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운학. 한국의 차문화. 현암사. 1983:17-18.
|
2 |
이성우. 한국식품문화사. 교문사. 1984:249-263
|
3 |
정영선. 한국차문화. 너럭바위. 2007:174-175.
|
4 |
송재소 외. 한국의 차 문화 천년 2 .돌베개. 2009:70-71
|
5 |
崔震甲. 朝鮮茶文化の衰退原因に関する一考察. 日本語文學. 2011:49:329-347.
|
6 |
신미경. 조선시대 차문화. 전통문화 논총. 2012: 10:4-23.
|
7 |
이효지, 두연희. 한국 음청류의 분석적 연구. 文化財.1991:24:225-268.
|
8 |
이철호, 김선영. 한국의 전통음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국식문화학회지.1991:6(1):43-54.
|
9 |
이소영. 조선시대 약용차에 대한 고찰. 남도 민속연구. 2008:17:243-267.
|
10 |
김종오. 조선시대 약차 연구.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10.
|
11 |
조기정, 이순옥. 전통 향약차(香藥茶)고찰. 한국차학회지. 2011:17(1):1-7.
|
12 |
김종오, 김남일, 전통차약처방의 복원을 위한 문헌조사. 한국의사학회지.2007:20(1):96-111.
|
13 |
우숙희. 朝鮮時代 宮中賓禮宴享과 茶禮果盤에 대한 고찰. 한국차학회지. 2011:17(3):1-7.
|
14 |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http://sillok. history.go.kr)
|
15 |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지식정보자원웹서비스(http://jisik.kiom.re.kr)
|
16 |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2011.
|
17 |
W.E.그리피스. 신복룡 역. 은자의 나라 한국(1882). 집문당.1985.
|
18 |
이사벨라 버드 비숍. 이인화 역. 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1897). 살림출판사.19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