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Properties of Pepper growth and Yield, Cost Down with No-Tillage Organic Cultivation in Vinyl Greenhouse  

Yang, Seung-Koo (전라남도농업기술원)
Seo, Youn-Won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Son, Jang-Hwan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Park, Jong-Dae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Choi, Kyung-Ju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Jung, Woo-Jin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공학부 친환경농업연구소)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v.20, no.3, 2012 , pp. 411-42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agriculture in no-tillage pep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vinyl greenhouse with organic cultivation having no pesticide certification. 1. Growth and yield in pepper cultivation General growth in pepper was suppressed with decreasing hill spacing, primary branch length, and stem width. Fruit diameter and fruit weight in no-tillage increased significantly, and yield of pepper increased by 10% compared with conventional tillage. From results organic cultivation in no-tillage improved a quality of pepper compared with conventional tillage. 2. Production cost of conventional tillage and no-tillage Production cost of conventional tillage and no-tillage was not different in seed cost, inorganic fertilizer cost, pesticide cost, repair cost, light agricultural tool cost, agriculture facilities depreciation cost and so on. Intermediary goods cost in no-tillage was decreased by 11% for organic fertilizer cost, light and heat expenses and power rate, heavy agricultural tool cost, and repairing expenses compare with conventional tillage. Employment effort cost and work effort cost were decreased, and farm income and farm income rate were increased by 11% and 5%, respectively, in no-tillage. In this work, yield and gross income were increased by 10% and 25%, respectively, in no-tillage. Therefore material cost, intermediary goods cost, working expensive, farm income, and income rate were increased by 34%, 3%, 2%, 52% and 22%, respectively.
Keywords
no-tillage; pepper; sustainable agriculture; production cost; farm incom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보구․김현주․이경자․박성규․서상택. 2002.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 시비기준의 고추 시비추천에 대한 적합성 및 경제성 평가. 한토비지 35: 387-394.
2 권오도․신해룡․김석언․박태동․구자옥. 1997. 벼 무경운 재배년수 경과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2(1): 96-97.
3 김동관․천상욱․허북구. 2006. 전남지역 논조건에서 무경운 재배가 콩의 생육, 수량 및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7(3): 89-97.   과학기술학회마을
4 농림수산식품부. 2009. 농림수산식품통계연보. pp. 33-117.
5 박노동․박흥규․양승구․임경호․손보균. 2011. 제1핵심과제 친환경농작물 표준재배기술 개발. 제2장 고추 무경운 유기재배 기술개발. 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보고서. pp. 1-99.
6 박진면․이인복․강윤임․황기성. 2009. 무기질 및 유기질 비료 시용이 고추생육과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27(1): 24-29.
7 박호기․오영진․유철현․서석기․김학신․박문수. 1997. 무경운 로타리 동시파종이 콩 수 량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42(2): 94-95.
8 소규호․박정아․허진호․심교문․유종희․김건엽․정현철․이덕배. 2010. 고추 생산과정 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전과정평가. 한토비지 43(1): 904-910.
9 신영안․이정수․엄영철․박수형. 2006. 직파 재배시 파종 거리, 깊이 및 시기에 따른 일시수확형 고추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원과지 24: 8-12.
10 양승구․서윤원. 2009. 멜론 유기재배 및 무경운 재배 기술개발.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시험연구보고서. pp. 41-63.
11 양승구․서윤원․김병호․손보균․위치도․최경주․정우진․박노동. 2011a. 시설재배지 무경운 토양에서 녹비작물별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감염양상과 포자밀도 특성. 한국유기농학회지 19(3): 343-355.
12 양승구․서윤원․김용순․김선국․임경호․김홍재․최경주․정우진. 2011b. 무경운 유기재 배에서 녹비작물별 고추의 수량과 토양 화학성 변화. 한국유기농학회지 19: 255-272.
13 양승구․서윤원․신길호․김희권․김홍재․최경주․이정현․정우진. 2011c. 시설고추 유기 재배 시 무경운과 분할 관수 효과. 원과지 29(1): 85-86.
14 양승구․서윤원․신길호․김희권․박종대․최경주. 2012. 시설 무경운재배가 고추의 수량 과 토양 물리성 및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pp. 54-56.
15 양창휴․이상복․김택겸․유진희․류철현․이정준․김재덕․정광용. 2008. 돈분액비시용 논에서 경운방법이 청보리 생육 및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토비지 41: 285-292.
16 정경란․손상묵. 2000. 두과․녹비작물 재배를 통한 유기농업 토양비옥도의 유지와 증진. 한국유기농학회지 97-110.
17 이영한․안병구․이진호. 2010. 무경운 답에서 토양 물리성과 미생물 생체량 탄소 함량에 미치는 녹비작물 시용효과. 한토비지 43: 105-112.
18 장영직․박춘봉․최영근․박필재․한성수. 2002. 콩 무경운 재배 기술 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생명자원과학연구 24: 17-27.
19 장영호․심재석․박기관․노치웅․임종민․조정래. 2003. 시설수박 2기작 무경운 재배 시 정식시기가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원과지 21(II): 43.
20 전라남도농업기술원. 2012. 한눈에 보는 농산물소득정보 동향분석. pp. 85.
21 조인상․김종열․조영길․임정남․엄기태. 1984. 논토양의 물리성이 농기계 작업능률에 미치는 영향. 한토비지 17: 155-160.
22 최봉수․김충국․성기영․송득영․전원태․조현숙․정광호․강위금. 2011. 콩과 피복작물 리빙멀치에 따른 옥수수 무경운 재배지의 잡초군락 변화. 한국잡초학회지 31(1): 34-40.   과학기술학회마을
23 Frey, S. D., E. T. Elliott, and K. Paustian. 1999. Bacterial and fungal abundance and biomass in conventional and no-tillage agroecosystems along two climatic gradients. Soil Biol. Biochem. 31: 573-585.   DOI   ScienceOn
24 Jordan D., J. A. Stecker, V. N. Cacnio-Hubbard, F. Li, C. J. Gantzer, and J. R. Brown. 1997. Earthworm activity in no-tillage and conventional tillage systems in missouri soils: A preliminary study. Soil Biol. Biochem. 29: 489-491.   DOI   ScienceOn
25 Yang, S. K., M. K. Kim, Y. W. Seo, K. J. Choi, S. T. Lee, Y. S. Kwak, and Y. H. Lee. 2012. Soil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of between no-till and tillage in a controlled horticultural field.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8: 1797-1801.   DOI   ScienceOn
26 Yang S. K., Y. W. Seo, G. H. Shin, H. K. Kim, J. D. Park, K. J. Choi, M. S. Park, and W. J. Jung. 2011.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of the KSABC. 11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