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0807/ksms.2019.22.3.006

A Case of Operating College Mathematics Course using SRN  

Kang, Yun Soo (Sunchon National University)
Kim, Yi Seul (Suncho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v.22, no.3, 2019 , pp. 277-30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effects of Self-Reflective Note(SRN) strategy, which used on 'college mathematics' courses, operated as a liberal arts curriculum course in university. For this purpose, we used SRN strategy on 'college mathematics' 3 classes, 'college mathematicsII' 1 class enrolled 95 students, and then analyzed the data. For identifying a change of students' learning, we conducted surveys related to the affective domain, core competencies, satisfaction. From this, we identified the followings. First, the interest, self-confidence, future expectation of students who attended classes in which SRN strategy is used are positively changed. Second, core competencies(self-directed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of students who attended classes in which SRN strategy is used are improved. Third, the students who attended classes in which SRN strategy is used evaluated such as mathematics learning using the strategy help their mathematics study. Fourth, the students who attended classes in which SRN strategy is used evaluated such as the strategy improved their learning habit, supplemented their weakness, and activate realistic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 and them.
Keywords
Self-reflective Learning; Strategies of Mathematics Learning; Manage Method of College Mathematic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호경, 양길석 (2015). 수학학습 상담을 위한 진단 검사지 개발 연구. E-수학교육 논문집, 29(4), 723-743.
2 김동률 (2017). Flipped Learning이 대학수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집, 8(6), 209-218.
3 김령희, 장진영 (2018). SRN을 활용한 외국어 수업 사례 연구. 교양교육연구, 12(3), 279-302.
4 김병무 (2001). 대학수학에서, 글쓰기를 통한 호의적인 태도변화 모색. E-수학교육 논문집, 12, 411-422.
5 김병무 (2003). 대학수학과 다른 과목과의 관계를 통한 수학의 중요성 알리기. E-수학교육 논문집, 15(0), 235-242.
6 김선희 (2009). 예비교사 교육에서 수학 학습 일지 쓰기의 적용. 수학교육학연구, 19(2), 289-306.
7 김연미 (2015).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 수학 성취도와 언어 성취도 사이의 관계 및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E-수학교육 논문집, 29(3), 553-571.
8 김창환, 김본영, 박종효, 박현정, 이광현, 채재은 (2014).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III) : 대학생역량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4-21.
9 박동국, 박성훈, 김철신 (2015). Self Reflection Note를 이용한 교수학습법. 사회과학연구, 54(1), 115-142.
10 박성미 (2011). 직업능력의 요소로서 핵심역량 분석. 직업교육연구, 30(3), 327-351.
11 방극철 (2015). 대학에서 교양 일본어(제2외국어) 교육 개선을 위한 실천적 제안. 일본어교육, 74, 15-26.
12 배영주 (2005). 자기주도학습과 구성주의. 원미사.
13 서종진, 유천성, 최은미 (2006). 대학수학교육에서 Maple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9(4), 557-573.
14 서종진, 조승희 (2018). 개별지도가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21(3), 287-301.
15 이경희, 이성진 (2013). 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대학 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수도권 중규모 대학교의 이공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E-수학교육 논문집, 27(4), 473-486.
16 이상구, 설한국, 한신일 (2005). 기반수학강좌의 자기주도형 Blended Learning-PBL 수업 모델 연구. E-수학교육 논문집, 19(4), 769-785.
17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3-15-3.
18 이정례, 이경희 (2012).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수학적성향 사이의 관계 연구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E-수학교육 논문집, 26(1), 15-28.
19 이정례 (2015).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대학수학 교육방향 연구. E-수학교육 논문집, 29(3), 513-532.
20 이헌수, 김영철, 박영용 (2013). 입시전형별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 비교 분석 -2012년 M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E-수학교육 논문집, 27(4), 369-379.
21 정수연, 송영무 (2011). 대학 공업수학 학습자료 개발 및 효과. E-수학교육 논문집, 25(2), 361-379.
22 최은미 (2009). 대학수학교육에서 발견학습법과 소그룹학습법. 한국수학사학회지, 22(3), 255-272.
23 정수연, 강윤수 (2013).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한 수학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E-수학교육 논문집, 27(4), 407-428.
24 최원영 (2014). 대학에서 수학 클리닉의 필요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 -H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7(1), 109-121.
25 최원영, 김혜경 (2014). Coaching학습법을 활용한 대학 수학 교육 사례 연구: H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7(2), 193-205.
26 Bennis, W. G., & O'Toole, J. (2005). How Business Schools Lost Their Way. Harvard Business Review, Harvard Business Publishing, 1-9.
27 Bok, D. (2006). Our Underachieving Colleges: A Candid Look at How Much Students Learn and Why They Should Be Learning Mor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Dewey, J. (1933). How We Think: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ve Process. Boston: Houghton-Mifflin.
29 Ertmer, P. A., & Newby, T. J. (1996). The expert learner: Strategic, self-regulated, and reflective. Instructional science, 24(1), 1-24.   DOI
30 Killion, J. P., & Todnem, G. R. (1991). A Process for Personal Theory Building, Educational Leadership, 48(6), 14-17.
31 Lyons, N. (2010). Handbook of Reflection and Reflective Inquiry: Mapping a Way of Knowing for Professional Reflective Inquiry. New York: Springer.
32 Rodgers, C. (2002). Defining reflection: Another look at John Dewey and reflective thinking. Teachers College Record, 104(4), 842-866.   DOI
33 Schon, D.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York: W.W. Norton.
34 Zimmerman, B. J.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25, 3-17.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