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Value Indicator and Importance of Prototype Landscape in Rural Areas  

Kang, Young-Eu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Choi, Dong-Wook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Hong, Sung-He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Min, Su-Hui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Sang-Bum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Im, Seung-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v.16, no.4, 2010 , pp. 117-12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s to make value estimating system to valuate prototype landscape of rural and to derive itemized importance to select priority preservable obj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t is examined value estimating standard by analyzing prototype landscape related previous study, law and order. Also, It is derived conclusive prototype landscape value estimating system by doing attribute assessment of preserving objects while surveying the site and interviewing professionals, Value estimating system is classified into five items of physical value which are integration, harmony, diversity, symbolism and aesthetics, The historical-cultural value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which are religious value, originality, historicity and scarcity, The communal value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sociality, continuing and regional locality and also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rarity, primitiveness and diversity as the ecological value, Relative priority of prototype landscape value estimating system result is derived as historical-cultural value as the superior position and physical value, communal value and ecological value as the priority order. In the subordinate, historical categories are derived to be the most valuable and originality, symbolism, integration, regional locality, continuing, harmony, aesthetics, religious value, primitiveness, diversity of physical values and diversity of ecological value in order of the priority assess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the meaning of practical use in prior selection and preservation plan of preserving prototype landscape as practical alternative plan for systematical preservation of damaging prototype landscape.
Keywords
Rural Landscape; Prototype; Prototype Landscape; Value Indicator; AHP;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정이순, 정량부, 2005, 근대건축물의 보전을 위한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부산의 현존건축물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5(1), 271-274.
2 정준원, 2007, 춘천시 문화관광자원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조근태, 조용곤, 강현수, 2003,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충분석적 의사결정, 서울: 동현 출판사.
4 한우식, 2001, 역사문화경관 보전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역사경관보전제도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Feliden, B., 2003, Conservation of Historic Bulidings, Bulington: Architectural Press.
6 Lipe, W.D., 1984, Value and meaning in cultural resources, Cleere, H.( ed) Approaches to the archaeological heritage; a comparative study of world cultural resource management syst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Michael Ross, 1996, Planning and the Heritage, E & FN.
8 Satty, Tomas L. Vargas, Luis G., 1982, The Logic of Priorities : Applications in Business, Energy, Health, and Transportation, Kluwer Nijhoff Publishing.
9 Seven Tiesdell, Taner Oc., Tim Heath., 1996, Revitalizing Historic Urban Quarters, Architectural Press
10 Wayne O. Attoe., 1979, Historic Preservation, in A. J. Catanese & J. C. Snyder An Introduction Urban Planning, McGraw-Hill Book Company.
11 http://www.cha.go.kr/ (문화재청 홈페이지).
12 신상섭, 노재현, 김홍균, 2008, 임실 방동마을숲의 원형경관 찾기와 식생복원설계, 한국조경학회지 26(3), 78-86.
13 신승진, 2003, 명승 지정올 위한 평가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영월 동강 어라연 지역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오상문, 2010 서울 역사경관 보전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양희승, 2003, AHP 기법을 활용한 경관평가법 작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유병림, 황기원, 박종화, 1989, 조선조 정원의 원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부설 환경 계획연구소.
17 이수정, 2003, 현대 보존이론의 변화하는 관점에 있어서의 원형보존의 원칙. 경주문화연구, 6, 200- 224.
18 이경진, 박창훈, 송병화, 김상범, 2009, 농산어촌지역 대표경관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관광학회, 16(4), 45-61.
19 이근규, 1996, 기존 건축물의 보존여부 판별기준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규목, 1994, 조선후기 서울의 都市景觀과 그 이미지, 서울학연구, 1, 149-193.
21 이승진, 2000, 한국 근대건축의 보존과 활용 현황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한성, 2006, AHP를 이용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투자우선순위 평가기준의 설정, 한국축산경영학회, 농업정책학회지, 33(1), 183-197.
23 임덕순, 1990, 문화지리학, 서울: 법문사.
24 임승빈, 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5 전명숙, 2004, 문화유적지의 관광활성화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지, 6(1), 94-102.
26 전종한, 2006, 민속마을 외암리의 경관 원형과 경관 동학, 문화역사지리학회지, 18(2), 38-56.
27 강영은, 최동욱, 홍성희, 정윤희, 김상범, 임승빈, 2009, 원형경관(原型景觀) 개념 정립 및 형성요인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5(4), 33-42.   과학기술학회마을
28 경기개발연구원, 2008, 경관도로의 평가기법 개발 방안.
29 김범철, 2005, 환경친화도시의 구성요소 중요도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김성연, 2004, 영화 속에 나타난 원형경관에 관한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31 김한배, 1998, 우리 도시의 얼굴 찾기: 한국 도시의 경관변천과 정체성 연구, 서울: 태림문화사.
32 노재현, 신상섭, 박율진, 2008, 다산도(茶山圖)에 표현된 다산초당(茶山草堂)의 원형경관(原形景觀) 탐색(探索),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31-41.
33 문화재청, 2004, 명승지정 학술조사 연구.
34 박근엽, 2008, 명승지정을 위한 경관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섬진강 하류권 사례대상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박창훈, 2010, 충남 대표경관 선정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변우일, 2006, 우리 풍경 찾기: 한국척 원형(原形)경관, 환경과 조경, 179, 106-109.
37 송기준, 김창준, 강경인, 2008, 건축물 유지관리 대상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모델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23(5), 21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