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851/ksrp.2012.18.4.069

Development of Indicators to Evaluate the Regional Preparedness Level for Rural Aging  

Lee, Jimin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Lee, Yoonhe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Bae, Yeonjoung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Lee, JeongJa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uh, Kyo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v.18, no.4, 2012 , pp. 69-7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Korean population has been rapidly aging. Most of people regard the aging population as future crisis due to the rate of change and agree to prepare for a soft-landing on aging society in South Korea. Particularly, the aging population growth in rural areas is much faster than urban areas. Also rural areas relatively have poorer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so the countermeasures for population aging considering related social and economic indices are required. Moreover, each rural region has the different preparedness level for rural aging based on regional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analyzed correlations of the rural aging rate and loc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ed an evaluation index to show the regional preparedness status for rural aging.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developed indicators, we applied them to 161 rural regions and assessed regional preparedness level for rural aging. This study woul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rural aging.
Keywords
rate of aging; regional indicators; regional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rural aging; rural aging spee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국토연구원, 2007, 농촌지역 특성의 진단지표 개발과 정책적 활용방안.
2 권순만, 2006, 인구 고령화와 의료비 지출 및 장기 요양제도 도입의 정책 과제, 사회보장연구, 22(2).
3 김재현, 정수정, 태유리, 장주연, 김성진, 2010, 농촌 마을단위 지속가능성 지표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농촌관광연구, 17(2), 1-25.
4 김대식, 전택기, 배승종, 2010, 농촌마을단위의 정주 환경진단지표 개발, 농촌계획, 16(3), 27-41.
5 구승모, 박윤호, 이한성, 최세현, 2010, 농촌지역 발전수준 지표체계 설정과 시군 유형별 비교, 농업생명과학연구, 44(3), 99-110.
6 김종인, 2002, 백살 이상 장수노인의 거주지역에 대한 사회환경요인, 한국노년학, 21(3), 157-168.
7 손소림, 2005, 도시.농촌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이상호, 2008, 삶의 질 지표에 기반한 농어촌 지역별 유형분류 및 요인분석, 농촌경제, 31(4), 35-50.
9 이재원, 2005, 고령화 사회 인지적 예산 접근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9(2).
10 이정화, 박공주, 2004, 노인복지 수요예측을 위한 노인 인구의 공간적 분석 - gis를 이용한 농촌인지적 접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5(2), 137- 150.   과학기술학회마을
11 이혜훈, 2002,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소고, 한국노동연구, 2(2).
12 이호중, 2011, 농촌지역 고령화의 심각성과 농촌노인일자리, 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름(72).
13 정순돌, 최혜지, 배은경, 이경민, 2011, 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험인식, 한국노년학, 31(3), 813-829.
14 조은정, 최수명, 김영택, 박수영, 2010, 농촌마을내 부도로의 정비수준 진단지표개발, 농촌계획, 16(3), 159-171.
15 최수명, 조영재, 김영주, 2007, 친환경적 마을정비를 위한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 농업생명과학연구, 41(3), 78-87.
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한국의 사회위기 지표개발과 위기수준 측정 연구.
17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
18 통계청, 2010, 장래인구추계.
19 통계청, 2011, 우리 지역 주요 지표.
20 두산백과사전, http://www.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