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0807/ksms.2022.25.2.001

Analysis on Contents and Problem solving methods of Fraction Division in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Lee, Daehyu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v.25, no.2, 2022 , pp. 105-12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contents of fraction division in textbooks are important because there were changes in situations and problem solving methods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textbooks affect students' learning directly. So, this study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and formula types and situations, and the introduction process of non-standard and standard algorithms presented in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The results are follow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rrangement of contents by grades in textbook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ypes of formula according to textbooks. And the situation became more diverse; recent textbooks have changed to the direction of using the non-standard and the standard algorithm in parallel. In conclusion, I proposed categorizing rather than splitting the types of fraction division, the connection of non-standard and standard algorithm, and the need to prepare methods to pursue generalization and justification according to the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standard algorithm.
Keywords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Fraction division; Formula type; Problem situation; Non-standard algorithm; Standard algorith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과학기술부(2012). 수학 5-2. 서울: 두산동아(주).
2 교육부(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8].
3 교육부(2015c). 수학 6-1. 서울: (주)천재교육.
4 교육부(2019a). 수학 6-1. 서울: (주)천재교육.
5 교육인적자원부(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별책 8].
6 김경미, 강완(2008). 초등학생들이 분수의 나눗셈에서 보이는 반복적 오류 분석. 초등수학교육, 11(1), 1-19
7 김민경, 김서영. (2014). 서술형 평가 문항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분수 연산 능력과 오류 유형과의 관계.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7(3), 409-435.
8 강영란, 조정수, 김진환. (2012). 분수 나눗셈의 문장제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전문화된 내용 지식 분석. 수학교육, 26(3), 301-316.
9 교육과학기술부(2011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8].
10 교육과학기술부(2011b). 수학 6-1. 서울: 두산동아(주).
11 교육부(2015b). 수학 5-2. 서울: (주)천재교육.
12 교육부(2019b). 수학 6-2. 서울: (주)천재교육.
13 김민경. (2009). 초등학생의 분수 이해 분석- 학년의 분수 개념 및 분수 나눗셈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2(2), 151-170.
14 김태은, 오상철, 우연경, 권서경. (2018). 초.중학교 학습부진학생의 성장 과정에 대한 연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8-4.
15 서동엽. (2021). 분수의 나눗셈 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5(1), 81-102.
16 이지영. (2015). 초등학교 학생들의 단위 추론을 기반으로 한 분수 나눗셈의 학습 경로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이대현. (2021). 단위분수의 지도 내용과 방법에 대한 재고. 한국수학사학회지, 34(4), 117-136.
18 김정하. (2020). 분수 나눗셈 지도 방법의 변천과정. 수학교육학연구, 30(1), 67-88.
19 박교식. (2014).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정당화 과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8(1), 105-122.
20 박교식, 송상헌, 임재훈. (2004). 우리나라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나눗셈의 의미 이해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6(3), 235-249.
21 임재훈. (2007). 카테시안 곱의 역 맥락에서 분수 나눗셈. 학교수학, 9(1), 13-28.
22 임재훈. (2016). 분수 포함제와 제수의 역수 곱하기 알고리즘의 연결성.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4), 521-539.
23 조선미. (2021). 대수적 사고를 강조한 분수 나눗셈 수업 및 학생들의 이해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Empson, S. B., & Levi, L. (2011). Extending Children's Mathematics-Fraction and Decimal-. NH: Heinemann.
25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New York: Routledge.
26 임재훈, 김수미, 박교식. (2005).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도입 방법 연구: 남북한, 중국, 일본의 초등학교수학 교과서의 내용 비교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7(2), 103-121.
27 Dixon, J. K., Burger, E. B., & Leinwand S. J. (2015). California Go Math!-6 Common Core. Orlando: Houghton Mifflin Harcourt Publishing Company.
28 이대현. (2018). 균등 분배 문제와 분수의 크기 비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4), 303-326.   DOI
29 최근배. (2015). 한국과 미국(Harcourt Math)의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분수와 소수의 도입과 연산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1), 17-37.
30 임재훈. (2021). 제수가 분수인 나눗셈에서 단위비율 결정 맥락의 도입에 대한 논란과 과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5(4), 395-416.
31 Lamon, S. J. (1996). The development of unitizing: Its role in children's partitioning strategies.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2), 170-193.   DOI
32 강흥규. (2014). 초등수학에서 분수 나눗셈의 포함제와 등분제의 정의에 관한 교육적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8(2), 319-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