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653/jecd.2012.19.3.581

Impact of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on Hopelessness among Rural Elderly People  

Kim, Sun An (우송대학교 의료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v.19, no.3, 2012 , pp. 581-61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on the hopelessness of rural elderly people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fe. The rural elderly people investigated didn't think that they were given lots of support from their families and society, and they didn't feel hopeless a lot, either. The hopelessness of the elderly people was under the negative influence of emotional support and instrumental support among the subfactors of family support, and that was affected in a negative way by affective support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rural elderly people felt hopeless less when they were provided with more emotional support, more instrumental support and more affective support. Overall,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hopelessness of the rural elderly people.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step up the improvement of rural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fe, a well-functioning model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collaboration with local community, and the construction of a social support network is required as well.
Keywords
Rural Elderly People; Hopelessness;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지선. (2002). 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현숙. (1985). 재활강화 교육이 편바미환자의 자가 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도환. (2001).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13(1). 113-144.
4 김순정 (2002). 노인이 지각한 가족적지지, 고독감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선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옥수, 백성희. (2003). 노인의 외로움과 사회적지지, 가족기능간의 관계 연구. 대 한간호학회지. 33(3). 425-432.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6 김익균 외. (2008). 노인복지론. 경기: 교문사.
7 민기채. (2008). 노인의 비공식적 지원제공과 관계망 특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경민. (1993).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노년기 우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소윤. (1999). 재가복지 서비스 수혜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정아. (2009). 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수준과 사회적지지. 가족지지 및 신체적 기능과의 관련성.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박지원. (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배경화. (2010). 노인의 건강 지각과 가족지지 및 우울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신민섭 외. (2007). 사회복지척도집. 서울: 도서출판 나눔의 집.
14 심문숙. (2005). 저소득 노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7(1). 63-70.
15 안효찬. (2010). 노인의 절망감 영향 요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엄태완. (2004). 북한이탈주민의 무망감에 의한 우울증 완충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오인근. (2007). 노인자살생각에 대한 경로 분석: 저소득 지역의 가구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윤효순. (2009).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미란. (2011). 노인의 건강성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 가족지지 매개효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이미숙. (2005). 노인 우울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지지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미정. (2002).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영적 안녕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분애. (2010).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은주. (2007).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호선. (2005). 노인상담. 서울: 학지사.
25 전은희. (2008).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 존중감과 우울을 매개로.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조원길. (2003). 농촌지역 노인들의 생활실태와 욕구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통계청. (2008). 장래인구특별추계 결과.
28 통계청. (2010a). 2009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29 통계청. (2010b). 고령자 통계.
30 한수정. (2005). 노인 우울증의 영향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한수정. (2005). 노인 우울증의 영향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홍수진. (2010). 집단음악치료가 초등학교 1학년 시설아동의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Abramson, L. Y., Metalsky, G. I., & Alloy, L. B. (1989). Hopelessness depression: A theory-based subtype of depression. Psychological Review. 96. 358-372.   DOI
34 Beck, A. T., Weismann, A., Lester, D., & Trexle, L. (1976). Classification of suicidal behaviours. II. Dimensions of suicidal intent. Arch Gen Psychiatry. 33(7). 835-837.   DOI   ScienceOn
35 Beck. A. T. & Steer, R. A. (1988). Manual for Beck Hopelessness Scale.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36 Bowling, A. A., Farquhar, M., & Grundy, E. (1993).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over a two and a half year period among very elderly people living in London. Soc Sci Med. 36. 641-655.   DOI   ScienceOn
37 Campbell, L. (1987). Hopelessness: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25(2). 18-22.
38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DOI
39 Conwell, Y., Rosenberg, M. L., & Caine, E. D.(1990). Completed Suicide at age 50 and over.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8. 640-644.   DOI
40 Dyer, J. A., & Kreitman, N.(1984).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ntent in parasuicid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4. 127-133.   DOI   ScienceOn
41 Gibbs, L., Dombrovski, A. Y., Morse, J., Siegle, G. J., Houck, P. R. & Szanto, K. (2009). When the soultion is part of the problem: problem solving in elderly suicide attemp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4. 1396-1404.   DOI   ScienceOn
42 White, J. L. (1989). The Troubled Adolescent. Boston: Allyn.
43 Krause, N. (1997). Anticipated support, received support, and economic stress among older adults. Journals of Gerontology. 52B(6). 284-293.   DOI
44 Krause, N. (1997). Anticipated support, received support, and economic stress among older adults. Journals of Gerontology. 52B(6). 284-293.   DOI
45 Sutherland, D. & Murphy, E. (1995). Social support. Among elderly in two community programs. J Gerontol Nurs. 21(2). 3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