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715/jkarhn.2022.17.2.50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Storytelling for the Elderly Living in Rural Communities  

Kong, Jeong Hyeon (Department of Nursing, Jinju Health College)
Kim, Hyun Jin (Department of Nursing, Suwon Women's University)
Kim, Mi Kang (Department of Nursing, Cheongam College)
Seo, Ji Hye (Department of Nursing, Cheongam College)
Yun, Kyoung Sun (Department of Nursing, Suwon Women's University)
Choi, Sung Nam (Department of Nursing, Doowon University)
Jung, Eun Young (Department of Nursing, Cheongam College)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 v.17, no.2, 2022 , pp. 50-5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torytelling-based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living in rural communiti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58 elderly people, 29 in the control group and 29 in the experimental group living in the rural areas. Disaster response knowledge, attitude toward disaster, and disaster and safety practice were measured in both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The program consisted of 4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by x2 test and independent t-test with SPSS/WIN 21.0.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torytelling-based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disaster response knowledge, and disaster and safety practice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storytelling-based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programs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disaster response knowledge, and disaster and safety practice. We hope that the storytelling-based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programs can be used in the elderly nursing curriculum in the future, and we suggest it should be applied as a nursing intervention.
Keywords
Elderly; R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progra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통계청. 2022 고령 인구 비율(시도/시/군/구)[Internet]. 서울: 한국 통계청. 2022 [cited 2022 October 6].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20631
2 이성은. 노인의 지역사회 안전 인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재학회. 2016;16(6):129-135. https://doi.org/10.9798/kosham.2016.16.6.129   DOI
3 서지혜, 홍주영, 김상숙, 강인원, 정은영. 농촌 지역사회 노인의 재난 ․ 안전 실천 행위 측정도구 개발. 농촌간호학회지. 2020;15(1):1-8. https://doi.org/10.22715/jkarhn.2020.15.1.1   DOI
4 음성진.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강화군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건국대학교; 2017. 105 p.
5 조희금, 이미영. 농촌 노인의 생활안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7;21(2):1-24. https://doi.org/10.22626/jkfrma.2017.21.2.001   DOI
6 구원회, 신호준, 백민호. 농촌 지역의 재난 발생에 따른 안전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11(3):392-399. https://doi.org/10.15683/kosdi.2015.11.3.393   DOI
7 최윤정, 구원희, 백민호.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의 재난안전에 관한 인식조사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2017;13(3):388-397. https://doi.org/10.15683/kosdi.2017.09.30.388   DOI
8 박미리, 이영섭, 이영근. 민.관의 요구도 조사를 통한 농촌의 재난관리 방안 연구.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7 February 16-17; 서울 건국대학교. 한국방재학회. 2017. 491 p.
9 이성심, 이동숙. 스토리텔링 기반 당뇨 교육 자료 개발 및 적용효과: 농촌 지역 당뇨 노인을 대상으로. 대한건강증진학회지. 2022;22(2):113-122. https://doi.org/10.15384/kjhp.2022.22.2.113   DOI
10 Kong J-H, Jung E-Y, Seo J-H, Im J-J. Story telling problem based learning (ST- PBL): A program for rural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2022;9(1):37-45. https://doi.org/10.24313/jpbl.2021.00031   DOI
11 이성은. 장애인의 재난대처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2020;8(3):69-76. https://doi.org/10.22716/sckt.2020.8.3.021   DOI
12 이성은. 노인의 안전인식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재난대처지식의 조절효과. 문화와 융합. 2020;42(10):1071-1085. https://doi.org/10.33645/cnc.2020.10.42.10.1071   DOI
13 박안숙. 간호대학생의 재난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준비도가 재난간호 기본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19(3):1625-1636. https://doi.org/10.37727/jkdas.2017.19.3.1625   DOI
14 Ibrahim FAA. Nurses knowledge, attitudes, practices and familiarity regarding disaster and emergency preparedness-Saudi Arabia. Americ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4;3(2):18-25. https://doi.org/10.11648/j.ajns.20140302.12   DOI
15 임미혜, 고일선. 노인요양시설의 신체적 억제대 적용에 영향을 주는 사고 유발 위험요인. 한국노인간호학회지. 2012;14(1):1-11.
16 서지혜, 정은영.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안전수행정도: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20;11(10):409-416. https://doi.org/10.15207/JKCS.2020.11.10.409   DOI
17 강현경, 이은숙. 요양병원 간호보조인력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환자 안전활동.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8;19(10):194-208. https://doi.org/10.5762/KAIS.2018.19.10.194   DOI
18 오현숙. 요양병원 간호보조인력의 직업의식과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라북도]: 우석대학교; 2019. 512 p.
19 홍재기, 박광민, 이동기, 박유진, 박지영, 이보림, 성유진 등. 보드게임과 시청각 교육을 통한 안전교육 프로그램이 노인의 안전의식에 미치는 효과.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2018;10(2):83-95. https://doi.org/10.34264/jkafa.2018.10.2.83   DOI
20 이보민, 강혜지, 김지나, 이석준, 한창경, 양영애. 노인 안전교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시제품 개발.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2020;13(2):17-23. https://doi.org/10.34263/jsotad.2019.13.2.17   DOI
21 박민정, 김인숙, 함영림. 병원 의료종사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3;13(5):332-341.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332   DOI
22 김정숙, 공정현, 최성남, 김상숙, 정은영. 간호대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재난간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지. 2019;7(1):31-43. https://doi.org/10.17333/JKSSN.2019.7.1.3   DOI
23 문영자, 이선혜.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행위에 관한 영향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9;33(1):98-108. https://doi.org/10.5932/JKPHN.2019.33.1.98   DOI
24 박은하, 윤준성.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사진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한국디자인포럼. 2013;38:265-274. https://doi.org/10.21326/ksdt.2013..38.024   DOI
25 이제용, 이광옥, 유광우, 김명종. 전통문화축제의 스토리텔링이 축제매력성과 방문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강릉단오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6;16(9):396-409. https://doi.org/10.5392/JKCA.2016.16.09.396   DOI
26 남연정. 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영아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021;29(1):23-50. https://doi.org/10.18230/tjye.2021.29.1.23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