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653/jecd.2011.18.3.385

Aspects of the Community Sense and the Effects of Variables on It in Rural Married Immigrant Women  

Yang, Soon-Mi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v.18, no.3, 2011 , pp. 385-40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 of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community sense in rural married immigrant women and investing it's aspects. The following 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the women in religion or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in rural regions have a high probability of belongs to the group developed a strong sense of community. Second,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onsciousness of community participation(${\beta}$=.55)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on the level of community sense in rural married immigrant women, followed by the women's self-esteem(${\beta}$=.24), and the positivity in agricultural participation (${\beta}$=.09). Third, the consciousness of community participation highly correlated with the positivity in local society participation(r=.36).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elf-esteem and local society participation are important to improve the women's community sense in rural areas. Therefore we should be focused to develop the plans improving the women's self-esteem and social participation.
Keywords
Rural; Married Immigrant Women; Community Spirit; Self-este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철희, & 홍현미라. (2002). 지역사회결속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48, 43-77.
2 김경준.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김나영. (2003). 지역사회참여활동의 정치교육효과 지각에 관한 연구-대학생들 의 정치 지식, 기능 및 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남선. (1994). 지역사회운동을 통한 공동체 형성 모델; 실증적 사례. 자치행정, 75(6), 17-26.
5 김옥순. (2006). 서울시 거주 중․고생의 공동체 의식 조사연구-인터넷 이용형태와 사회적 상호작용 및 연대감 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7(3), 215-234.
6 김영희. (2006). 자원봉사횔동의 활성화를 위한 인정 및 보상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이선, 정해숙, & 김영주. (2008). 농촌 여성결혼이민자가족 지원사업 발전방안연구. 농림부.
8 박서호. (1993). 지역사회운동을 통한 공동체의식 형성 방안,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공동체 의식 함양방안. 대전: 한국지역사회개별협희.
9 박순영. (1984). 공동체 이론과 공동체 윤리, 한국인의 윤리관 II(78-115). 성남: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0 조완규. (1993). 농민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전재은. (2006). 주 5일 수업제에 따른 청소년 사회참여활동 확대 방안에 대한 연 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양순미. (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성 부부중심. 농촌사회, 16(2), 151-179.
13 양순미. (2010).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사회참여활동태도가 미치는 효과. 농촌사회, 20(1), 233-264.
14 양순미, & 유영주. (2002). 농촌부부의 배우자에 대한 역할 기대, 역할수행평가, 역할상이성이 결혼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75-91.
15 유영주, 김경신, & 김순옥. (2000). 신가족관계학. 교문사.
16 이나영. (2009). 공동주택단지와 공동체 의식과 외부 공간 구성.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이승종. (1993). 민주정치화 시민참여. 서울: 삼영.
18 이형하. (2005). 대도시지역 노인과 농촌지역 노인의 공동체 의식 관련 요인 비교 연구. 노인복지연구, 28, 231-254.
19 이혜영. (1997). 공동체적 사회연대 구축을 위한 품성교육의 방향. 교육사회학연구:한국교육개발원.
20 최영아. (2005). 지역사회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과 참여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Davidson, W. B., & Cotter, P. R. (1989). Sense of communi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7, 119-125.   DOI
22 Glynn, T. J. (1981).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Measurement and appilication. Human Relation, 34, 789-818.   DOI
23 McMilan, D., &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a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3.   DOI
24 Mannarini, T., & Fedi, A. (2009). Multiple sense of community: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7(2), 211-227.   DOI   ScienceOn
25 Obst, P., & Smith. S. G. (2002). An Exploration of SOC, Part 3 dimension and predictors of psychological SOC in geographical communities. Community Psychology, 30(1), 119-133.   DOI   ScienceOn
26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