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Moderated Effects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cessive Use of the Internet and the Stress Level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Cho, Song-Yo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oseo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v.31, no.5, 2010 , pp. 47-6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effects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excessive use of the Internet and their stress levels. The participants were 403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Chungnam-do.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Internet Addiction Autodiagnosis Scale (K-Scale)', the 'Stress Scale' and the 'Self-control Rating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F test and the Scheffe test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artial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Cronbach's ${\alpha}$ for reliability by SPSS program (17.0 ver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excessive use of the Internet, stress levels, and self-control by gender, grade, academic achievement, the beginning year of first Internet access and the number of hours of Internet usage hours per da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xcessive use of the Internet (r = .40, p < .001) and stress levels (r = .44, p < .001) and the immediate satisfaction of self-control. Finally, the immediate satisfaction of self control was seen to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otal scores for the excessive use of the Internet and stress levels and between withdrawal of excessive use of the Internet and the accompanying stress levels.
Keywords
excessive use of the Internet; stress; self-control; moderated effect; elementary school childre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진순(2002).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정심(2007). 인터넷 활용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및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세윤(2004). 자아, 스트레스 및 인터넷 사용통제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소영(2006). 초등학생의 인터넷중독, 학교생활적응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Young, K. S. (2000). Internet addiction: Symptoms, evaluation and treatment. In L. V. Creek & T. L. Jackson (Eds.), Innovations in clinical practice : A source book. Sarasota, FL : Professional Resource Press.
6 Lazurus, R, S., & Folkman, S. (1984). Coping and adoption. In W. D. Gentry (Ed.), The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pp. 282-325). New York: Guilford.
7 Logue, I. (1995). Self-control. New York : Prentice Hall.
8 Suler, R. (1996). Computer and cyber space addiction. http: //rider.edu/suler/psyber/dybaddict.html.
9 조성연.김민.김혜원(2009). 삶의 만족도에 대한 공부압력, 성공압력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에서의 부모와 초등학생 자녀 간 차이(포스트 발표 초록). 2009년도 한국아동학회 추계학술대회 : 한국아동의 삶과 성장환경.
10 권정혜(2000). 감각추구성향, 스트레스 대처방안, 사회적 지지가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2000년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70-271.
11 조선일보(2010. 4. 27). 청소년 심야 게임 규제법안 '신데렐라법' 논쟁. http : //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4/27/2010042700185.html에서 2010년 4월 30일 인출.
12 주은미(2005). 강남지역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Goldberg, I. (1996).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http : //www.cmhc.com./milsts/research.
14 Holahan, C. K., Holahan, C. J., & Belk, S. S. (1984), Adjustment in aging : The role of life stress, hassles and self-efficacy. Health Psychology, 90, 365-370.
15 이송선(2000).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 중독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조선일보(2010. 3. 30). "인터넷 중독자들에게 '탈출구' 만들어 줘요". http : //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3/30/2010033002249.html에서 2010년 4월 30일 인출.
17 조선일보(2008. 12. 4). " 내 아이 인터넷 중독, 부모부터 상담받으라". http : //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12/03/2008120301616.html에서 2010년 4월 30일 인출.
18 조선일보(2009. 9. 15). 초등 4학년 100명 중 6명 인터넷 중독. http : //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9/15/2009091502204.html에서 2010년 4월 30일 인출.
19 오경하(2002).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0 이소영(2000). 게임의 중독적 사용이 청소년의 문제해결능력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김종범(2000). 인터넷 중독 하위집단의 특성 연구 : 자존감, 우울, 외로움, 공격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세계일보(2007. 10. 30). "게임 못하게 하면 부모 목행...인터넷 중독 방치하면 안돼". http : //www.segye.com/Articles/Issue/INQUIRY/Article.asp?aid=20071029004263&subctg1-&subctg2=&sid=4300024에서 2010년 4월 20일 인출.
23 송명자(2008). 발달심리학. 서울 : 학지사.
24 안 석(2002).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관한 연구 : 서울소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서승연(2001). 일상적 스트레스, 몰두성향, 사회적 지지와 병리적인 인터넷 사용.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보건복지가족부(2008). 2008 청소년 디지털 문화 실태조사.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27 보건복지가족부(2009). 아동청소년 인터넷 중독 예방 및 해소 대책.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업무 보고.
28 남현미(1999).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박성혜(2001). 컴퓨터게임 몰입과 정서적 특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