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851/ksrp.2012.18.1.009

Analysis of Location Characteristic for Farmstead using GIS Method - With Rural Areas of Cheonan-city -  

Kim, Yong-Hoon (Dept. of Agri. Eng, Graduate School, Chungnam Nat'l Univ.)
Kim, Dae-Sik (Dept. of Agri. Eng., College of Agri. & Life Sciences, Chungnam Nat'l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v.18, no.1, 2012 , pp. 9-1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used GIS method for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farmstead location in study area. The present study surveyed the coordinates of location for 76 livestock farmsteads with big size in rural areas within city of Cheonan. Based on the surveyed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ocation for the farmsteads by using both new evaluation criteria and their corresponding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layers developed in this research. The criteria consist of six factors, which are 2 geographic factors for slope(SLO) and aspect(ASP) of earth surface, 3 accessability factors for distance from water area(DWA), road(DRO), and built-up area(DBA), including type of landuse(TLA). In the analysis results of six criteria using the grid funcations of GIS, the highest distributed ratios of the farmsteads per criterion were found at the lower slope area less then 2% in SLO, the area with south and south-east direction in ASP, the area with distance between 500m and 1,000m in both DWA and DRO, the area within 500m in DWA, and the paddy and upland area in TLA. As new finding of this study, these analysis results seemed that the farmsteads have been located at the better places with the priority to build and manage conveniently and economically.
Keywords
Characteristic analysis; 76 livestock farmsteads;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ix factors; Evaluation criteria;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태준, 2006, GIS 기반 AHP 기법을 이용한 작물재배 적지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6(4d), 695-702.   과학기술학회마을
2 박정일, 박민호, 임이택, 2010, GIS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적지분석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29-141.
3 양현상, 이은영, 2009, 축산악취저감을 위한 환경개선제 적용 사례 분석, 한국냄새환경학회논문집, 158-163.
4 오영숙, 김기현, 구윤서, 김명수, 설미진, 전승세, 최여진, 안대희, 2006, 축산분뇨처리시설 발생 악취 특성, 한국냄새환경학회지, 5(1), 1-9.
5 이근수, 정종철, 류청로, 2003, GIS를 이용한 북한지역 산업단지 적지분석, 한국GIS학회논문집, 322-327.   과학기술학회마을
6 이신호, 오무영, 최진용, 김한중, 1995,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적용한 농장의 적지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3(2), 173-181.   과학기술학회마을
7 이인복, 홍세운, 황현섭, 서일환, J. Bitog, 권경석, 2010, 축산악취의 확산 예측을 위한 전산유체역학 모델의 개발, 한국기상학회논문집, 361-362.
8 이진덕, 김성길, 이준옥, 1999, GIS를 활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적지분석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4, 540-552.
9 이희연, 김은미, 1996, GIS기법을 활용한 은행입지 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강남구를 사례로 하여, 한국GIS학회지, 5(1), 11-26.   과학기술학회마을
10 강인준, 곽재하, 박기태, 1993,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혐오시설 최적지 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 441-444.
11 임윤택, 유완, 김갑성, 2002, 환경혐오시설의 입지선정모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7(6), 77-86.   과학기술학회마을
12 정승현, 임승현, 조기성, 1996, GSIS를 이용한 공항 적지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 109-112.
13 정종원, 박규현, 유용희, 이문주, 감동환, 2008, 악취 방지법과 축산악취 저감 대책, 한국냄새환경학회논문집, 177-187.
14 하성룡, 김주환, 배명순, 이은실, 1996, GIS를 이용한 정수장 적정위치 선정기법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 573-576.
15 황재웅, 정을규, 이종국, 최동필, 정주영, 전기석, 2008, 축산분뇨 퇴비화시설 악취 발생 특성 및 관리방안, 한국냄새환경학회논문집, 168-170.
16 Gao, Yujie and Kim, Dae Sik, 2009. Spatio-Temporal Change Detection of Land-Use and Urbanization in Rural Areas Using GIS and RS -With Yongin and Anseong Regions-,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38 (1), 153-162.   과학기술학회마을
17 김수봉, 최소정, 1998, GIS를 활용한 쓰레기 매립장 적지분석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낙동강환경원, 3, 1-13.
18 곽행구, 조영환, 김태근, 2007, GIS기법을 활용한 국내 수목원 입지분석,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0(2), 87-93.
19 구윤서, 김성태, 최종혁, 오영숙, 설미진, 전승세, 안대희, 2006, 축산분뇨처리시설 발생 악취의 확산 모델링, 한국냄새환경학회지, 5(1), 10-18.
20 김대식, 정하우, 2002, 농촌마을 개발계획 지원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모형 (2) -GIS와 항공사진을 이용한 모형의 적용, 한국농공학회지, 44(5), 67-78.   과학기술학회마을
21 김연제, 이상협, 2009, 소규모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효율적 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