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pplying of Indicators for Landscape Planning in Building Lots Development District around Urban Fringe  

Kim, Yong-S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ark, Chan-Y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v.13, no.3, 2007 , pp. 51-6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erms of the indicators by the type for the landscape plan per the district nit, geographic ecology indicators were the items such as water, water system, topography and climate, while biological ecology indicators were the items such as green zone size, green zone ratio, biotope size and distribution. The sensory and visual indicators were the items such as view point, view axis and skyline, and the accessibility indicator items for the green zone were applied as the socially used indicators. As for the application method according to each indicator, the water or water system was expressed and applied through the slopes and elevation topographic analysis drawings, the climate was expressed and applied through the main direction of the wind and the cold wind pass alley drawings. As for the green zone size and green zone ratio, the land use according to the status and housing area development was compared to present the measured figures. In case of the biotop size and the distribution item, the range was limited to the preparation of the biotope drawings for the focused preservation. As for the view point and view axis, the view point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view point to prepare and apply the view analysis drawing in which the view area to be preserved is analyzed. As for the skyline, its landscape photo was composed with the housing area shape, and then skyline photography was applied as the plan in order to propose and consider the various shapes of the skyline. As for the accessibility to the peen zone, the network drawing was drawn to reflect the users' accessibility and continuity of the green zone formed and preserved according to the land use plan and then the drawing was prepared and proposed as the applicable plan.
Keywords
Landscape Planning; Landscape indicators; Applying the indicator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문지원, 2006, 아파트 단위세대 조망경관의 질적 수준 평가,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문경도, 1999, 고층건물의 경관영향평가방법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3, 경관생태학적 환경 영향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누리
4 주택공사, 2005, 사전환경성 검토서
5 오충현 . 이경재, 2000, 도시갱태계 보전을 위한 비오톱 평가기법, 한국조경학회지 27(5) : 130-137
6 이승은 . 홍선기, 2002, 도시의 생태네트워크 계획, 시그마프레스
7 박찬용, 2006,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지표설정과 적용,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박사학위 논문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4, 서울시 도시경관관리방안 연구II
9 경기개발연구원, 1995, 경기도의 쾌적환경평가 및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10 이동근 . 윤소원, 1998, 비오톱 조성을 위한 도시녹지 평가 모형의 개념적 연구, 산업과학연구 6 : 61-75
11 임승빈 . 박창석 . 김성준, 1994, 도시스카이라인 보전 . 관리 기법에 관한 연구(II), 한국조경학회지 22(3) : 105-120
12 임승빈 . 신지훈, 1995,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심리적 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5 : 153-161
13 주택공사, 2005, 환경영향평가서
14 한승호 . 조동범, 2004, 농촌마을 경관계획을 위한 경관자료의 수집과 가시화 기법, 농촌계획학회지 110(2) : 35-42
15 김세천 . 오동현, 1996, Biotop 개념을 도입한 생태 도시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4(2): 155-174
16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0, 서울환경친화적 건축 및 단지개발요소 적용방안연구
17 한국환경과학 연구협의회, 1992, 수도권 내에서 신시가지 개발시 조성해야 할 적정녹지 면적 및 조성패턴결정에 관한 연구, p25-30
18 김승주, 2004, 도시경관진단을 위한 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신지훈, 2004, 도시경관계획 지표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경기개발연구원, 1998, 생태단지 계획모형 연구
21 황보천 . 이명우, 2005, 경관생태지표를 활용한 생태 마을계획원리, 한국조경학회지 33(4) : 71-78   과학기술학회마을
22 국토연구원, 2003, 도시경관개선을 위한 용도지역별 경관계획
23 김용수 . 박찬용, 2006,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지표의 연구경향과 유형,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지 41(5): 117-129
24 이정수, 1996, 고층집합주거 군집형상 구성요소 및 경관계획 방향에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2) : 3-14
25 환경부, 2001, 경관평가기법개발에 관한 연구, p124
26 김현수 . 안근영, 2002, 생태적 도시계획을 위한 생태기반지표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1) : 407-410
27 이영경 . 민창기, 1998, 경관경험의 향상을 위한 문화역사지역의 경관계획 및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 : 155-165