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89/KSAE.2007.49.5.033

Development of a Rural Amenity Values Assessment Model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Bae, Seung-Jong (교토대학 지구환경대학원)
Chung, Ha-Woo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v.49, no.5, 2007 , pp. 33-4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proposed a Rural Amenity Values Assessment Model (RAVAM) to evaluate the rural amenity resources based on the Myun as a spatial unit. In RAVAM, 61 rural amenity resources were classified into almost intact nature resources, interaction between nature and man resources, man-made resources, respectively. Especially, Rural Scenic Value Index (RSVI) was developed to quantify rural scenic views as a rural amenity resource. RSVI was utilized in evaluation process of rural amenity resources. The weighing factors for the amenity resources were evaluated from the step wise pair-comparison results of 11 specialists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In the results, the weighting values of almost intact nature resources, interaction between nature and man resources, man-made resources were 496, 323 and 181, respectively, among total value being 1,000.
Keywords
Rural amenity; Amenity valu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Rural scenic valu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최수명, 황한철, 1997, 농촌계획지원용 지역자원 평가시스템 구축(II) -AHP기법에 의한 자원요소의 중요도 평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3(2), pp. 50-61
2 OECD, 2000, Valuing Rural Amenities
3 강경하, 조순재, 2002, 농촌 어메니티 자원 현황 및 활용실태, 농촌 어메니티 보전 및 관광자원화 방안 심포지엄 자료집, pp. 135-169
4 서주환, 윤재남, 1999A, GIS와 군집분석을 이용 한 경관자원평가와 관리 -제주도 경관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7(3), pp.88-97
5 서주환, 최현상, 1999B, 토지이용변화를 이용한 농촌경관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2), pp.69-79
6 유복모, 1996, 경관공학, 동명사
7 이상문, 2001, 주민참여에 의한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발굴과 계획, 농어촌과 환경, 11(4). pp. 33-41
8 Cocklin, Chris, Michael Harte and John Hay, 1990, Resource Assessment for Recreation and Tourism: a NewZealand Exampl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9, pp.291-303   DOI   ScienceOn
9 허기술, 어메니티의 농촌자원화를 위한 가치평가 방안, 농어촌과 환경, 11(4), pp.42-S0
10 배중남, 2004,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농촌활성화 방안, 삶의 질 높임과 농촌자원개발 포럼 발표 자료집, pp.45-72
11 김정식, 황한철, 2002, 농촌마을 정체성 확보를 위한 어메니티 지표 설정, 한국농촌계획학회 춘계 학술발표
12 최수명, 한경수, 황한철, 1998, 농촌계획지원용 자격자원평가시스템 구축(III) -농촌자원평가를 위 한 평가등급기준 설정, 한국농촌계획학회지, 4(1), pp.75-85
13 최기만, 이춘석, 임승빈, 1997, GIS를 이용한 가시권정보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2), pp.31-41
14 김대식, 1999, 지리정보시스템과 다기준평가법을 이용한 농촌중심마을계획 모의모형의 개발에 관 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Nijkamp, P., P. Rietveld & H. Voogd, 1990, Multicriteria Evaluation in Physical Planning, North-Holland
16 Satty, Thomas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McGRAW-Hill International Book Company
17 제주도, 국토개발연구원, 1997, 제주도 중산간지역 종합조사
18 윤원근, 2003, 우리나라 농촌어메니티 개발정책과 과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5(2), pp.1-22
19 김상범, 1998, GIS를 활용한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김정섭, 2001, 농촌개발과 어메니티-국제적 논의 동향과 함의, 농어촌과 환경, 통권 제73호, pp. 21-32
21 박창석, 전영옥, 조영국, 2002,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7(6), pp.21-35
22 McGranahan, David A, 1999, Natural Amenities Drive Rural Population Change, Agricultural Economic Report No. 781
23 OECD, 1999, Cultivating Rural Amenities: An Economic Development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