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653/jecd.2011.18.4.765

An Influence of Elderly Marital Intimacy that Effect on Their Consciousness of Caregiving for Partner  

Cho, Seong-Hee (한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Kim, Yun-Jeong (한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v.18, no.4, 2011 , pp. 765-79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d 199 elderly couples (389 people) who live in sixteen districts and cities of Chungcheong nam-do. Purpose of this study; First, observing difference of elderly husbands and wives' intimacy and care giving consciousness. Second, understanding how couples' marital intimacy affects on partner care giving consciousness. Research result; First, sexual intimacy of husbands was higher than wives' and economical care giving consciousness of husbands was higher than wives'. Second, elderly husbands and wives' intimacy was a meaningful factor on care giving consciousness, especially effect from cognitive intimac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ird, husbands' care giving consciousness was only affected by their own intimacy. But in case of wives, not only their intimacy but also husbands' intimacy affected on their care giving consciousness.
Keywords
Intimacy; Marital Intimacy; Caregiving Consciousness; Elderly Marita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윤정. (2000). 사회적지지로서의 노인부양. 한국노년학, 20(1), 209-223.
2 김윤정, & 서신영. (2005). 중.노년기 부부간 romantic relationship. 한국노년학, 25(1), 87-102.
3 김태현. (1982). 한국에 있어서의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태현. (1994). 노년학. 교문사.
5 김혜경. (2009). 아들가족에서의 노부모 돌봄 연구-부부와 노인의 생애서사시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43(4), 1-235.
6 모선희. (1997). 노년기 부부관계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2), 1-15.
7 모선희 외. (2005). 현대노인복지론. 학지사.
8 박민지. (2006). 부부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원 가족 분화수준과 가족규칙 및 부부 의사소통.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소희. (2007). 기혼여성의 여가활동 특성과 정서표현성 부부 공감, 친밀감 및 여가 공유 의사의 관계.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백주희. (2005). 치매노인의 요양시설 입소에 미치는 영향: 배우자부양 대 성인자녀 부양자. 한국노년학, 25(2), 127-141.
11 보건복지가족부. (2009). 노인 돌봄 기본서비스의 실제. 보건복지부.
12 서선영. (2006). 한국 부부들의 성이야기.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신수진. (1993) 성인초기 자녀의 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사회 교환론과 상호적 상징 작용론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심창교. (2008). 노년기 부부 성숙 프로그램개발-개입연구 방법의 적용.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이경희. (1995). 부부간 친밀감 척도개발에 관한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4), 236-249.
16 이경희. (1998).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유형.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17 이금남. (2001). 기혼 딸과 친정어머니의 친밀감 및 부양의식.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윤정. (1994). 성인자녀의 노부모 부양부담정도와 부양에 따른 부담감.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위환, & 권용신. (2005). 가족친밀감과 노인인식이 노인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지, 14(2), 165-178.
20 이정화. (1999) 부양의식과 형제자매지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농촌 며느리의 시부모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1 임미영. (2002). 가족 친밀감과 청소년의 노인 부양의식과의 관계.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임성선. (2008). 심리학 부부를 만나다. 아름다운사람들.
23 우국희. (1997) 치매노인 수발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주관적 경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장희선, & 김윤정. (2010). 도서지역 여성독거노인의 신체적 건강, 경제상태, 사회적 관계의 실태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17(2), 233-260.
25 전길량, & 김태현. (1993). 노모와 성인 딸 간의 상호작용과 부양기대감-부양기대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3(1), 17-38.
26 정주영. (2007). 치매 노인 주부양자의 부양에 관한 경험연구-배우자 주부양자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조영숙, 황대용, & 이한기. (2007). 농가부부의 의사결정 구조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14(2), 373-394.
28 조윤주. (2002). 대학생의 부모와의 애착 갈등 및 부양 의무감과 부모부양의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9 채혜선, 윤순덕, 이경숙, & 김효철. (2009). 농촌지역 노인 돌봄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농촌지도와 개발, 16(1), 1-20.
30 최성재. (1985). 현대화와 한국 노인의 가족에로의 사회적 통합. 한국사회복지학, 6, 145-165.
31 최종천, & 김윤정. (2009). 농촌지역 여성 노인의 가족형태와 삶의 질. 농촌지도와 개발, 16(3), 503-532.
32 최혜경, 강진경, & 신수진. (1999). Sternberg의 사랑의 삼각이론의 한국 부부에의 적용.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4), 47-59.
33 통계청. (2006). 장래인구추이.
34 통계청. (2011). 통계청 DB.
35 팽재영. (2009). 치매노인 가족원의 부양부담에 관한연구-가족친밀감과 대처전략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Broucke, S., & Vandereycken, W. (1995). Marital intimacy: Conceptualization and assessment. Clinical psychology, 15(3), 217-233.
37 Cantor, M. H. (1983). Strain among Caregivers: A Study of Experience in the Unites States. The Gerontologist, 23(6), 597-604.   DOI   ScienceOn
38 Cicirelli, V. G. (1983). Attachment and Obligation Ad Daughters' Motives for Caregiving and Subsequent Effect on Subjective Burden. Psychology and Aging, 8(2), 144-155.
39 Horowite, A. (1985). Family Caregiving to the Frail Elderly. Annual Review Gerontological Geriatrics, 5, 194-246.
40 Johnson, C. L. (1985). The Impact of Illness on Later-life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7(1), 165-172.   DOI   ScienceOn
41 Moss. B., & Schwebel, A. (1993). Marriage and Romantic Relationship. Family Relations, 42, 31-37.   DOI   ScienceOn
42 Sternberg, R. J. (1986). A Triangular Theory of Love. Psychology Review, 93(2), 119-135.
43 Tower, R. B., & Kasi, S. V. (1996). Gender, Marital Closeness, and Depressive Symptoms if Elderly Couples. The Journals of Gerontolgy: series B, 51B(3), 115-129.   DOI
44 Witkin, H. A., & Goodenough, C. A. (1997). Field Dependent and Field Independent: Cognitive Style and Their Educational Styl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7, 1-64.
45 Wynne, L. C. (2004). The Epigenesis of Relational Systems: A Model for Understanding Family Development. Family Precess, 23(3), 297-318.
46 김지선. (2008). 연리지(連理枝)로 그려지는 노년기 배우자의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강진경, 신수진, & 최혜경. (2001). 결혼지속 년 수에 따른 한국 부부의 사랑구조의 변화 양상.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51-65.
48 김명옥. (2009). 맞벌이 여성노인의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김숙자. (2007). 농촌 노인의 건강실태와 의료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0 김지영. (2001).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관한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