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715/jkarhn.2020.15.1.16

Effects of Magma Healing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Bae, Sang Hee (Gungri Primary Health Care Post)
Choi, Mi Young (Sinnam Primary Health Care Post)
Lee, Yeong Hui (Jangwon Primary Health Care Post)
Shin, Jung Eun (Department of Nursing, Chungcheong University)
Jang, Yang-Min (Department of Nursing, Chungbuk Health & Science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 v.15, no.1, 2020 , pp. 16-2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elders taking part in the Magma healing program. Methods: This study was a single 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elders over 60 who had complained of depression more than once within the last 3 months, and who were living in the jurisdiction of a health clinic in the 3-area of Chungnam. Data from 14 elders who participated in the Magma healing program were analyzed using nonparametric paired t-test with SPSS 25.0.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Magma healing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reducing depression (z=-2.91, p=.004) and improving self-esteem (z=-2.91, p=.004) in elders. Conclusion: The Magma healing program has been proven to be a very useful program to reduce depression in elders and promote self-esteem, thereby integrating their lives and leading to successful aging.
Keywords
Magma healing; Depression; Self-esteem; Elderl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통계청. 2017 주요 인구지표(성비, 인구성장률, 인구구조, 부양비 등)[Internet]. 서울: 한국 통계청. 2017[cited 2019 March 28] http://kosis.kr/easyViewStatis/customStatisIndex.do?vwcd=MT_TM1_TITLE&menuId=M_03_01
2 남효정, 황성희, 김유정, 김기웅.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8. 중앙치매센터 연구보고서. 성남: 중앙치매센터; 2018 12. 보고서 번호.:NIDR-1802-0023.
3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경래, 이윤경, 오미애 등.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세종: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11. 보고서 번호.:11-1352000-000672-12.
4 이난희, 방기현, 송혜숙. 종단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노인의 우울 변화요인 분석. 대한보건연구. 2017;43(3):13-25.   DOI
5 남일성, 윤현숙. 노인 우울증 변화 궤적과 관련 위험 요인.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14;14(3):112-120. https://doi.org/10.15384/kjhp.2014.14.3.112
6 김윤영. 만다라 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 대구대학교; 2018. 93 p.
7 김종임. 농촌 지역 노인들의 우울과 건강상태, 신체적 기능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련 예측요인. 노인간호학회지. 2014;16(3):231-241. https://doi.org/10.17079/jkgn.2014.16.3.231   DOI
8 한송희, 최정신, 최윤지, 윤순덕. 농촌 여성노인의 우울 영향요인 연구-사회적 관계망과 공동체의식을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017;24(4):223-235. https://doi.org/10.12653/jecd.2017.24.4.0223
9 김향아. 남녀 노인의 우울 변화궤적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019;74(1):91-114. https://doi.org/10.21194/kjgsw.74.1.201903.91
10 김신향, 김형수.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2014;40(3):77-97. https://doi.org/10.15820/khjss.2014.40.3.004
11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1st ed.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26 p.
12 김미선.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2014. 66 p.
13 박상연, 전영미, 성정혜, 이선희. 노인의 역할활동과 자아존중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2013;14(1):43-50.
14 곽아람.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2014. 98 p.
15 정순영, 한상영. 만다라미술치료 과정 명상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2016;23(1):259-311. https://doi.org/10.35594/kata.2016.23.1.012
16 김영옥, 김영옥. 만다라 심리상담 기법. 1st ed. 서울: 마그마숲; 2016. 289 p.
17 장미림. 만다라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미디어 중독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2016;23(2):609-632. https://doi.org/10.35594/kata.2016.23.2.012
18 김재순, 최외선.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와 자존감 향상을 위한 만다라 중심 미술치료사례 연구. 2012;19(4):937-961. https://doi.org/10.35594/kata.2012.19.4.010
19 변혜진, 이영옥.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2016;23(4):1079-1097. https://doi.org/10.35594/kata.2016.23.4.008
20 석상훈, 권혁창, 송현주, 이은영, 오지연, 신혜리 등.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노후준비 실태와 기대; 제3차 국민노 후보장채널 부가조사 분석보고서. 서울: 국민연금연구원;2012 02. 보고서 번호: 조사보고서 2011-01(1/2).
21 윤유경. 주관적 연령의 예측 요인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1996. 105 p.
22 권혁례. 뇌교육을 병행한 만다라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삶의 의미 증진에 미치는 영향. 뇌교육연구. 2019;24(0):7-31.
23 조맹제, 배재남, 서국희, 함봉진, 김장규, 이동우 등. DSMIII-R 주요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eriatric Depressing Sacle (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정신신경의학. 1999;38(1):48-63.
24 전병제.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974;11:109-129.
25 김금순. 가족관계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부산]: 신라대학교; 2016. 115 p.
26 김영옥. 만다라 분석심리로 가는 길. 1st ed. 서울: 마그마숲; 2017. 331 p.
27 김일식, 신혜숙, 서호찬. 노인대상 우울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2015;35(4):1061-1079.
28 서정훈, 고영란. 집단미술치료가 ADHD 시설아동의 자기통제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011;18(2):177-201.
29 양원영. 집단미술치료가 군 관심병사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시설환경. 2019;17(2):87-102.
30 박민정, 정미영. 노인의 불안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복수매개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20;31(1):24-33. https://doi.org/10.12799/jkachn.2020.31.1.24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