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Potential Use of Wild Herbaceous Plants as Honey Plants  

Kim, Dong-Won (Department of Agriculture Biology, School of Bioresource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Jung, Chul-Eui (Department of Agriculture Biology, School of Bioresource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Jeon, Jin-Beom (Department of Horticulture, School of Bioresource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Jeong, Jeong-Hag (Department of Horticulture, School of Bioresource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piculture / v.22, no.1, 2007 , pp. 9-3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 survey on wild herbaceous plants was carried out to find the possibility to use as honey plants from Andong, Korea in 2005 and 2006. A total of 106 species of wild herbaceous plants were investigated with flower characteristics and honey bee visiting. Most of the herbaceous plant bloomed in May-June and September-October, implying that those herbaceous resources could be strategically utilized as honey plants in lower honey flow from woody honey plant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er characteristics and visiting rate of honey bee, fifteen herbaceous plants were suggested as potential honey plants; Commelina communis, Geranium nepalense Subsp. thunbergii, Sophora flavescens Ait., 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Allium tuberosum, Caryopteris incana(Thumb.) Miq., Adonis amurensis, Taraxacum officinale, Draba nemorosa var. hebecarpa, Primula sieboldi,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Valeriana fauriei, Dianthus superbus L., Houttuynia cordata, Rudbeckia laciniata L. Further discussion was made on the selection criteria and appropriate methodological implication for further use of the herbaceouos plants as honey plants.
Keywords
Wild herbaceous plant; Honey plant; Flower characteristics; Apis mellifera;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Elzinga, Richard J. 2004. Insect, plants, livestock,domestic animals, and humans. pp. 289-326. in Fundamentals of entomology, 6th ed., 512p. Pearson Education, Inc
2 Price, Peter W. 1997. Pollination ecology. pp. 239-266. in Insect ecology, 3th ed., 874p. John Wiley & Sons, Inc
3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의성약초시험장. 2000. 최신약용식물도감.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의성약초시험장. 342쪽
4 김진일.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 III. 고려대학교부설한국곤충연구소. 255쪽
5 김태욱, 이유미. 1989. 우리나라 밀원 식물의 현황과 증식방안. 한국양봉학회지. 4(1):9-18
6 김영수, 최승윤. 1988. 피나무에서 꿀벌의 방화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양봉학회지. 3(2):11-15.
7 김창환. 1970.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곤충류 III)제11권. 문교부. 891쪽
8 남상호.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 V. 고려대학교부설한국곤충연구소. 258쪽
9 박용구. 1996. 우리나라 아까시나무의 자원화에 대한 전망. 한국양봉학회지. 11(1):27-56
10 오현우, 최승윤. 1988. 아까시아나무 꽃에서의 꿀벌의 방화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양봉학회지.3(2):1-16
11 우건석, 추호열, 최광열. 1986. 방화곤충의 생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양봉학회지. 1(1):54-61
12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상, 하. 향문사.914쪽, 910쪽
13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1994. 한국곤충명집. 건국대학교출판부. 774쪽
14 이종욱.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 IV. 고려대학교부설한국곤충연구소. 246쪽
15 김태욱, 이유미. 1986. 한국산 밀원 식물의 개화기에 관한 연구, 한국양봉학회지. 1(1):90-95
16 최승윤. 1973. 수정증보 양봉학. 집현사. 312쪽
17 Ayers, George S. 1992. Bee forage of North America and the potential for planting for bees.pp. 437-538. in The hive and the honey bee, eds. by J. E. Graham. 2nd ed., 1324p. Dadant & Sons, Hamilton
18 구자옥, 김창석, 이도진, 임일헌, 권오도, 국용인,천상옥, 한성욱. 2002. 한국의 잡초도감. 한국농업시스템학회. 862쪽
19 김태욱, 김기중. 1987. 아까시나무의 화밀 생산과 수순 기작. 한국양봉학회지. 2(1):82-92
20 배연재.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 I. 고려대학교부설한국곤충연구소. 260쪽
21 백형수. 2000. 밀분원식물. 최신양봉경영. 한국양봉과학연구소. 229-247쪽
22 오현우, 이명령, 우건석. 1989. 방화곤충에 의한 사과나무와 배나무에서의 결실효과. 한국양봉학회지. 4(2):11-15
23 최승윤, 김영수. 1988. 사과꽃에서의 꿀벌방화의 일주활동에 관한 연구 (II), 한국양봉학회지. 3(1):81-89
24 정헌관, 류장발. 2005. 한국의 밀원식물. (사)한국양봉협회. 300쪽
25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도감 I, II, III, IV,V. 서울대학교출판부. 323쪽, 321쪽, 345쪽, 337쪽, 346쪽
26 최승윤, 김영수. 1988. 배꽃에서의 꿀벌방화의 일주활동에 관한 연구 (II). 한국양봉학회지. 3(1):90-97
27 Mani, M. S. and J. M. Saravanan. 1999. Floretscorolla and colour. pp. 45-61. in Pollination ecology and evolution in compositae. frist ed.,166p. Science Publishers, Inc
28 Gould, James L., Gould, Carol Grant. 1988. Flower learning pp. 157-184. in The honey bee. first ed., 239p. A division of HPHLP
29 류장발. 2003. 우리나라의 밀원식물에 대한 고찰.한국양봉학회지. 18(1):5-22
30 송기엽, 윤주복. 2003. 야샹화 쉽게 찾기. 진선출판사. 607쪽
31 이경준. 1998. 한국 198종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한 주요 및 보조밀원수종과 화분원수종으로의 분류와 개화기별 자원 분포. 한국양봉학회지. 13(2):121-132
32 이형래, 김정화, 최승윤. 1988. 주용 농작물에 대한 꿀벌의 방화활동과 화분매개효과, 한국양봉학회지. 3(1):68-80
33 권용정, 허은엽.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 II. 고려대학교부설한국곤충연구소. 224쪽
34 이유미, 김태욱. 1987. 우리나라 주요 밀원 수종의 개화기 및 화기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양봉학회지. 2(1):64-81
35 조도행. 1996. 양봉사계절 관리법. 오성출판사. 370쪽
36 황수목, 최승윤. 1988. 박태기나무 꽃에서의 꿀벌의 방화활동과 기상과의 관계. 한국양봉학회지.3(2):7-10.
37 강창훈, 허혜순, 박정규. 2003. 단감 방화곤충의 종류와 일주활동에 관한 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 37(3):1-4
38 류장발. 2002. 산지 밀원조성에 의한 임업과 양봉업의 동시 발전방안 모색. 한국양봉학회지. 17(1):1-6
39 오현우, 우건석. 1990. 봄철에 있어서 꿀벌의 방화활동 및 화분수집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양봉학회지. 5(1):1-22
40 이영노. 1988. 우리나라 식물상의 화기. 한국양봉학회지. 3(2):1-6
41 이영보, 장승종, 박해철, 김미애, 이명렬. 2003. 꿀벌의 야생식물 화분매개 활동 조사. 한국양봉학회지. 18(2):117-126
42 최승윤, 이명렬. 1988. 복숭아꽃에서의 꿀벌방화의 일주활동에 관한 연구 (II). 한국양봉학회지. 3(1):98-106
43 Southwick, Edward E. 1992. Physiology and social physiology of the honey bee. pp.171-196. in The hive and the honey bee, eds. by J. E. Graham.2nd ed., 1324p. Dadant & Sons, Hamil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