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농업수자원의 이/치수 안전도 및 수질 평가 지표  

Park, Jin-Seok (서울대학교)
Song, In-Hong (서울대학교)
Kim, Hae-Do (농어촌연구원)
Sin, Hyeong-Jin (농어촌연구원)
Publication Information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v.60, no.1, 2018 , pp. 58-66 More about this Journal
Keywor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Lee D. G., Jeju Farmers, "Special Damage Compensation Against The Typhoon Chaba is Required", Jejusori, 2016
2 최시중, 강성규, 이동률, 최진용, 이성학, 2017, 기후변화에 따른 논벼 작부체계 변화가 미래 용수공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7(2), 439-448.
3 권태영, 2014, 다목적댐 이수안전도 평가지표개선 방안연구
4 농림축산식품부 & 한국농어촌공사, 2013,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농업용저수지 수질지표 및 관리모델 개발
5 박나영.최진용.유승환.이상현, 2013, RCP 시나리오 기반 농업용 저수지의 내한능력 평가,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5(3), pp.13-24.   DOI
6 박석근(2006), 홍수 피해발생 잠재위험도 산정방안 연구, 인천대학교, p4-23
7 박태선 외 3명(2005), 홍수 피해 특성 분석 및 홍수 피해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p59-84
8 손태석, 주재승, 박재범, 신현석, 2011, 부하지속곡선과 유량-부하량 상관곡선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오염총량평가, 한국토목학회논문집, 31(5B), 475-481.
9 양소열, 2016, 수혜권역의 여건 변화를 고려한 농업용저수지의 농어촌용수 공급능력 평가, 전남대학교 공학박사 학위논문
10 이동률 외 3명, 치수관리지수의 비교평가, 한국수자원학회
11 이주헌, 조동진, 박두호, 최동진, 박성제, 2009, 국가치수안전도 평가를 위한 치수지표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지, 1748-1753.
12 유승환, 최진용, 이상현, 오윤경, 박나영, 2012,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4(2), 15-26.   DOI
13 윤동근, 2010, 저수지 홍수배제능력증대 방안 검토, 한국관개배수회지 10월호, 37-42
14 차상화.박기범, 2004, 다목적댐의 용수공급능력 평가지표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3(3), pp.197-204.
15 차형선 외 3, 2011, 수자원계획에서 이수안전도 기준의 적정성 평가
16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2015, 농업용저수지 수질정보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17 환경부, 2014, 생물학적 수질평가제도 개선방안연구 최종보고서
18 황현동, 2013, 수문-수질모델을 이용한 호소 오염총량제 수질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 Dandy, G.C., Connarty, M.C., Loucks, D.P., 1997, Comparison of Methods for Yield Assessment of Multiple Reservoir Systems, Journal of Water Resources and Management 123(6), pp.350-358.
20 Hashimoto, T., Stedinger, J.R., and Loucks, D.P. (1982)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s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No. 1, pp. 14-20.   DOI
21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1999. Comprehensive plan for agricultural and rural water.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Republic of Korea.
22 Moy, W.S., Cohon, J.L., ReVelle, C., 1986, A programming model for analysis of the reliability,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of a water supply reservoir, Water Resources Research 22, pp.489-498.   DOI
23 RRI(Rural Research Institute) (2010) Climate Change Impacts Assessments on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KRC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