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851/ksrp.2013.19.1.189

A study on the Development course of guideline for fostering the Rural village roads  

Kim, Eun-Ja (Dep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Lee, Yoo-Kyoung (Dep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im, Sang-Bum (Dep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Lim, Chang-Su (Dep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ark, Mi-Jung (Dep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hoi, Jin-Ah (Dep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Lee, Jeung-Won (Dep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v.19, no.1, 2013 , pp. 189-20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raw the plan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when developing guidelines to build up roads in rural villages. Drawing the construction elements necessary for building up roads through the advanced research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relevant experts in order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each plan element of route plan, design & construction and operation & management. The result determined total 105 cont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when building up roads in rural villages. The study on building up roads in rural villages as a strategy to vitalize rural areas means universal roads that connect each village with rural amenities in various values like walking tour road, visit roads and observation roads. It is considered that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building up roads in rural villages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to build up roads where nature, culture and history of rural areas can be effectively experienced and enjoyed.
Keywords
Rural Road; Road Layout; Road Planning; Trail guidelin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경남발전연구원, 2010, "느림의 가치"걷는 길의 확산에 따른 경남의 정책방향.
2 김상욱, 2012, 문화생태탐방로 조성에 대한 중요도 성취도 분석: '구불길'군산저수지 구간을 중심으로, 농업과학연구, 39(3), 319-325.
3 김종호, 전준헌, 이덕재, 이광희,김성일, 김통일, 2007, 농.산촌 개발마을 사례별 마을개발 사업에 대한 지역주민 의식, 한국임학회지, 96(6), 714-723.
4 문옥표, 2000, 그린투어리즘의 생산과 소비. 군마현의 '총합교류터미널'사례를 중심으로, 농촌사회, 10, 205-232.
5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관광공사, 2009,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탐방로 가이드라인 연구.
6 박병옥, 2008, 도시 숲과 지역의 역사문화를 연계한 생태문화탐방로 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양림산 자연생태조사를 통하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현만, 2012, 지역 생태문화탐방로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고창군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심현남, 2011, 안동시 낙동강유역 문화경관을 이용한 탐방로 계획,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안송이, 2010, 지오투어리즘을 적용한 지형관찰 학습길 활성화 방안: 설악산국립공원을 사례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안승일, 2012, 농산촌 진흥을 위한 GRAT-Tourism 적지선정 평가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윤나리, 2009, 백제문화권의 문화생태탐방로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순주, 2012, 자연탐방로 만족요인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승주, 한봉호, 강현경, 이수동, 김상범, 2009, 농촌 전통테마마을 활성화를 위한 내곡리 여산팔경 마을 생태탐방로 노선설정 방안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5(3), 61-79.
14 이종성, 2001, 델파이방법, 서울 : 교육과학사.
15 이종인, 조근태, 신봉철, 2007, 농업환경분야의 델파이 기술예측조사, 강원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논문집 18, 126-127.
16 임휘룡, 2010, 서울 북악산 군 순찰로를 활용한 생태.문화 탐방로 조성 및 이용 프로그램 개발, 서울 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전강은, 홍석호, 김세용, 2012,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역사문화거리 조성계획,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3(1), 33-50.
18 정휘, 양병이, 2008a, 광역 탐방로 노선선정을 위한 계획요소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5), 35-41.
19 정휘, 2008b, 광역 생태탐방로 노선선정 계획기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하은찬, 2012, 고군산군도의 생태.문화적 가치를 활용한 탐방로 활성화 방안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한국관광공사, 2009, 가족여행실태조사 보고서.
22 한봉호, 배정희, 안인수, 이경재, 2009, 산지형 도시 공원 내 보행약자를 위한 산책로 조성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6), 22-33.
23 환경부, 2008, 생태문화탐방로 조성 가이드라인 연구.
24 Anderson. D., 1997, Strand of system, The Philosophy of C, Pierce, West lafayette : Purdue University Press.
25 Halfacree, Keith H, 1995, Talking about rurality: Social representions of the rural as expressed by residents of six English parished. Journal of Rural Studies, 11(1), 1-20.   DOI   ScienceOn
26 Petrzelka,P.Krannich,R.Brehm,J.& Trentelman,C.K., 2005, Annals of Tourism Research, 32(4), 1121-1137.   DOI   ScienceOn
27 Short, J, 1991, Immagined country. Loutledge. Lon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