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농촌마을사업 시행 여부에 따른 노화의 차이  

Song, Lee (충북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v.62, no.1, 2020 , pp. 59-66 More about this Journal
Keywor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신옥(2009),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항 분석 : 충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2 강수균(2000), "고령화 사회에 있어서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3(1), 113-137
3 곽만석(2004),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동배(2008),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0(1), 211-231.
5 김미혜.심경림(2005),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2), 35-52.
6 농림수산식품부(2006),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 활성화방안
7 박명호(2011), "한국과 EU의 고령화 비교 연구", EU학연구, 16(1), 99-126
8 박영란(2013), "초고령사회 대비 EU의 '활동적 노화(aclive ageing)'정책 패러다임", 유럽연구, 31(1), 135-158   DOI
9 앙윤정(2011), "노동시장참여중심의 '훨동적 노화'와 그 한계", 국제노동브리프, 2011(3), 49-62
10 유 경.장재윤.한태영.이주일(2014), "활동적 노년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노년학회, 34(3), 613-630
11 이주일.강연욱.김지현.유 경(2011), "생산적 노화에 대한 세대간 인식차 및 생산적 노화 척도의 타당성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산업 및 조직, 24(1), 1-27.   DOI
12 인구통계자료집(2010), 일본 국립사회보장, 인구문제연구소
13 전진숙(2017), "노화의 개념", 생물치료정신의학, 13(2), 129-137.
14 주용국(2011), "전문직 은퇴자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30(1), 75-96
15 최성재(2002), "생산적 노화를 위한 복지정책 방향",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 학술대회, 19, 213-245
16 최승국(2014),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개선방안 연구 -용두산권역 사례를 위주로-", 관광경영연구, 18(3), 327-352
17 허주열.이성근(2009),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민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경상북도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3), 45-70
18 Caro, F, G., Bass. S. A., & Chen Y. P. (1993), "Introduction: achieving a productive ageing society", In S. A. Bass, F. G. Caro & Y. P. Chen(Eds.) achieving a productive ageing society, Westport, CT: Auburn House.
19 EU, Cornrni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99), Towards a Europe for All Ages: Promoting prosperity and international solidarity. brussels 21.05.1999.
20 Glass, T. A., Seeman, T. E., Herzog, A. R., Kahn, R. L., & Berkman, L. F.(1995), Change in productive activity in late adulthood: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50B(2): S65-S76   DOI
21 Holstein, M. B. & Minkler, M. (2003), Self, society, and the "new gerontology", The Gerontologist, 43(6), 787-796   DOI
22 Hooyman, N. & Kiyak. H. A. (1999),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5th ed.). Boston: Allyn and Bacon.
23 조영재.조은정(2013), "농촌지역 귀농, 귀촌인 정주현황 및 커뮤니티 실태 분석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9(4), 191-202   DOI
24 Kalish, R, Q, Late Adlthood: Pers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Berkeley : Cole Publishing Co, 1975, 128-133
25 OECD(2000), Reforms for an Ageing Society, Paris: OECD
26 Walker A. (2009), "Commentary: The emergence and application of Active Aging in Europe," Journal of agind and social policy 21(1): 75-93   DOI
27 Ryff, C, D.(1989),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New directions in quest of successful aging.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2(1), 35-55   DOI
28 Starrels. M. E. (1994), Life Course: Stages and Institutions: In S. A. Bass et al. (eds.), Achieving a Productive Aging Society (book review). ContemporarySociology, 23(3), 400-410.
29 UNESCO. Opportunities for Active Ageing Policies in Europe. Oxford: Blackwell Publishing Ltd., 2008
30 WHO(2007), Golbal initiative for the elimination of avoidable blindness, adction plan 2006-2011, Copengagen: W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