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682/jkiha.2015.21.2.67

A Study on the Space Program of Ward applying to 4 Patient Bedroom in Provincial Medical Center  

Kim, Khilcha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ungwoon University)
Lee, Hyunjin (KIA, Department of Medical Space & Management, Konyang University)
Kwun, Joonbum (Dept. of Architecture, Sejo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v.21, no.2, 2015 , pp. 67-7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s areal composition of ward applying to 4 bedroom in provincial medical center. Methods: The existing five-bed patient rooms, general type of multiple-bed rooms in Korea causes many problems for the amenity of patients. We should reconsider their inconvenience carefully and try to provide the right to keep their privacy and enjoy amenity. The number of patients of multi-bed rooms is very critical point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patient rooms. This study separate 5 bedroom group and 4 bedroom group. Net area from space program was surveyed and analyz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wo points. The first one is that Group-4(4 bedroom) ward has more 23% patient's area and -23% convenience area than Group-5(5 bedroom). The second one is that Group-4 has more single bedroom and Group-5 has more dayroom. Implications: Consider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the effective bedroom composition and allocation in ward. This Study hopefully may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the standard design of space program in ward.
Keywords
Ward; 4 Bedroom; Provincial Medical Center; Bedroom Composi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Robert Wicher, Hille Rau, Ein-oder Mehrbettzimmer im Akutkrankenhaus analysen iher Tauglichkeit, 1984
2 김강회. 지방공사 의료원의 정체성 확립과 발전방향, 2002. 2
3 김광문, 이특구, 이낙운, 유영민, 정태우, 최광석, 병원건축, 기문당, 1994.11
4 김길채, 병동부 평가시스템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5 김창엽. 지방공사 의료원의 활성화를 위하여- 현실과 전망, 2001
6 문창호, 이광노, 병원건축의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권 1호 통권 9호, 1987.2.
7 이민규, 종합병원 병동부 병실 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4인 병실과 6인 병실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2003,3
8 병원건축의 공간배분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3권 3호, 2007.8, PP.35-46.
9 병원연구소, 병원건축에 관한 논고집2, 1984.5.
1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전국보건예산 추계, 내부 자료, 2000
11 신영전. 보건의료체계의 공공성 강화, 2001
12 유영민, 병원 다인병실의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pp 7-14, 2005.03
13 이낙운 외 2인, 병원의 부문별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7권 115호, 1983. 12.
14 李藤誠 외 2인, 病院の 建築規模と 各部の 面積配分, 일본건축학회 논문 보고집 제309호, 일본건축학회, 1981.11.
15 전국지방공사의료원연합회. 지방공사의료원 공중보건의사 확대 지원건의, 2002. 1
16 최광석, 블록플랜 분석에 의한 한국 병원건축의 설계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3권 2호, 2007.5, PP.45-52.
17 채철균, 최광석, 권순정, 공공병원 4인병실 유니트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pp 41-52, 2013.8
18 채철균, 최광석, 권순정, 공공병원의 4인병실 도입에 따른 경제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pp 41-48, 2014.
19 평등사회를 위한 민중의료연합 노동조합보건의료정책센터. 예견된 실패: 지방공사 민간위탁, 2001. 12.
20 한국병원건축연구회, 병원건축에 관한 논고집4, 198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