
16 NCTM (1989). 학교 수학의 교육과정과 평가 규준. 서울: 경문사.
17 English, L. D. (1997). (Ed.).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phors, and imag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8 한인기, 에르든예프 P. M (2005). 유추를 통한 수학탐구. 서울: 승산.
19 芮庸臺 (1998). 공간도형의 해석기하학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0 Denzin, N. K., & Lincoln, Y. S. (1994).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Orlando, FL: Academic Press.
21 English, L. D. (2004). (Ed.). Mathematical and Analogical reasoning of young learner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2 한인기 (2001). 유추를 활용한 무게중심 탐구에 관한 연구. 경상대 중등교육연구원 중등교육연구, 13, 205-215.
23 채지연 (2007). 조작활동과 유추를 통한 분수 나눗셈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24 최대호 (1998). 해석기하학과 사영기하학. 서울: 교우사
25 최종근 (1999). 학습자 특성에 따른 인지과정 요소의 차이 분석: 언어 유추 문제해결 과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6 이경화 (2009). 영재아들의 세 유형의 유추 과제 해결. 수학교육학연구, 19(1), 45-61.
27 이종희, 김진화, 김선희 (2003).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수 문장제 해결에서의 유추적 전이.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 42(3), 353-368.
28 장혜원, 이남숙 (2003). 공간적 능력 요인을 반영한 기하학적 사고수준 측정 문항 개발의 가능성 검토. 대한수학교육학회 제 24회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29 정유정 (2008). 중등 수학교과서에서 나타난 유추 사례 분석.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30 이경화 (2009). 수학적 지식의 구성에서 유추적 사고의 역할. 수학교육학연구, 19(3), 355-369.
31 이승우, 우정호 (2002). 학교수학에서의 유추와 은유. 수학교육학연구, 12(4), 523-542.
32 이신자 (2009).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수학문제해결에서 나타나는 유추적 사고과정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33 신동선, 류희찬 (1996). 수학교육과 컴퓨터. 서울: 경문사.
34 이용률, 성현경 (1991). 수학교육론. 서울: 교학연구사
35 성필용 (2004). 삼각형과 사면체 사이의 유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36 송순정 (2003). 유추를 활용한 문제해결 지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37 신은아 (2004). 귀납적 추론과 유추의 교과서 사례분석.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