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723/KJCS.2011.32.6.49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Education  

Lee, Soo-Ryu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ingu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v.32, no.6, 2011 , pp. 49-6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08 theses, written between 1986 and 2010, were chosen and then analyzed in terms of years of publication, the main topics of research, and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nd discussed as follows : First, the amount of research into inclusive education increased greatly after 2001. Second, the main topics of the research, as reflected in the theses studied, were general discussions of inclusive education, the attitudes and apprehension of those working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rate of increase in the quantity of research produced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Third, the methodologies of researches varied somewhat, as reflected in the review of the survey studies and experimental studi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research into Early Childhood Inclusion Education will continue to be a subject of interest and study and will continue to develop for the benefit curriculum, measurement, assessment and the families concerned.
Keywords
young children; inclusive education; research tren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Odom, S. L. (2002). Narrowing the question:Social integ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on setting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7(2), 167-170.   DOI   ScienceOn
2 Savolainen, H. (2009). Responding to diversity and striving for excellence:The case of Finland. Prospects:Quarterly Review of Comparative Education, 39(3), 281-292.   DOI
3 Silverman, K., Hong, S., & Trepanier-Street, M. (2010). Collaboration of teacher education and child disability health care:Transdisciplinary approach to inclusive practice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7(6), 461-468.   DOI   ScienceOn
4 Stanton-Chapman, T. L., & Snell, M. E. (2011). Promoting turn-taking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The effects of a peer-based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6(3), 303-319.   DOI   ScienceOn
5 Yeo, L. S., Neihart, M., Tang, H. N., Chong, W. H., & Huan, V. S. (2011). An inclusion initiative in Songapore for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 31(2), 143-158.   DOI   ScienceOn
6 Buysse, V. (2011). Access, participation, and supports: The defining features of high quality. Zero to Three, 31(4), 24-31.
7 Cardona, C. M. (2009). Current trends in special education in Spain:Do they reflect legislative mandates of inclusion?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pecial Education, 10(1), 4-10.
8 Delaney, E. M. (2001). The administrator's role in making inclusion work. Young Children, 56(5), 66-70.
9 Diamond, K. E., & Hong, S. (2010). Young children's decisions to include pe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play.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32(3), 163-177.   DOI   ScienceOn
10 Frankel, E. B., Gold, S., & Ajodhia-Andrews, A. (2010). International preschool inclusion:Bridging the gap between vision and practices. Young Exceptional Children, 13(5), 2-16.   DOI
11 Glenn-Applegate, K., Pentimonti, J., & Justice, L. M. (2011). Parents' selection factors with choosing preschool programs for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ild & Youth Care Forum, 40(3), 211-231.   DOI   ScienceOn
12 McDonnell, A., & Hardman, M. (1988). A synthesis of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arly childhood services. Journal of Division of Early Childhood, 12(4), 328-341.
13 Guralnic, M. J. (2000). An agenda for change in early childhood inclusion.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23(4), 213-222.   DOI   ScienceOn
14 Hurley, J. J., & Horn, E. M. (2010). Family and professional priorities for inclusive early childhood setting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32(5), 335-350.   DOI   ScienceOn
15 Hwang, Y., & Evans, D. (2011). Attitudes towards inclusion:Gaps between belief and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6 (1), 136-146.
16 윤선아(2010). 통합 상황에서의 소집단 공감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공감능력, 정서표현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이금주(2010). 장애유아 통합교육 운영 및 지원 실태 조사 연구:인천광역시 공․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선영․이숙정(2008). 유아의 장애수용태도 관련 국내 실험연구 동향분석. 특수교육요구 아동연구, 21, 63-81.
19 이숙향(2010). 국내 중등 통합교육 연구의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1 (3), 339-369.
20 이시자(2010). 유아놀이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0(5), 263-289.
21 이신동․김경희(2006). 통합교육의 최근 이슈와 동향. 통합교육연구, 1(1), 63-81.
22 장애유아 의무교육 조기 정착 돕는다(2011.2.11). 고양신문.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26899.
23 조현근(2009). 유아특수교육 연구동향 분석 연구: 1994-2007년 학술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황정숙(2007).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창의력교육연구, 7(2), 19-35.
25 Brown, W. H., Odom, S. L., Li, S., & Zecher, C. (1999). Ecobehavioral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programs:A portrait of preschool inclusio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3(3), 138-153.   DOI   ScienceOn
26 Agbenyega, J., & Peers, C. (2010). Early childhood inclusion:A silver lining in the dark clouds for African immigrant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Whole Schooling, 6(2), 46-58.
27 Berry, R. A. W. (2010). Preservice and early career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on, instructional accommodations, and fairness:Three profiles. Teacher Educator, 45(2), 75-95.   DOI   ScienceOn
28 Brown, W. H., & Odom, S. L. (2000, July). Reflections on community-based inclusive preschools. In paper presented at the Head Start National Research Conference. Washington, DC.
29 김윤진(2010).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관련 연구동향 분석:1990년-2009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김윤희(2010). 유아 또래관계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 의 연구동향 분석:연구방법을 중심으로(1995년-2009년). 아동학회지, 31(5), 131-149.
31 김은아(2010). 유아음악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박나리(2011). 순환학습모형에 따른 유치원 수학활동의 교육과정 수정이 통합된 장애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3 박미령(2007). 유치원 및 초등학교 과정의 통합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박은혜․임장현(2010). 지체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및 지원방안. 특수교육, 9(3), 5-24.
35 박현옥․김은주(2004). 통합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38(4), 285-309.
36 손은주(2003).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협동게임이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7 원계선(2006). 통합교육환경에서 문학적 접근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8 양혜란(2008). 장애유아 교육내실화를 위한 통합접근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정책경영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완전통합학급 찾아가는 장애이해 교육(2011.4.11.). 울산여성신문. http://www.uwnews.co.kr/sub_read.html?uid=18934.
40 우민정(2011). 유아 성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1(3), 83-99.
41 원종례․김경희(2010).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관련 중재 연구 동향 분석:2000-2009년까지의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10 (3), 169-192.
42 유은선(2010).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유아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의 당위성 인식, 교육적 효과 인식 및 장애유형별 태도 연구. 경희대학교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강영심․황순영․오미옥(2008). 유치원장이 지각한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 통합교육연구, 3(1), 45-62.
44 강은주(2002). 유아교육기관 장애아 통합교육의 현대적 동향. 총신대논총, 21, 274-303.
45 강정숙(2007). 장애유아 통합교육애 대한 일반유아 어머니의 인식 조사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I.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7 교육인적자원부(2007). 유아를 위한 장애 이해 및 통합교육 활동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48 교육과학기술부(2011b). 2011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9 교육과학기술부(2011a). 2011 특수교육통계.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0 교육인적자원부(2001). 2001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51 국내최초 장애․비장애 통합교사 배출(2010.4.13). 한국대학신문. http://www.unn.net/News/detail.asp?nsCode=60689.
52 김민석(2010).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태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3 김순자(2007).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4 김원숙(2005). 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유치원 원장과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비교. 단국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