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박원우, & 신수영. (2005). 구성원의 역량, 응집성, 팀 역할 균형과 팀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pp. 21-47). 한국인사조직학회.
|
2 |
박장평. (1990). 응집력과 수행간의 관계 및 인과성 분석. 강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논문집, 15, 1-21.
|
3 |
범기수, 김은정, & 백세진. (2011). 소집단 커뮤니케이션이 구성원의 집단응집력, 집단만족도, 노력회피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13(2), 134-170.
|
4 |
배병렬. (2014). Amos 21 구조방정식모델링. 파주: 도서출판 청람.
|
5 |
배병룡. (2013). 참여적 의사결정의 경로분석. 한국자치행정보, 27(4), 1-20.
|
6 |
배병룡. (2014). 조직시민행동의 원인과 결과-참여와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8(3), 1-22.
|
7 |
송계충. (2001). 소집단 토의의 이치가 집단 업적에 미치는 영향. 경영경제연구, 24(1), 41-53.
|
8 |
윤광현, & 김대수. (2013). 직무만족과 조직응지력 간의 관계연구: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경영컨설팅연구, 13(3), 113-133.
|
9 |
이미숙. (2017). 한국 마을단위 사회적 자본의 형성-1970년 대 새마을운동의 경험. 농촌지도와 개발, 24(3), 199-210.
|
10 |
이영준. (1995). SPSS/PC+를 이용한 다변량 분석. 파주: 도서출판 석정.
|
11 |
이일권. (2018). 주민의 사회적 자본 인식과 농촌개발협력 사업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학위 논문.
|
12 |
이종범, & 양재생. (2005). 집단응집력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관리연구지, 12(2), 5-31.
|
13 |
한국농촌발전연구원. (2017). 라오스 농촌공동체 개발사업 중간보고서. 수원: 한국농촌발전연구원.
|
14 |
Bateman, T. S., & Organ, D. W. (1983). Job satisfaction and the good solier: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employee “citizenship”.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4), 587-595.
DOI
|
15 |
Carron, A. V., Colman, M. M., Wheeler, J., & Stevens, D. (2002). Cohesion and performance in sport: A meta analysis.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24, 168-188.
DOI
|
16 |
Cartwright, D. (1968). The nature of group cohesiveness. In D. Cartwright & A. Zander (Eds.), Group dynamics: Research and practice (pp. 91-109). N.Y.: Harper & Row, 91-109.
|
17 |
Chang, A., Duck, J., & Bordia, P. (2006).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group cohesion-group performance relationship. Social Group Research, 37(4), 327-350.
DOI
|
18 |
Kim, C.-G., & Kim, Y.-J. (2009). The effect of group norms on the discretionary efforts and performance: Focused on bank branches of Korea. 인적자원관리연구, 16(4), 79-97.
|
19 |
Kodjo, K. O. (2017). The role of village development committee (VDCs) in local development in the central region of Togo.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
20 |
Organ, D. W. (1988).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
21 |
한국농촌발전연구원. (2016). 라오스 농촌공동체 개발사업 마스터 플랜. 수원: 한국농촌발전연구원.
|
22 |
Podsakoff, P. M., MacKenzie, S. B., Paine, J. B., & Bachrach, D. G. (2000).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 critical review of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literatur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nagement, 26(3), 513-563.
DOI
|
23 |
Podsaoff, P. M., Ahearne, M., & MacKenzie, S. B. (1997).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quantity and quality of work group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2(20), 262-270.
DOI
|
24 |
Schuler, R. S. (1977). Role perception,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moderated by organization level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1), 159-165.
DOI
|
25 |
김대수. (2017). 집단응집력,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간의 관계연구: 시민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pp. 97-107). 한국산업경영학회.
|
26 |
김두순, 김성록, & 박덕병. (2017). 농촌 지역사회 주민역량이 지역사회 만족에 미치는 영향-지역사회 애착도의 조절효과. 농촌지도와 개발, 24(4), 279-293.
|
27 |
김민강, & 박통희. (2008). 신자유주의적 인사혁신의 맥락에서 인사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한국행정학보, 42(3), 261-291.
|
28 |
김성규. (2016). 사회자본과 개도국농촌개발사업의 효과성: 미얀마 농촌종합개발 공적개발원조(ODA) 사례를 중심으로. 농업경영.정책연구, 43(1), 86-111.
|
29 |
김원형. (1999). 조직시민행동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대전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18(1), 61-97.
|
30 |
박덕병, 임광명, & 안재문. (2018). 농촌지역주민 공동체 의식의 지역사회참여 영향요인-거주기간의 조절효과. 농촌지도와 개발, 25(3), 135-148.
|
31 |
Smith, A. C., Organ, D. W., & Near, J. P. (1983).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s nature and anteced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8(4), 653-663.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